Programmer - 해당되는 글 34건
목차
Atlas란?
Atlas 아키텍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핵심 라이브러리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컨트롤과 구성 요소
서버 컨트롤
웹 서비스
결론


2005년 9월, ASP.NET 팀은 "Atlas"라는 코드명의 ASP.NET에 도입된 새 기능에 대한 첫 CTP(Community Technology Preview) 버전을 발표했습니다.

Microsoft .NET Framework 2.0에 적용되는 이 확장 기능을 사용하여 개발자는 브라우저와 서버의 기능을 모두 활용하여 풍부한 기능의 대화형 웹 사이트를 보다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Atlas에서 제공하는 풍부한 개발 환경을 흔히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라고 하며, 이는 그 동안 사용된 여러 가지 기술의 이름을 결합하여 만든 비교적 새로운 머리글자어입니다. 요즘에 사용되는 브라우저에는 JavaScript에서 서버를 호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XMLHttpRequest 개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개체를 사용하면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반응하여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대역 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개념 자체는 단순하지만 AJAX 라이브러리는 서버와 통신하고 웹 서비스에서 반환되는 XML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쪽 JavaScript를 작성해야 하는 고된 작업을 크게 줄여줄 수 있습니다.

AJAX를 통해 해결하려는 일반적인 문제들은 대개 HTTP 프로토콜 자체의 특성에서 비롯됩니다. HTTP는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통신하여 웹 페이지를 가져오고 데이터를 웹 서버에서 받아 다시 게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로서,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방식의 프로토콜이므로 페이지를 새로 고치기 전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서버의 코드에 전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자 환경에서는 상태 정보를 서버로 보내기 위해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쳐야 합니다. 사용자가 페이지에 입력한 내용은 서버에서 처리된 후 HTML 형식으로 복원되어 브라우저로 다시 보내집니다.

ASP.NET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화면에 보이지 않는 폼 필드를 사용하여 관리합니다. 페이지의 일부만 업데이트되더라도 전체 페이지의 HTML이 전송되므로 브라우저 화면은 일시적으로 비어 있게 됩니다. 또한 페이지의 내용을 새로 고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새 내용을 받아 렌더링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와 상호 작용할 수 없습니다. AJAX는 이러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서버를 호출하여 웹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XMLHttpRequest 개체를 사용합니다. 이 개체를 사용하면 수신한 XML을 기반으로 페이지의 업데이트할 부분을 JavaScript에서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페이지가 업데이트되고 있는지 알아챌 수 없으며, 작업은 대역 외 방식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비동기로 실행되므로 그 동안에도 계속해서 웹 페이지를 읽거나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Atlas란?

ASP.NET의 Atlas 기능을 단지 클라이언트 중심의 웹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또 하나의 AJAX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Atlas는 .NET Framework 2.0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클라이언트 쪽 JavaScript와 XMLHttpRequest 개체의 기능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기존 ASP.NET 응용 프로그램뿐 아니라 Atlas 컨트롤과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도 손쉽게 향상시킬 수 있는 서버 기반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림 1의 Atlas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은 Atlas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를 확장하며, 기능이 더욱 다양하고 응답이 보다 빠른 브라우저 간 웹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광범위한 개발 기술로 간주되어야 함을 보여 줍니다.

그림 1 ASP.NET Atlas 아키텍처
그림 1 ASP.NET Atlas 아키텍처

Atlas를 활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JavaScript를 비동기식으로 호출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를 업데이트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동안 구현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관련 데이터로 구성된 웹 응용 프로그램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특정 배우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배우 이름을 하나의 드롭다운 목록으로 만들어 제공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므로 선택의 폭을 좁힐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우 이름의 첫 번째 글자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이 글자로 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글자가 포함된 목록을 제공하면 처리가 보다 수월해지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귀찮은 일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배우의 이름 중 일부만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는 입력란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서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색의 범위를 좁힐 수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방법보다는 낫지만, 이 방법 역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Atlas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적으로 반응하는 입력란을 제공하여 브라우저에서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검색 범위를 좁힐 수 있습니다. 그림 2는 Atlas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자동 완성 동작을 추가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그림 2 필터링 콤보 상자
그림 2 필터링 콤보 상자

Atlas CTP는 atlas.asp.net (영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Atlas CTP를 설치하면 C# .NET 및 Visual Basic .NET용 추가 웹 사이트 템플릿이 Microsoft Visual Web Developer™에 추가되므로 Visual Web Developer에서 파일, 새로 만들기, 웹 사이트를 차례로 클릭하여 웹 사이트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 때 그림 3과 같은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Atlas 기반의 ASP.NET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Atlas 웹 사이트에는 웹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업데이트된 web.config 파일과 Microsoft.Web.Atlas.dll이 포함됩니다. 현재 릴리스의 경우 Microsoft.Web.Atlas.dll은 응용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컬 어셈블리로 응용 프로그램의 bin 디렉터리에 배치됩니다.

그림 3 Atlas 웹 사이트 만들기
그림 3 Atlas 웹 사이트 만들기

Atlas 기반 응용 프로그램은 Atlas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개발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ASP.NET 2.0이 있는 서버로 복사하여 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Atlas는 시스템 수준이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수준에서 설치되므로 다음 버전의 CTP가 제공되면서 기능이 발전하고 변경될 경우 이전 버전의 Atlas가 있는 컴퓨터에서 새 버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수준으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더욱 유연하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Atlas 아키텍처

그림 1의 Atlas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에서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사실은 Atlas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양쪽 모두에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ASP.NET 2.0에 몇 가지 클라이언트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이는 Atlas의 적용 범위에 미치지 못합니다.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의 오른쪽을 보면 Atlas의 서버 기능이 ASP.NET 2.0을 기반으로 이를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Atlas는 브라우저에서 서버 기반 데이터와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버 컨트롤 집합도 제공합니다.

다이어그램 왼쪽에는 서버 기능과는 별도로

그림 4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
그림 4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
클라이언트 중심의 JavaScript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가 나와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향상된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이 가능한 풍부한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새 Atlas 기능에서 많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의 기반 구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림 4는 웹 응용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 방식을 보여 줍니다. 먼저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사용자는 이 페이지와 상호 작용합니다. 사용자의 작업을 위해 서버의 데이터가 필요하면 전체 페이지가 새로 고쳐지며

그림 5 Atlas의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
그림 5 Atlas의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
사용자 입력에 따라 페이지의 일부를 업데이트합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페이지가 업데이트되는 동안 사용자가 페이지와의 상호 작용을 계속할 수 없습니다. 즉, 사용자는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업하는 동안 계속해서 작업을 일시 중단해야 합니다.

그림 4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그림 5는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칠 필요가 없는 Atlas의 클라이언트-서버 상호 작용 방식을 보여 줍니다. 이 방식에서는 처음 HTML을 가져온 후 서버를 다시 호출할 경우 XML,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또는 HTML 조각으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가져와 페이지를 증분 업데이트합니다. 웹 서비스를 호출하거나 페이지 변경 내용을 가져오기 위한 호출이 비동기식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작업을 일시 중단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러한 비동기식 호출에서는 서버로의 다음 번 다시 게시 작업을 위해 업데이트된 보기 상태 정보를 관리하므로 페이지를 완전히 새로 고쳐야 할 경우 페이지의 정확한 상태를 서버에 전달합니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핵심 라이브러리

Atlas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는 분리된 몇 개의 고유한 조각으로 브라우저에 전달됩니다. 스크립트 핵심은 나머지 라이브러리의 기반이 되는 하위 계층을 구성하며 최하단에는 브라우저 호환성 계층이 자리잡게 됩니다. Atlas의 주요 특징은 AJAX의 주요 요소를 지원하는 최신 브라우저에서만 Atlas가 실행된다는 점입니다. CTP 빌드를 지원하는 브라우저로는 Mozilla Firefox, Apple Safari 및 Microsoft Internet Explorer가 있습니다. 브라우저 호환성 계층은 브라우저의 차이에 신경 쓰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게 해 주는 추상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을 통해 브라우저의 구현 방식에 의한 차이는 감춰지며 브라우저의 업데이트나 새 버전 발표에 맞춰 Atlas 지원도 쉽게 확장될 수 있습니다. 요청하는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호환성 계층의 브라우저별 부분 중 어떤 부분이 사용될지 자동으로 결정되며 추상화 계층에 상위 수준의 코드가 미리 작성되어 있으므로 브라우저 구현에 따라 다르게 코딩할 필요가 없습니다.

호환성 계층의 최상단에는 핵심 형식 시스템이 있습니다. 형식 시스템은 JavaScript에서 개체 지향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JavaScript 개발자는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네임스페이스를 만들고 이 네임스페이스에 클래스를 추가할 수 있으며 개체 상속도 시뮬레이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페이스, 대리자, 열거형을 지원하므로 C# 같은 개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서버에서의 코드 개발과 JavaScript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코드 작성 간의 전환이 수월합니다.

형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된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 계층은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핵심을 완성합니다. 개념 자체가 .NET Framework를 모방한 것이므로 일부 형식은 이미 사용자에게 친숙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JavaScript에서 자연스럽게 이벤트를 멀티캐스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Event 개체가 있으며 StringBuilder 개체도 있습니다. 또한 JSON과 XML 데이터에 대한 지원뿐 아니라 개체의 직렬화(serialization)도 지원합니다.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에는 브라우저의 XMLHttpRequest 개체에 대한 추상화를 제공하는 WebRequest와 WebResponse 클래스도 있습니다. 이는 .NET Framework의 System.Net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개체와 상당히 유사합니다. 그림 6의 코드는 Atlas 스크립트 핵심을 사용하여 JavaScript로 두 개의 간단한 형식을 만드는 방법을 보여 줍니다. 첫 번째 형식인 Movie는 영화의 제목과 장르를 보여주는 두 속성, 그리고 결과를 문자열로 반환하는 toString 메서드를 지원합니다. 두 번째 형식인 Drama는 Movie 형식을 확장하고 toString 메서드를 다시 정의합니다.

Movie와 Drama 형식을 사용하는 페이지는 그림 7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먼저 형식이 정의되어 있는 .js 파일을 참조합니다. 이 파일은 Atlas ScriptManager 컨트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 다음 Click 처리기에서 Movie와 Drama 형식의 인스턴스를 만들고 이 인스턴스의 toString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사용되는 코드는 동적 JavaScript이지만 상속 동작은 개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때와 동일합니다. 현재 발표된 Atlas의 또 다른 장점은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디버그 버전이 포함되어 디버깅과 문제 해결이 더 쉽다는 것입니다. JavaScript 디버깅은 항상 번거로운 작업이었으므로 이러한 지원은 많은 수고를 덜어줄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컨트롤과 구성 요소

AppDomain은 관리 코드의 하위 프로세스를 격리합니다. 이것은 각 AppDomain에 고유의 상태 집합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나의 AppDomain에 있는 확인할 수 있는 코드는 호스팅 환경에서 작성된 인터페이스가 상호 작용을 허용하지 않는한 다른 AppDomain에 있는 코드나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알아 봅시다. C# 및 Visual Basic .NET 컴파일러에서 기본적으로 작성되는 형식이 안전한 확인할 수 있는 코드는 어떤 방법으로도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각 명령은 형식이 안전한 방식으로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확인 규칙 집합을 사용하여 런타임으로 검사됩니다. 따라서 런타임 검사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코드를 실행할 때 AppDomain의 격리를 보장하며 확인할 수 없는 코드의 실행을 막을 수 잇습니다.

호스트는 이러한 격리를 통해 코드를 동일한 프로세스에서 다른 신뢰 수준으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낮은 신뢰 코드는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 코드 또는 다른 낮은 신뢰 코드와는 별도로 AppDomain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낮은 신뢰 코드의 호스트에 필요한 AppDomain 수는 해당 호스트의 격리 의미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Internet Explorer는 관리 컨트롤에 대해 사이트당 하나의 AppDomain을 작성합니다. 한 사이트의 컨트롤은 동일한 AppDomain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지만 다른 사이트의 컨트롤을 간섭하거나 악의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Atlas 아키텍처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핵심을 구성하는 계층 위에는 구성 요소 모델과 컨트롤 계층이 있습니다.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이 계층은 하부의 스크립트 핵심을 기반으로 구축되지만 클라이언트에서는 별도로 렌더링됩니다.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구성 요소 계층을 포함하지 않고 JavaScript 형식 시스템과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직접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하면 Atlas에서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구성 요소에 액세스할 수 없으며 브라우저로 보내지는 페이지 마크업에 포함되는 새로운 선언적 요소 집합인 xml-script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xml-script 요소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형식 값을 사용하는 스크립트 태그 안에 포함됩니다.

<script type="text/xml-script">

마크업에서 추가적인 요소 집합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스크립트 태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브라우저는 스크립트 요소를 인식하지만 text/xml-script 형식을 처리할 수는 없습니다. 스크립트 태그 자체에 포함된 요소는 Atlas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마크업은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구성 요소 계층에서 처리됩니다. xml-script는 클라이언트에서 구문 분석되어 구성 요소와 컨트롤의 인스턴스를 만듭니다. xml-script에는 정의하는 구성 요소와 컨트롤에 대한 속성 설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페이지의 다른 부분에 있는 HTML 요소와의 바인딩도 선언될 수 있습니다. 또한 xml-script 요소에서 웹 서비스 리소스를 선언한 다음 마크업의 다른 부분에서 이를 데이터 소스로 참조할 수도 있습니다. 그림 8의 예제 페이지는 xml-script를 사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로 연도를 가리킬 때 해당 연도와 관련된 영화 제목이 팝업 요소로 표시되도록 선언적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그림 8의 페이지에서는 연도를 표시하기 위해 DIV 요소를, 영화 제목을 표시하기 위해 SPAN 요소를 사용하지만 숨겨지도록 선언했습니다. xml-script의 popupBehavior는 영화 제목과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연도와 연결된 hoverBehavior에 의해 실행됩니다. popupBehavior에 대한 코드는 Atlas 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컨트롤과 구성 요소 계층에 있습니다. xml-script는 일반적으로 페이지에 포함되는 JavaScript에 비해 더 쉽게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브라우저 구현을 처리하기 위해 코드에서 팩터링을 시작할 때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림 8의 xml-script와 같은 선언적 구문은 개발 도구를 사용하여 쉽게 만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풍부한 기능의 사용자 환경을 가능하게 하는 xml-script는 페이지가 실행될 때 Atlas 서버 컨트롤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Atlas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대다수의 xml-script는 .aspx 파일에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개발자가 직접 코딩할 필요도 거의 없습니다.

Atlas CTP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동작은 사용자 환경을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진행률 동작은 백그라운드에 보류되어 있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릭, 가리키기, 팝업 동작은 다양한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동작은 xml-script를 사용하여 선언적 방식으로 페이지의 HTML 요소와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동작 자체는 JavaScript로 구현되기 때문에 더 복잡한 동작도 가능하지만, 페이지에서 동작을 사용할 때는 xml-scrip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서버 컨트롤

Atlas CTP에 포함된 서버 컨트롤을 사용하면 페이지를 다시 게시할 때 일시적으로 상호 작용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즉, 서버 컨트롤이 백그라운드에서 렌더링을 업데이트하는 동안 사용자는 웹 페이지와 계속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의 주역은 함께 작동하는 두 개의 서버 컨트롤입니다. 이러한 두 서버 컨트롤을 기존 페이지에 추가하면 상당한 기능 향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컨트롤인 ScriptManager 컨트롤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다시 게시 동작을 변경하며 두 번째 컨트롤인 UpdatePanel 컨트롤은 변경 작업을 위해 서버에서 페이지의 수명 주기를 관리합니다.

ScriptManager 컨트롤은 Atlas 기능을 사용할 모든 페이지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컨트롤은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JavaScript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서버 컨트롤은 클라이언트에 JavaScript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ScriptManager 컨트롤을 이용합니다. ScriptManager 컨트롤은 구현을 위해 새로운 IScriptComponent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xml-script 요소와 연결되는 구성 요소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도 지원합니다.

다음과 같이 ScriptManager 컨트롤의 EnablePartialRendering 속성을 true로 설정하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다시 게시 동작이 새롭게 변경됩니다.

<atlas:ScriptManager EnablePartialRendering="true" runat="server" />

이 코드를 통해 사용자 환경을 중단하지 않고도 서버로 다시 게시를 요청할 수 있게 됩니다. 요청 간의 제어 정보를 보존하는 데 필요한 보기 상태 정보는 부분적 렌더링 요청을 위해 유지됩니다. 그리고 새로 고쳐지거나 수정되는 부분에 대한 HTML은 브라우저 DOM(Document Object Model)과 상호 작용하는 JavaScript에서 업데이트됩니다. ASP.NET 페이지에서 부분 업데이트를 허용해야 하는 영역은 UpdatePanel 컨트롤을 사용하여 지정됩니다.

UpdatePanel 컨트롤은 페이지의 나머지 부분과는 별개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영역을 ScriptManager 컨트롤에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수행한 작업으로 인해 페이지의 일부를 다시 게시해야 할 경우, 폼 데이터가 게시되고 페이지 수명 주기가 서버에서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스크립트는 백그라운드에서 비동기식으로 다시 게시 작업을 초기화하므로 페이지가 계속 사용자에게 표시됩니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게시한 보기 상태 데이터를 바탕으로 컨트롤 상태를 복원합니다. 렌더링 단계에 접어들면 ScriptManager 컨트롤은 UpdatePanel 영역을 새로 고쳐 브라우저로 돌려 보내기 위해 이 영역에 대한 렌더링을 격리시킵니다. 또한 페이지의 보기 상태 데이터가 수집되고 응답의 일부로 HTML이 전송됩니다. 그런 다음 브라우저의 스크립트에서 UpdatePanel의 이전 내용을 해당하는 새 HTML로 바꿉니다.

UpdatePanel 컨트롤에는 다음과 같이 Triggers와 ContentTemplate에 대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atlas:UpdatePanel ID="UpdatePanel1" runat="server">
<Triggers>
        ...
    </Triggers>
<ContentTemplate>
        ...
</ContentTemplate>
</atlas:UpdatePanel>

ContentTemplate 내의 영역은 ScriptManager 컨트롤이 비동기식으로 요청된 다시 게시 작업을 처리할 때 새로 고쳐집니다. Triggers 요소에는 ControlEventTrigger 및 ControlValueTrigger 요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웹 페이지 개발자는 Triggers 요소를 사용하여 어떤 내용이 변경되었을 때 영역이 업데이트될 것인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UpdatePanel 컨트롤에 직접 포함되지 않은 외부 컨트롤에 의해서도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단한 선언을 사용하여 페이지의 동작과 UpdatePanel 컨트롤을 제어하고 가져온 새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한 페이지에 여러 개의 UpdatePanel 컨트롤을 배치하고, 각 컨트롤을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여러 Triggers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UpdatePanel 컨트롤의 내용은 특정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로 축소할 수 있습니다. UpdatePanel 컨트롤을 사용하면 기존의 ASP.NET 페이지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입력에 보다 빠르게 응답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웹 서비스

웹 응용 프로그램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만들어집니다. 대화형 응용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은 브라우저에서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으로, Atla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ScriptManager 컨트롤은 다음과 같이 웹 서비스 참조를 위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프록시를 사용합니다.

<atlas:ScriptManager EnablePartialRendering="true" runat="server">
    <Services>
        <atlas:ServiceReference GenerateProxy="true" 
         Path="~/nominees.aspx" Type="Custom"
    </Services>
</atlas:ScriptManager> 

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 쪽 구성 요소가 스크립트에서 웹 서비스를 직접 호출할 수 있습니다. 웹 서비스는 컨트롤에 바인딩되어 더욱 풍부한 동작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도록 xml-script에서 AutoCompleteBehavior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그림 9 참조).

동작은 페이지의 요소에 연결되어 해당 요소의 동작을 확장하며 .aspx 마크업에 설정되면 extender로 참조됩니다. AutoCompleteBehavior는 AutoCompleteExtender 컨트롤을 통해 요소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xml-script를 직접 작성하는 대신 extender가 서버의 컨트롤과 연결됩니다. 그런 다음 적절한 xml-script를 렌더링하여 클라이언트 쪽 동작을 가져옴으로써 컨트롤 동작이 확장됩니다. 웹 서비스를 호출할 때는 호출과 반환에 대한 결과가 대개 XML로 전달됩니다. 그러나 Atlas는 웹 서비스의 데이터를 JSON 형식으로 serialize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XML 사용으로 인한 일부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JSON 데이터는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 개체로 직접 deserialize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Atlas는 서버에서 사용되는 보다 복잡한 .NET의 관리되는 형식을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 개체로 serialize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므로 브라우저에서 웹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작업이 간단해집니다.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서비스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인 사용자 지정 웹 서비스뿐만 아니라 ASP.NET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까지 다양합니다. Atlas는 다음과 같이 JavaScript에서 폼 인증 서비스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Sys.Services.AuthenticationService.login(
    username, password, completionFunction);

사용자가 로그인 자격 증명을 제공할 때 HTML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로그인 페이지로 리디렉션된 후 원래 페이지로 되돌아가지 않아도 됩니다. .aspx 페이지에서 사용되는 프로필 데이터는 웹 서비스 호출을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JavaScript 개체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프로필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가져오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웹 서비스가 언제나 같은 호스트 서버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호스트 서버뿐 아니라 실제로 웹 서비스가 같은 도메인에 있어야 한다는 규칙도 없습니다. 그러나 브라우저는 페이지의 원래 출처가 아닌 도메인에 대해서는 XmlHttpRequest를 사용하는 호출을 차단합니다. 자식 요청을 시작하는 숨겨진 IFrame 개체를 사용하여 이 제한을 피하는 몇 가지 교묘한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실행하기가 상당히 번거롭습니다. Atlas에서는 웹 서비스 브리징을 제공하여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웹 서비스 브리징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가 다른 도메인으로 보내는 웹 서비스 호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호출은 Atlas 응용 프로그램으로 보내지며, 여기서 대상 서버로 요청을 프록시한 후 serialize하여 클라이언트로 결과를 돌려 보냅니다. 물론 Atlas는 IFrame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도메인과 직접 통신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결론

Atlas는 풍부한 기능을 갖춘 웹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는 JavaScript를 작성하는 작업을 간소화하며 JavaScript를 작성할 때 개체 지향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구문을 제공합니다. 웹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면 원격 및 로컬 서비스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잡한 형식을 serialize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다양한 형식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 컨트롤 역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며 이를 통해 기존 응용 프로그램과 새 응용 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용 대기를 위한 일시 중지'를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CTP 빌드는 업데이트, 변경, 새 기능 추가 등이 이루어져 거의 두 달에 한 번씩 새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Atlas는 Visual Studio의 디자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다음 릴리스의 .NET Framework에 통합될 예정입니다. 근래에 Microsoft는 현재 사용 중인 사이트에 Atlas를 배포하여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사용권이 제한된 버전의 Atlas를 발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거나 최신 Atlas CTP를 다운로드하려면 atlas.asp.net (영문)을 참조하십시오.



페이지 맨 위로페이지 맨 위로

|

Taeyo's ASP.NET

   강좌 최초 작성일 : 2006년 02월 04일
   강좌 최종 수정일 : 2006년 02월 06일

   작성자 : Taeyo(김 태영)
   편집자 : Taeyo(김 태영)

   강좌 제목 : 웹에서의 비동기 호출 : Ajax와 Ajax.NET

강좌 전 태오의 잡담>

드디어 많은 분들이 기다리시던 Ajax(아작스)에 관계된 이야기입니다.
강좌를 쓰면서 이것 저것 살펴보다보니, 글 쓰는데만 일주일 이상이 걸렸네요.
하하하...


Ajax란?

아작스(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은 2005년 중반부터 화두로 떠오른 웹 기반의 비 동기 통신 기법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Google Earth가 발표되면서 사실상 급부상한 기술이기도 합니다. 웹 상에서 화면의 새로 고침(refresh)없이 그토록 빠르고, 깊이 있게 세계 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실로 놀라움이었으니까요. 해서, Ajax가 웹 상에서 고 해상도의 그래픽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이 기술이 ActiveX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씀하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아마도 각각의 기술이 사용되는 대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에 생긴 오해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물론, 좁은 관점에서 보면 아주 틀린 말도 아닐 듯 합니다만.. 그래도… 좀 아닌 듯 한데… 음…

Ajax는 그 명칭이 의미하듯 단일 기술이라기 보다는 여러 기술을 하나로 묶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Javascrpt, XML 등이 바로 그것에 해당합니다. Ajax는 SOAP 및 XML 같은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비 동기 요청/응답을 서버와 주고 받으며, JavaScript, DOM, HTML 및 CSS 같은 프레젠테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응답을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다시 말해서, "서버로의 비 동기 통신 기술"과 "동적 클라이언트 스크립팅 기법"을 하나로 묶은 것이 Ajax라는 것입니다. 서버로의 비 동기 통신은 예전부터 지원되었던 속칭 XMLHTTP 컴포넌트(하단 박스 참조)를 이용하며, 클라이언트 스크립팅으로는 Javascript를 이용하기에,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Ajax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비 동기 호출을 위해 사용되는 브라우저 지원 개체를 'XMLHTTP 컴포넌트'라고 표현했습니다만, 이는 공식명칭은 아닙니다. 그냥 제가 그렇게 부르는 것이니 양해하십시오. 실제적인 이 컴포넌트의 모습은 브라우저 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Firefox, 모질라, Opera류의 경우는 비 동기 호출을 위해서 window.XMLHttpRequest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IE(6.0 이하 버전)의 경우는 안타깝게도 그를 사용하지 못하며 ActiveXObject인 Microsoft.XMLHTTP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좀 아쉽죠. 하지만, IE 7부터는 window.XMLHttpRequest를 지원한다는 기쁜(?) 소식이 있으니 약간은 위안이 됩니다(정말? 이게 위안이 될까?).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Ajax를 사용하면 브라우저를 새로 고칠 필요 없이, JavaScript를 이용하여 서버 측의 메서드를 실행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즉, 사용자 모르게 백그라운드에서 서버와의 요청/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죠.

Ajax의 역사?

Ajax가 상당히 새로운 기술 같지만 사실상 이 기법은 기존 ASP 시절부터 중급 웹 프로그래머들이 자주 써왔던 비 동기 통신 기법이 신기술과 맞물려 정리된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도 이와 유사한 기술은 존재했습니다. 예를 들면, 고전적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중 하나로는 IFRAME을 통한 비 동기 통신 기법이 있었습니다. 화면 새로 고침 없이 IFRAME을 이용하여(일종의 별도의 채널) 데이터를 가져와 DHTML을 통해서 동적으로 기존 화면에 데이터를 반영하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죠. 이 방법도 어떻게 보면 현재의 Ajax와 개념 자체는 유사한 기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현재의 기법에 비하면 대단히 조악하긴 하지만 말입니다. 사실, 실제적인 Ajax의 모체가 된 기술은 XMLHTTP 컴포넌트를 이용한 비 동기 통신 기법이었습니다. 이는 현재의 Ajax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기도 합니다(내부적으로 말이죠). XMLHTTP 컴포넌트를 이용하게 되면 기존 땜빵 식의 IFRAME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직관적인 비 동기 통신 기법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XMLHTTP 적용 초기에도 데이터 포맷 때문에 약간의 피곤함은 있었습니다. 즉, 서버 측과의 비 동기 통신 채널을 위해 XMLHTTP를 이용할 수 있긴 했지만, 통신으로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해서, 그 당시에는 주로 구분자를 끼워서 구성한 문자열을 주고 받곤 했었습니다. 예를 들면, 서버에서는 데이터를 "김태영\김덕영\김영현"와 같은 형태로 반환하고, javascript는 이 데이터를 받아서 "\"로 분리하여, 각각의 값을 뽑아내 사용하는 일을 반복해야 했었던 것이죠. 이러한 노가다 성 작업은 언젠가는 해결되어야 할 숙제가 아닐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XML 등장과 함께 그 숙제도 자연스럽게 해결이 되었습니다. 해서, 기존 비 동기 통신 기법에 XML이 멋들어지게 결합되면서 현재의 Ajax가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XML이 업계 표준이 되기 이전, 자기들만의 데이터 포맷을 사용했었기에 수반될 수 밖에 없었던 개발상의 난독성 및 복잡성이 XML을 반영함으로써 개선되고 정리된 것이죠.

해서, 명칭이 바로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인 것입니다. ^^

참. 오해하실까 봐 말씀을 드리자면, Ajax는 MS의 기술도 그 누구의 기술도 아닙니다. 이는 추상적인 기술에 대한 용어일 뿐입니다. 인터넷이라는 단어가 그 어떤 제품의 단어가 아니듯이 말이죠(비유가 이상한가요? ^^). MS 진영에서는 이러한 Ajax를 더욱 개발자가 이용하기 편하도록 프레임워크와 API를 현재 개발하고 있는데요. 아마도 2006년 중반기에는 그 모습이 드러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코드명은 Atlas이고, 현재는 알파 버전(가장 최신은 2005년 12월 버전)만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

핫? 그렇다면, 기왕이면 아틀라스(Atlas)에 대한 이야기로 이번 강좌가 진행되면 좋을 것 같다구요? 음.. 그렇다면, 죄송합니다. 안타깝게도 아틀라스를 이번 강좌에서 다루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물론, 3월에 있을 INETA 컨퍼런스에서는 Ajax와 Atlas에 대한 내용을 발표할 예정에 있긴 합니다만, 아직은 알파 버전이고 해서 강의라면 모를까 강좌로는 그 내용을 풀어쓰기가 쉽지 않을 듯 하네요(왜? 왜? 무슨 차이가 있는데?? -_-)

Ajax.NET

그렇다면, 이번 강좌에서는 Ajax에 대한 무슨 이야기를 하려 하느냐? 그것이 궁금하시죠? 사실 Ajax에 대한 데모를 보고 싶다 하시면, 이미 지 지난 번에 연재한 비 동기 호출 강좌의 2번째 강좌인 "XMLHTTP" 강좌를 통해서 이미 한번 경험한 것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그 또한 XML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았다 뿐이지 일종의 Ajax 기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것으로 부족하시다면, 지난 강좌이자 세 번째 강좌였던 WebService Behavior를 떠올리셔도 됩니다. 그 강좌는 실로 완전한 Ajax 예제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고로, 여러분은 이미 알게 모르게 Ajax를 접했던 것입니다(단, 기존 강좌를 읽은 분만 여기에 해당됨).

하지만, 여러분이 원하는 Ajax 예제는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압니다. 보다 쉽게, 더 간편하게 Ajax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원하시는 것이죠? 물론입니다. 해서, 이번 강좌에서 진행하려는 것은 지난 9월에 MSDN에 올라온 컬럼(ASP.NET Spiced: Ajax)을 기반으로 해서 Ajax.NET에 대해 알아보는 내용으로 진행해볼까 합니다. 링크는 http://www.microsoft.com/korea/msdn/asp.net/default.aspx?pull=/korea/msdn/library/ko-kr/dnaspp/html/ASPNetSpicedAjax.asp 이구요.

그 컬럼에서는 Ajax의 소개와 함께 Ajax.NET이라는 것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이는 ASP.NET 분야의 MVP인 Michael Schwarz라는 사람이 개발한 .NET을 위한 Ajax용 라이브러리입니다. 주의하실 점은 그 제품이 MS가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 하지만, 상당히 쓸만한 라이브러리이기에 MS 컬럼에도 소개되었죠. 그 컨셉이나 사용방법이 상당히 편리하고 기발해서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그 라이브러리는 WebService Behavior이 제공하지 않았던 데이터 타입인 DataSet이나 DataTable도 지원하더군요. 개발자의 블로그는 http://weblogs.asp.net/mschwarz/ 입니다. 관심있는 분은 한번쯤 가 봐도 좋을 듯 합니다.

용어가 혼란스러울까봐 잠시 정리하고 넘어가면, Ajax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측 함수를 비 동기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말하는 것이고요. 특정 회사의 제품명이 아닙니다(앞에서 누누히 강조 드렸습니다).

반면, Ajax.NET은 Ajax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구현을 말합니다. 즉, Ajax 구현을 위한 개발 도구 중 하나가 Ajax.NET 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2006년 중반에는 Ajax 구현을 위한 MS의 개발 프레임워크도 발표되겠지만 말입니다(오픈소스 진영에서는 AjaxTags라는 라이브러리가 개발 및 릴리즈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약간 김이 새신다구요? 왜 우리가 MS가 제공하는 것도 아닌 다른 개발자(물론 고수겠지만)의 제품을 이용해서 Ajax를 개발해야 하냐구요? 물론, 그렇게 우울해할 수도 있긴 할 것입니다. 하지만, 솔직히 강좌를 읽고 계시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몇 시간 또는 몇 일에 걸쳐 Ajax의 본질을 이해하려 하기 보다는, 당장 Ajax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아~ 아작스가 이런 것이구나. 뭐 별거 아니네" 혹은 "오.. 아작스. 완전 아작인데!!!" 하고 싶을 것입니다. 해서,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이번 강좌를 진행하려 하는 것입니다. ^^ (막상 해 보시면 재미있어 하실걸요~)

다음은 참고 삼아, 제 맘대로 정리해 본 MS의 Ajax History입니다. ^^; 제 맘대로 정리한 것이기에 자료의 신빙성을 100%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하하하

자. 그럼 이제 본격적인 시작을 한번 해 보겠습니다.

Ajax.NET 예제

우선, 위의 MS 컬럼에서 Ajax.NET 데모소스를 다운로드 받도록 하세요. '링크 찾아가기 귀찮아요. 바로 다운로드 하게 해 주세요' 하시는 분들을 위해 여기에도 링크를 걸도록 하겠습니다.

다운로드 : (C# 버전) AjaxASPNETCS.msi
다운로드 : (VB.NET 버전) AjaxASPNETVB.msi

받아서, 설치를 하시고 나면 Ajax with ASP.NET (C#)이라는 폴더가 생길 것입니다. 저의 경우는 설치를 [내 문서] 쪽에 했기에 다음 경로에 생겼습니다. 일단, 설치하셨으면 해당 폴더를 AjaxSampleCS라는 이름의 가상 디렉터리로 잡아주셔야 합니다(왜 설치 시에 그 작업까지 자동으로 되지 않는지 약간 서운하기도 합니다만).

다 되셨으면, VS.NET 2003을 실행하시고, 해당 폴더에서 AjaxSampleCS.sln 파일을 실행합니다. 그러면, 웹 프로젝트가 로드 될 것입니다.

이 예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VS.NET 2003이 필요합니다.

대략 4개의 샘플이 존재하는 데, 저는 이 중 첫 번째 샘플인 DropDownLink 만을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가지만 다루어보면 다른 것들은 여러분이 스스로 파악이 가능하실 듯 하니까요 ^^

우선, 같이 살펴볼 페이지의 실행 결과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를 빌드 하신 뒤에 Sample1 폴더에 존재하는 DropDownLink.aspx 페이지를 [브라우저에서 보기] 하세요. 그럼 다음과 같이 심플한 데모 페이지가 브라우저에 그 모습을 드러낼 것입니다.

데모는 매우 심플합니다. 첫 번째 드롭다운에서 국가를 선택하면, 우측 드롭다운에 해당 국가의 주(State)들이 나열되는 형태입니다. 물론, 페이지의 포스트백이 전혀 없이 말입니다.

얼핏 보기에도 훌륭하지 않나요?

하는 김에, 두 번째 데모도 실행해 볼까요? 두 번째 데모는 많은 분들이 요긴해 하실 만한 자동완성 기능의 구현입니다. Sample1 폴더의 SearchCompletion.aspx 페이지를 실행해 보세요. 단순해 보입니다만, 이 데모도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텍스트 박스에 'a' 이라고 입력하면 그 즉시 'a'로 시작하는 모든 도시명이 리스트박스에 출력되고, 'al'이라고 입력하면 그 즉시, al로 시작하는 모든 도시명이 하단에 출력되는 자동완성 기능입니다.

두 예제는 실행 모습이 서로 다르지만 내부적으로는 상당히 유사하기에, 강좌에서는 이 중 첫 번째 예제만을 같이 한번 살펴보려 합니다. 그러면, 두 번째 예제는 혼자서도 잘해요~ 할 수 있을 것이라 믿어 의심할 꺼~~야!!

일단, [솔루션 탐색기]에서 [참조] 폴더를 보시면 Ajax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폴더의 bin 디렉터리에는 이에 해당하는 Ajax.dll이 존재하고 있고요. 이것이 Ajax.NET의 핵심모듈입니다. Ajax.NET을 이용하고 싶다면, 단지 이 DLL만을 참조해 쓰면 되는 것이죠.

또한, Sample2에는 DAL.cs 파일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부분은 국가명을 가져오거나(GetShippingCountries), 특정 국가의 주 명칭을 얻어오는 함수(GetCountryStates) 등이 들어있습니다. 일종의 데이터 액세스 클래스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첫 번째 예제는 이 DAL.cs의 함수들 중에 국가 명을 얻어오는 GetShippingCountries() 메서드와 지정된 국가의 주 명칭을 얻어오는 GetCountryStates() 메서드를 사용하게 됩니다. 각각은 DataTable과 DataView를 반환하도록 작성되어 있고요.

물론, 반드시 이렇게 데이터 액세스 컴포넌트를 만들어 써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메서드의 재 사용성을 위해서라도 이렇게 구성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N-Tier(Layer)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약간 주제에 어긋나는 것이기에 그 쪽 관련 설명은 여기까지만 하기로 하겠습니다. 실제적으로 우리가 관심있는 부분은 Ajax이니까요.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DropDownLink.aspx 페이지의 코드 비하인드 소스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일단은 버튼 submit 부분은 빼고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amespace AjaxSampleCS.Sample1
{
    public class DropDownLink : Page
    {
        protected DropDownList countries;
        protected DropDownList states;
        protected Button submit;

        private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이 클래스의 메서드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호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AjaxMethod로 표시
            Ajax.Utility.RegisterTypeForAjax(typeof(DropDownLink));
            if (!Page.IsPostBack)
            {
                countries.DataSource = DAL.GetShippingCountries();
                countries.DataTextField = "Country";
                countries.DataValueField = "Id";
                countries.DataBind();

                countries.Items.Insert(0, new ListItem("Please Select", "0"));
            }
        }

        [Ajax.AjaxMethod()]
        public DataView GetStates(int countryId)
        {
            return DAL.GetCountryStates(countryId);
        }

        …

원래 소스에서 주석은 영어로 표기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제가 번역해서 표현해 보았습니다. 착하죠? -_-a

일단, ASPX 페이지에서 준비가 되어야 할 것들은 무엇일까요?

1) 폼이 처음 로드 될 경우, 첫 번째 드롭 다운 컨트롤에 국가 명을 로드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물론, 이는 Ajax와는 무관한 작업이죠. 그래서, 보시다시피, Page_Load에는 그러한 코드가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첫 번째 드롭 다운 컨트롤에서 선택이 일어날 경우, Ajax를 통해서 두 번째 컨트롤에 해당 국가의 주(State)명을 로드해야 합니다. 이 부분이 우리의 핵심이죠. 그리고, 이 결과를 얻기 위해서 Ajax에서는 2가지의 작업으로 분리가 됩니다.

1. 지정된 국가의 주명을 얻어오는 서버 측 함수(Javascript에서 호출이 가능한) 제작
2. 그러한 서버 측 함수를 호출하고 얻어온 결과 데이터를 폼에 반영하는 자바스크립트 제작

이 중 서버 페이지인 ASPX 측에서는 1번이 준비되어야 할 것입니다. 해서, 소스를 보시면 바로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GetStates(int countryId) 메서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단, 이 메서드는 일반 메서드가 아닌 'Javascript에서 호출이 가능한 서버 함수'여야 합니다. 그래야 Ajax가 올바르게 구현되는 것이니까요.

맨땅에서 'Javascript에서 호출이 가능한 서버 함수'를 구현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여기서 Ajax.NET이 필요한 것입니다. Ajax.NET을 이용하게 되면 단지 'Javascript에서 호출이 가능한 서버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 해 주어야 할 것은 해당 함수 명 위에 간단한 Ajax.NET 어트리뷰트를 하나 추가하기만 하면 됩니다.

[Ajax.AjaxMethod()]

라는 어트리뷰트를 말이죠. 정말로 간단하죠? 단지 이것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해당 함수는 'Javascript에서 호출이 가능한 서버 함수'가 되는 것입니다. ^^

단, Ajax.NET을 올바르게 구동시키기 위한 [필요조건]이 하나 존재하고 있는데요. 그것은 추가적으로 서버 함수가 들어있는 클래스가 무엇인지를 Ajax.NET에게 알리는 것입니다. 해서, Page_Load 이벤트 안에는 다음과 같은 코드가 반드시 추가되어야 합니다.

Ajax.Utility.RegisterTypeForAjax(typeof(DropDownLink));

이는 필수적으로 넣어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Ajax.NET을 사용한다면 말이죠.

현재의 예제는 'Javascript에서 호출이 가능한 서버 함수'를 ASPX 페이지 클래스 안에 같이 두고 있지만, 개발자에 따라서는 이를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하고 싶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말이죠.

namespace AjaxSampleCS.Sample1
{
    public class MyAjaxClass
    {
        [Ajax.AjaxMethod()]
        public DataView GetStates(int countryId)
        {
            return DAL.GetCountryStates(countryId);
        }
    }

    public class DropDownLink : Page
    {
        protected DropDownList countries;
        protected DropDownList states;
        protected Button submit;

        private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Ajax.Utility.RegisterTypeForAjax(typeof(MyAjaxClass));
            if (!Page.IsPostBack)
            {
                countries.DataSource = DAL.GetShippingCountries();
                countries.DataTextField = "Country";
                countries.DataValueField = "Id";
                countries.DataBind();

                countries.Items.Insert(0, new ListItem("Please Select", "0"));
            }
        }

        …

이런 경우에는 Page_Load 이벤트에서 Ajax용 클래스 등록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 합니다.

Ajax.Utility.RegisterTypeForAjax(typeof(MyAjaxClass));

즉, 실제 Ajax용 함수가 존재하는 클래스를 등록해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렵지 않죠? 이것으로 서버 측의 설정은 끝입니다. 너무나도 간단합니다. 단지, 필요한 함수를 만들고, Ajax용 어트리뷰트만 지정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물론, Page_Load 이벤트에 Ajax용 클래스를 등록해주는 것도 잊어서는 안되겠죠?

자. 그렇다면 이제는 클라이언트 측의 Javascript를 한번 살펴볼까요? DropDownLink.aspx 파일의 HTML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form id="form" method="post" runat="server">
        <Common:Header runat="server" ID="Header1"/>
        <div class="content">
            <h4>Please select a Province or State to ship to</h4>
            <asp:DropDownList onChange="LoadStates(this)" ID="countries" Runat="server" />
            <asp:DropDownList ID="states" Runat="server" />
            <asp:Button ID="submit" Runat="server" Text="Submit" />
        </div>
    </form>
  </body>
</HTML>

<script language="javascript">
//states 드롭다운
var statesList = document.getElementById("<%=states.ClientID%>");

// 드롭다운에서 onChange 이벤트가 일어날 경우 호출된다
function LoadStates(countries)
{
    var countryId = countries.options[countries.selectedIndex].value;
    if (countryId > 0)
    {
        //DropDownLink는 우리가 등록해 놓은 타입 명이기에, Ajax.NET에 정의되어 있다
        DropDownLink.GetStates(countryId, LoadStates_CallBack);
    }
    else
    {
        // states 드롭다운을 깨끗이 비운다.
        states.options.length = 0;
    }
}
// Ajax.NET이 응답 데이터를 전달하는 콜백 함수
function LoadStates_CallBack(response)
{
    // 만일, 서버 코드가 예외를 일으킨다면
    if (response.error != null)
    {
        alert(response.error); //아마도 이보다는 더 나은 처리가 필요할 것이다.
        return;
    }

    var states = response.value;
    // 기대했던 응답 데이터가 아니라면
    if (states == null || typeof(states) != "object")
    {
        return;
    }

    statesList.options.length = 0; //reset the states dropdown
    // JavaScript는 대,소문자를 구분하기에 Length의 L은 반드시 소문자로 해야 한다.
    // (아마도 개발자가 그렇게 정의해 놓은 듯하다)
    for (var i = 0; i < states.Rows.length; ++i)
    {
        statesList.options[statesList.options.length] = new Option(states.Rows[i].State, states.Rows[i].Id);
    }
}
</script>

HTML 쪽에서 관심을 가질 부분은 첫 번째 드롭다운 컨트롤의 onChange 이벤트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onChange="LoadStates(this)". 여기서, 우리는 LoadStates 함수가 바로 서버 함수를 비 동기적으로 호출하는 핵심일 것임을 눈치채실 수 있습니다.

이제 JavaScript 쪽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스크립트가 시작하는 부분에서는 첫 번째 드롭다운 컨트롤 개체를 statesList라는 변수에 할당하고 있습니다. 드롭다운 개체를 얻기 위해서는 document.getElementById() 메서드를 이용하는데요. 이는 특정 이름를 갖는 폼 개체를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 주의할 부분은 드롭다운 컨트롤의 이름으로 'states'가 아닌 "<%=states.ClientID%>"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지정하는 이유는 드롭다운 컨트롤이 서버 컨트롤이기 때문입니다. 서버 컨트롤은 서버에서의 컨트롤 ID는 states이지만, 브라우저의 출력 HTML 에서는 그 ID가 동적으로 재 생성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컨트롤이 Panel과 같은 컨테이너 안에 들이었을 경우에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그러한 경우 ctl0_states와 같이 바뀌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해서, 서버 컨트롤이 HTML로 렌더될 때 실제로 할당될 이름을 알려주는 "<%=states.ClientID%>"를 사용한 것입니다. (물론, 현재의 경우는 그 이름 그대로 만들어질 것이긴 합니다만... ^^)

그리고, 이어서 LoadStates(countries) 함수가 존재합니다. 이 함수는 사용자가 첫 번째 드롭다운에서 국가를 선택할 경우 호출됩니다. 그리고, 바로 이 함수가 비 동기 호출을 수행하는 핵심 함수이기도 하죠. 그러면, 그 때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 이제 LoadStates 함수의 내부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은 첫 번째 드롭다운 컨트롤(countries)에서 현재 선택된 국가 값을 얻어와서 countryId라는 지역 변수에 담습니다. 그리고, 그 선택된 값이 0보다 크다면 즉, 어떤 국가가 선택된 상태라면 비 동기 호출을 수행하고, 선택된 값이 0이라면 두 번째 드롭다운 컨트롤을 초기화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function LoadStates(countries)
{
    var countryId = countries.options[countries.selectedIndex].value;
    if (countryId > 0)
    {
        //DropDownLink는 우리가 등록해 놓은 타입 명이기에, Ajax.NET에 정의되어 있다
        DropDownLink.GetStates(countryId, LoadStates_CallBack);
    }
    else
    {
        // states 드롭다운을 깨끗이 비운다.
        states.options.length = 0;
    }
}

핵심은 DropDownLink.GetStates(countryId, LoadStates_CallBack); 입니다. 이 부분이 재미있는 부분입니다. 서버에 존재하는 특정 서버함수로의 비 동기 호출을 하기 위해서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코드이죠. 보시다시피, DropDownLink.GetStates 라는 코드로 서버 함수를 접근하고 있습니다.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 동기 호출용 Ajax 클래스명].[호출할 Ajax 메서드] (필요한 인자, 콜백 함수명)

앞의 aspx 코드에서 우리는 Page_Load 시에 Ajax용 클래스를 DropDownLink로 등록했고, 또한 Ajax 호출용 메서드로 GetStates를 만들어 두었기에, 호출하는 문법은

DropDownLink.GetStates(countryId, LoadStates_CallBack);

와 같이 구성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메서드의 두 번째 인자인 LoadStates_CallBack 입니다. 이는 비 동기 호출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받게 되는 Javascript의 콜백 함수를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다시 말해서, 서버로의 비 동기 호출을 수행한 뒤, 결과 데이터를 LoadStates_CallBack라는 Javascript 함수에게 넘겨주겠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죠.

고로, LoadStates_CallBack라는 이름의 Javascript 함수도 존재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콜백 함수의 역할은 서버에서 넘겨준 결과 데이터를 가지고 웹 페이지에 동적으로 반영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해서, 이어지는 코드가 바로 그것입니다.

// Ajax.NET이 응답 데이터를 전달하는 콜백 함수
function LoadStates_CallBack(response)
{
    // 만일, 서버 코드가 예외를 일으킨다면
    if (response.error != null)
    {
        alert(response.error); //아마도 이보다는 더 나은 처리가 필요할 것이다.
        return;
    }

    var states = response.value;
    // 기대했던 응답 데이터가 아니라면
    if (states == null || typeof(states) != "object")
    {
        return;
    }

    statesList.options.length = 0; //reset the states dropdown
    // JavaScript는 대,소문자를 구분하기에 Length의 L은 반드시 소문자로 해야 한다.
    // (아마도 개발자가 그렇게 정의해 놓은 듯하다)
    for (var i = 0; i < states.Rows.length; ++i)
    {
        statesList.options[statesList.options.length] = new Option(states.Rows[i].State, states.Rows[i].Id);
    }
}
</script>

서버에서 처리된 결과는 함수의 인자인 response로 넘어오게 됩니다. 이 방식은 Webservice Behavior를 사용할 경우(세 번째 강좌)와 동일합니다. ^^

코드를 주~욱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에러가 발생했다면, 에러 메시지를 메시지박스로 나타내고 작업을 포기한다.
2. 응답 데이터를 states 변수에 담은 다음, 그 값이 null 이거나, 그 형식이 object가 아니라면
    작업을 역시 포기한다.
3. 두 번째 드롭다운 컨트롤을 초기화 하고, states의 행 만큼 반복하면서 데이터를 꺼내
    드롭다운 컨트롤에 추가한다.

재미있는 부분은 서버에서 반환된 DataView 데이터를 마치 실제 DataView를 쓰는 것처럼 states.Rows[i].State, states.Rows[i].Id와 같은 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Ajax.NET을 제작한 Schwarz가 추가적으로 스크립트 작업을 해 두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크게 어렵지는 않죠?

사실, 많은 작업이 Webservice Behavior 강좌에서 다루었던 부분과 유사합니다. 아마도 그렇게 느끼신 분이 많을 것입니다. 다만, 직접 XMLHTTP를 다루었을 때에 비해 편해진 점이라면,

1. 서버 메서드를 굳이 웹 서비스 메서드로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점
2. 그럼으로 해서, 서버 쪽 모듈 구성이 상대적으로 편해졌다는 점
3. 호출할 서버 페이지의 경로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4. Javascript에서 비 동기 호출을 위해 필요한 코드가 간소해졌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 중 좋은 점들은 ASP.NET 2.0 Atlas에도 반영이 되고 있습니다. Atlas의 알파버전을 살펴보면, 서버 모듈을 웹 서비스로 제작해야 한다는 부분만 제외하면 다른 장점들은 좋은 점만 쏙쏙 뽑아서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

서버 모듈을 웹 서비스로 분리하는 부분은 서버 모듈의 재 사용성 및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통합을 위해서도 탁월한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Atlas의 실제 모습은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긴 하지만, 그래서 살포시 기대가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어떤가요? 크게 어렵지가 않죠? 맨땅에서 구현하는 것보다 Ajax.NET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개발하기가 수월하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닙니다. Ajax.NET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현재 한 가지의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를 Ajax.NET의 문제라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좀 그렇습니다만 말입니다. 그것은 바로 동적으로 데이터를 채운 컨트롤의 VIEWSTATE는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말입니다)

이해가 되지 않는다구요?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 보시면 쉽니다.

DropDownLink 데모에서, 국가를 선택하면 두 번째 드롭다운에 주(State) 명이 주욱 나타나죠? 물론, 그 데이터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동적으로 넣은 데이터일 것입니다. 그 상태에서 서브밋 버튼을 클릭하면 어떻게 될까요?

페이지는 포스트백이 될 것이고, 현재 선택된 국가명과 주명이 화면에 찍혀 나오거나 할 것입니다. 그런데, 포스트백된 화면에서는 주명을 나열하는 두 번째 드롭다운 컨트롤의 데이터는 모두 사라질 것입니다. 그 데이터는 Javascript를 통해서 동적으로 넣은 값인지라 서버에서는 그 값에 대해서 전혀 모르기 때문입니다.

해서, 대안으로 DropDownLink.aspx 데모에서는 버튼 클릭 이벤트(코드 비하인드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추가적으로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submit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states 드롭다운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값을 채웠다는 것을 기억하라.
        //이는 그 값들이 viewstate에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드롭다운에서 선택된 값을 얻어오는 유일한 방법은 Request.Form을 이용하는 것이다.
        string selectedStateId = Request.Form[states.UniqueID];
        Response.Write("You selected province/state id: " + selectedStateId);

        //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값을 폼에 나타내려 할 경우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tates.DataSource = DAL.GetCountryStates(Convert.ToInt32(countries.SelectedIndex));
        states.DataTextField = "State";
        states.DataValueField = "Id";
        states.DataBind();
        states.SelectedIndex = states.Items.IndexOf(states.Items.FindByValue(selectedStateId));     }

이 작업은 주석에서 대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듯이 사용자가 선택한 국가명을 가지고, 서버에서 그 국가에 해당하는 주(state)명을 얻어와 두 번째 드롭다운에 채운 다음, 사용자가 선택한 값을 드롭다운 컨트롤에서 선택된 것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는 뭔가 반복적인 작업이 아니냐는 볼멘 소리가 나올 수도 있겠지만, 어쩔 수 없이 처리해 줘야 하는 부분입니다. 사실, 이 부분도 그나마 ASP.NET을 이용하니까 이 정도의 처리로 가능한 부분입니다. ASP 시절에 이와 같은 처리를 하려면 수많은 Javascript 코드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를 다시 채우는 작업을 반복해야 할테니까요.

어쨌든 이로써 예제는 마무리 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방식을 모두 다 확인한 지금의 여러분이라면, 'Ajax 프로그래밍이 그다지 쉽지 않네~ 얘 뭐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는 맨땅부터 작업하는 방식에 비하면 상당히 개발이 쉬어진 형태입니다. Ajax 스타일의 프로그래밍을 이미 접해본 개발자라면 제 의견에 동감하실 것입니다.

Ajax가 앞으로의 세상을 바꿀 것이고, 편리하게 만들 것이라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가고 있지만 이는 사실 사용자 측면에 해당하는 것이지 개발자 측면이라고 보기는 조금 애매합니다. 사실, Ajax를 도입하면 사용자의 사용성은 좋아질지 모르겠지만, 이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개발자 측면에서는 손이 더 많이 가게 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해서, 그러한 개발 생산성을 더욱 높이고자 MS를 비롯한 업체들이 Ajax용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는 것이죠. 말씀드렸다시피, Atlas가 바로 그런 목적으로 준비되고 있고요.

Atlas가 나올 경우, 얼마나 개발 생산성이 높아질 것인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라 제가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지만, 알파버전을 살포시 맛 본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적어도 Ajax.NET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상당히 나을 듯 하다는 느낌입니다.

중요한 것은 Ajax용 프레임워크가 제공되던, 제공되지 않던 개발자는 가능하다면 Ajax의 내부적인 흐름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간혹 주어지는 난제를 풀어 낼 실마리를 스스로 찾아낼 수 있을테니까요. 단순히, 갖춰진 틀 안에서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면 고객의 특별한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막다른 길에 막힌 듯한 상황을 접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즉, '이건 원래 안 되요(속으로는 가능한 방법이 있을 것 같긴 한데.. 하면서)' 와 같은 말로 둘러대야만 하는.. 슬픈 상황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깁니다. 안 된다고 이야기할 때는 꺼림직한 구석 없이 단호하게!! '이건 안됩니다' 라고 시원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개발자이고 싶다면.. 백그라운드도 조금은 살펴봐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적어도 이전 제 강좌를 살펴보신다면 그것으로도 어느 정도는 충분하지 않나 하는.. -_-;; 부족한가여? 그럼 어쩌지???).

사실, 저도 이런 말 할 자격은 없는 사람입니다만… 말입니다. 그래서, 더욱 노력하는 삶을 살아야 하지 않나 생각하며 반성합니다.

히힛. 이번 강좌는 좀 많이 길었는데요. ^^ 그래서, 강좌가 올라온 것도 좀 많이 늦어졌죠? 담에는 조금 더 빠른 텀을 두고 올라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강좌에서 뵈어요~


|
먼저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를 제일위에 다른 using문이랑 같이 써주구요...^^

class안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DllImport("User32.dll")]
public static extern UInt32 SendMessage( IntPtr hWnd, UInt32 Msg,
UInt32 wParam, UInt32 lParam);



그러면 SendMessage를 위의 형식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ㅡ.ㅡ;; 저는 이렇게 해결했습니다.
쿨럭~ 아무래도 정석적인 방법은 아니죠.

참.. 윈도우 메시지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각 메시지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는^^ MSDN 을 찾아보시는게 빠를겁니다.


WM_NULL = 0x0000,
        WM_CREATE = 0x0001,
        WM_DESTROY = 0x0002,
        WM_MOVE = 0x0003,
        WM_SIZE = 0x0005,
        WM_ACTIVATE = 0x0006,
        WM_SETFOCUS = 0x0007,
        WM_KILLFOCUS = 0x0008,
        WM_ENABLE = 0x000A,
        WM_SETREDRAW = 0x000B,
        WM_SETTEXT = 0x000C,
        WM_GETTEXT = 0x000D,
        WM_GETTEXTLENGTH = 0x000E,
        WM_PAINT = 0x000F,
        WM_CLOSE = 0x0010,
        WM_QUERYENDSESSION = 0x0011,
        WM_QUERYOPEN = 0x0013,
        WM_ENDSESSION = 0x0016,
        WM_QUIT = 0x0012,
        WM_ERASEBKGND = 0x0014,
        WM_SYSCOLORCHANGE = 0x0015,
        WM_SHOWWINDOW = 0x0018,
        WM_WININICHANGE = 0x001A,
        WM_SETTINGCHANGE = 0x001A,
        WM_DEVMODECHANGE = 0x001B,
        WM_ACTIVATEAPP = 0x001C,
        WM_FONTCHANGE = 0x001D,
        WM_TIMECHANGE = 0x001E,
        WM_CANCELMODE = 0x001F,
        WM_SETCURSOR = 0x0020,
        WM_MOUSEACTIVATE = 0x0021,
        WM_CHILDACTIVATE = 0x0022,
        WM_QUEUESYNC = 0x0023,
        WM_GETMINMAXINFO = 0x0024,
        WM_PAINTICON = 0x0026,
        WM_ICONERASEBKGND = 0x0027,
        WM_NEXTDLGCTL = 0x0028,
        WM_SPOOLERSTATUS = 0x002A,
        WM_DRAWITEM = 0x002B,
        WM_MEASUREITEM = 0x002C,
        WM_DELETEITEM = 0x002D,
        WM_VKEYTOITEM = 0x002E,
        WM_CHARTOITEM = 0x002F,
        WM_SETFONT = 0x0030,
        WM_GETFONT = 0x0031,
        WM_SETHOTKEY = 0x0032,
        WM_GETHOTKEY = 0x0033,
        WM_QUERYDRAGICON = 0x0037,
        WM_COMPAREITEM = 0x0039,
        WM_GETOBJECT = 0x003D,
        WM_COMPACTING = 0x0041,
        WM_COMMNOTIFY = 0x0044,
        WM_WINDOWPOSCHANGING = 0x0046,
        WM_WINDOWPOSCHANGED = 0x0047,
        WM_POWER = 0x0048,
        WM_COPYDATA = 0x004A,
        WM_CANCELJOURNAL = 0x004B,
        WM_NOTIFY = 0x004E,
        WM_INPUTLANGCHANGEREQUEST = 0x0050,
        WM_INPUTLANGCHANGE = 0x0051,
        WM_TCARD = 0x0052,
        WM_HELP = 0x0053,
        WM_USERCHANGED = 0x0054,
        WM_NOTIFYFORMAT = 0x0055,
        WM_CONTEXTMENU = 0x007B,
        WM_STYLECHANGING = 0x007C,
        WM_STYLECHANGED = 0x007D,
        WM_DISPLAYCHANGE = 0x007E,
        WM_GETICON = 0x007F,
        WM_SETICON = 0x0080,
        WM_NCCREATE = 0x0081,
        WM_NCDESTROY = 0x0082,
        WM_NCCALCSIZE = 0x0083,
        WM_NCHITTEST = 0x0084,
        WM_NCPAINT = 0x0085,
        WM_NCACTIVATE = 0x0086,
        WM_GETDLGCODE = 0x0087,
        WM_SYNCPAINT = 0x0088,
        WM_NCMOUSEMOVE = 0x00A0,
        WM_NCLBUTTONDOWN = 0x00A1,
        WM_NCLBUTTONUP = 0x00A2,
        WM_NCLBUTTONDBLCLK = 0x00A3,
        WM_NCRBUTTONDOWN = 0x00A4,
        WM_NCRBUTTONUP = 0x00A5,
        WM_NCRBUTTONDBLCLK = 0x00A6,
        WM_NCMBUTTONDOWN = 0x00A7,
        WM_NCMBUTTONUP = 0x00A8,
        WM_NCMBUTTONDBLCLK = 0x00A9,
        WM_NCXBUTTONDOWN = 0x00AB,
        WM_NCXBUTTONUP = 0x00AC,
        WM_NCXBUTTONDBLCLK = 0x00AD,
        WM_INPUT = 0x00FF,
        WM_KEYFIRST = 0x0100,
        WM_KEYDOWN = 0x0100,
        WM_KEYUP = 0x0101,
        WM_CHAR = 0x0102,
        WM_DEADCHAR = 0x0103,
        WM_SYSKEYDOWN = 0x0104,
        WM_SYSKEYUP = 0x0105,
        WM_SYSCHAR = 0x0106,
        WM_SYSDEADCHAR = 0x0107,
        WM_UNICHAR = 0x0109,
        WM_KEYLAST_NT501 = 0x0109,
        UNICODE_NOCHAR = 0xFFFF,
        WM_KEYLAST_PRE501 = 0x0108,
        WM_IME_STARTCOMPOSITION = 0x010D,
        WM_IME_ENDCOMPOSITION = 0x010E,
        WM_IME_COMPOSITION = 0x010F,
        WM_IME_KEYLAST = 0x010F,
        WM_INITDIALOG = 0x0110,
        WM_COMMAND = 0x0111,
        WM_SYSCOMMAND = 0x0112,
        WM_TIMER = 0x0113,
        WM_HSCROLL = 0x0114,
        WM_VSCROLL = 0x0115,
        WM_INITMENU = 0x0116,
        WM_INITMENUPOPUP = 0x0117,
        WM_MENUSELECT = 0x011F,
        WM_MENUCHAR = 0x0120,
        WM_ENTERIDLE = 0x0121,
        WM_MENURBUTTONUP = 0x0122,
        WM_MENUDRAG = 0x0123,
        WM_MENUGETOBJECT = 0x0124,
        WM_UNINITMENUPOPUP = 0x0125,
        WM_MENUCOMMAND = 0x0126,
        WM_CHANGEUISTATE = 0x0127,
        WM_UPDATEUISTATE = 0x0128,
        WM_QUERYUISTATE = 0x0129,
        WM_CTLCOLORMSGBOX = 0x0132,
        WM_CTLCOLOREDIT = 0x0133,
        WM_CTLCOLORLISTBOX = 0x0134,
        WM_CTLCOLORBTN = 0x0135,
        WM_CTLCOLORDLG = 0x0136,
        WM_CTLCOLORSCROLLBAR = 0x0137,
        WM_CTLCOLORSTATIC = 0x0138,
        WM_MOUSEFIRST = 0x0200,
        WM_MOUSEMOVE = 0x0200,
        WM_LBUTTONDOWN = 0x0201,
        WM_LBUTTONUP = 0x0202,
        WM_LBUTTONDBLCLK = 0x0203,
        WM_RBUTTONDOWN = 0x0204,
        WM_RBUTTONUP = 0x0205,
        WM_RBUTTONDBLCLK = 0x0206,
        WM_MBUTTONDOWN = 0x0207,
        WM_MBUTTONUP = 0x0208,
        WM_MBUTTONDBLCLK = 0x0209,
        WM_MOUSEWHEEL = 0x020A,
        WM_XBUTTONDOWN = 0x020B,
        WM_XBUTTONUP = 0x020C,
        WM_XBUTTONDBLCLK = 0x020D,
        WM_MOUSELAST_5 = 0x020D,
        WM_MOUSELAST_4 = 0x020A,
        WM_MOUSELAST_PRE_4 = 0x0209,
        WM_PARENTNOTIFY = 0x0210,
        WM_ENTERMENULOOP = 0x0211,
        WM_EXITMENULOOP = 0x0212,
        WM_NEXTMENU = 0x0213,
        WM_SIZING = 0x0214,
        WM_CAPTURECHANGED = 0x0215,
        WM_MOVING = 0x0216,
        WM_POWERBROADCAST = 0x0218,
        WM_DEVICECHANGE = 0x0219,
        WM_MDICREATE = 0x0220,
        WM_MDIDESTROY = 0x0221,
        WM_MDIACTIVATE = 0x0222,
        WM_MDIRESTORE = 0x0223,
        WM_MDINEXT = 0x0224,
        WM_MDIMAXIMIZE = 0x0225,
        WM_MDITILE = 0x0226,
        WM_MDICASCADE = 0x0227,
        WM_MDIICONARRANGE = 0x0228,
        WM_MDIGETACTIVE = 0x0229,
        WM_MDISETMENU = 0x0230,
        WM_ENTERSIZEMOVE = 0x0231,
        WM_EXITSIZEMOVE = 0x0232,
        WM_DROPFILES = 0x0233,
        WM_MDIREFRESHMENU = 0x0234,
        WM_IME_SETCONTEXT = 0x0281,
        WM_IME_NOTIFY = 0x0282,
        WM_IME_CONTROL = 0x0283,
        WM_IME_COMPOSITIONFULL = 0x0284,
        WM_IME_SELECT = 0x0285,
        WM_IME_CHAR = 0x0286,
        WM_IME_REQUEST = 0x0288,
        WM_IME_KEYDOWN = 0x0290,
        WM_IME_KEYUP = 0x0291,
        WM_MOUSEHOVER = 0x02A1,
        WM_MOUSELEAVE = 0x02A3,
        WM_NCMOUSEHOVER = 0x02A0,
        WM_NCMOUSELEAVE = 0x02A2,
        WM_WTSSESSION_CHANGE = 0x02B1,
        WM_TABLET_FIRST = 0x02c0,
        WM_TABLET_LAST = 0x02df,
        WM_CUT = 0x0300,
        WM_COPY = 0x0301,
        WM_PASTE = 0x0302,
        WM_CLEAR = 0x0303,
        WM_UNDO = 0x0304,
        WM_RENDERFORMAT = 0x0305,
        WM_RENDERALLFORMATS = 0x0306,
        WM_DESTROYCLIPBOARD = 0x0307,
        WM_DRAWCLIPBOARD = 0x0308,
        WM_PAINTCLIPBOARD = 0x0309,
        WM_VSCROLLCLIPBOARD = 0x030A,
        WM_SIZECLIPBOARD = 0x030B,
        WM_ASKCBFORMATNAME = 0x030C,
        WM_CHANGECBCHAIN = 0x030D,
        WM_HSCROLLCLIPBOARD = 0x030E,
        WM_QUERYNEWPALETTE = 0x030F,
        WM_PALETTEISCHANGING = 0x0310,
        WM_PALETTECHANGED = 0x0311,
        WM_HOTKEY = 0x0312,
        WM_PRINT = 0x0317,
        WM_PRINTCLIENT = 0x0318,
        WM_APPCOMMAND = 0x0319,
        WM_THEMECHANGED = 0x031A,
        WM_HANDHELDFIRST = 0x0358,
        WM_HANDHELDLAST = 0x035F,
        WM_AFXFIRST = 0x0360,
        WM_AFXLAST = 0x037F,
        WM_PENWINFIRST = 0x0380,
        WM_PENWINLAST = 0x038F,
        WM_APP = 0x8000,
        WM_USER = 0x0400,
        EM_GETSEL = 0x00B0,
        EM_SETSEL = 0x00B1,
        EM_GETRECT = 0x00B2,
        EM_SETRECT = 0x00B3,
        EM_SETRECTNP = 0x00B4,
        EM_SCROLL = 0x00B5,
        EM_LINESCROLL = 0x00B6,
        EM_SCROLLCARET = 0x00B7,
        EM_GETMODIFY = 0x00B8,
        EM_SETMODIFY = 0x00B9,
        EM_GETLINECOUNT = 0x00BA,
        EM_LINEINDEX = 0x00BB,
        EM_SETHANDLE = 0x00BC,
        EM_GETHANDLE = 0x00BD,
        EM_GETTHUMB = 0x00BE,
        EM_LINELENGTH = 0x00C1,
        EM_REPLACESEL = 0x00C2,
        EM_GETLINE = 0x00C4,
        EM_LIMITTEXT = 0x00C5,
        EM_CANUNDO = 0x00C6,
        EM_UNDO = 0x00C7,
        EM_FMTLINES = 0x00C8,
        EM_LINEFROMCHAR = 0x00C9,
        EM_SETTABSTOPS = 0x00CB,
        EM_SETPASSWORDCHAR = 0x00CC,
        EM_EMPTYUNDOBUFFER = 0x00CD,
        EM_GETFIRSTVISIBLELINE = 0x00CE,
        EM_SETREADONLY = 0x00CF,
        EM_SETWORDBREAKPROC = 0x00D0,
        EM_GETWORDBREAKPROC = 0x00D1,
        EM_GETPASSWORDCHAR = 0x00D2,
        EM_SETMARGINS = 0x00D3,
        EM_GETMARGINS = 0x00D4,
        EM_SETLIMITTEXT = EM_LIMITTEXT,
        EM_GETLIMITTEXT = 0x00D5,
        EM_POSFROMCHAR = 0x00D6,
        EM_CHARFROMPOS = 0x00D7,
        EM_SETIMESTATUS = 0x00D8,
        EM_GETIMESTATUS = 0x00D9,
        BM_GETCHECK= 0x00F0,
        BM_SETCHECK= 0x00F1,
        BM_GETSTATE= 0x00F2,
        BM_SETSTATE= 0x00F3,
        BM_SETSTYLE= 0x00F4,
        BM_CLICK = 0x00F5,
        BM_GETIMAGE= 0x00F6,
        BM_SETIMAGE= 0x00F7,
        STM_SETICON = 0x0170,
        STM_GETICON = 0x0171,
        STM_SETIMAGE = 0x0172,
        STM_GETIMAGE = 0x0173,
        STM_MSGMAX = 0x0174,
        DM_GETDEFID = (WM_USER+0),
        DM_SETDEFID = (WM_USER+1),
        DM_REPOSITION = (WM_USER+2),
        LB_ADDSTRING = 0x0180,
        LB_INSERTSTRING = 0x0181,
        LB_DELETESTRING = 0x0182,
        LB_SELITEMRANGEEX= 0x0183,
        LB_RESETCONTENT = 0x0184,
        LB_SETSEL = 0x0185,
        LB_SETCURSEL = 0x0186,
        LB_GETSEL = 0x0187,
        LB_GETCURSEL = 0x0188,
        LB_GETTEXT = 0x0189,
        LB_GETTEXTLEN = 0x018A,
        LB_GETCOUNT = 0x018B,
        LB_SELECTSTRING = 0x018C,
        LB_DIR = 0x018D,
        LB_GETTOPINDEX = 0x018E,
        LB_FINDSTRING = 0x018F,
        LB_GETSELCOUNT = 0x0190,
        LB_GETSELITEMS = 0x0191,
        LB_SETTABSTOPS = 0x0192,
        LB_GETHORIZONTALEXTENT = 0x0193,
        LB_SETHORIZONTALEXTENT = 0x0194,
        LB_SETCOLUMNWIDTH = 0x0195,
        LB_ADDFILE = 0x0196,
        LB_SETTOPINDEX = 0x0197,
        LB_GETITEMRECT = 0x0198,
        LB_GETITEMDATA = 0x0199,
        LB_SETITEMDATA = 0x019A,
        LB_SELITEMRANGE = 0x019B,
        LB_SETANCHORINDEX = 0x019C,
        LB_GETANCHORINDEX = 0x019D,
        LB_SETCARETINDEX = 0x019E,
        LB_GETCARETINDEX = 0x019F,
        LB_SETITEMHEIGHT = 0x01A0,
        LB_GETITEMHEIGHT = 0x01A1,
        LB_FINDSTRINGEXACT = 0x01A2,
        LB_SETLOCALE = 0x01A5,
        LB_GETLOCALE = 0x01A6,
        LB_SETCOUNT = 0x01A7,
        LB_INITSTORAGE = 0x01A8,
        LB_ITEMFROMPOINT = 0x01A9,
        LB_MULTIPLEADDSTRING = 0x01B1,
        LB_GETLISTBOXINFO= 0x01B2,
        LB_MSGMAX_501 = 0x01B3,
        LB_MSGMAX_WCE4 = 0x01B1,
        LB_MSGMAX_4 = 0x01B0,
        LB_MSGMAX_PRE4 = 0x01A8,
        CB_GETEDITSEL = 0x0140,
        CB_LIMITTEXT = 0x0141,
        CB_SETEDITSEL = 0x0142,
        CB_ADDSTRING = 0x0143,
        CB_DELETESTRING = 0x0144,
        CB_DIR = 0x0145,
        CB_GETCOUNT = 0x0146,
        CB_GETCURSEL = 0x0147,
        CB_GETLBTEXT = 0x0148,
        CB_GETLBTEXTLEN = 0x0149,
        CB_INSERTSTRING = 0x014A,
        CB_RESETCONTENT = 0x014B,
        CB_FINDSTRING = 0x014C,
        CB_SELECTSTRING = 0x014D,
        CB_SETCURSEL = 0x014E,
        CB_SHOWDROPDOWN = 0x014F,
        CB_GETITEMDATA = 0x0150,
        CB_SETITEMDATA = 0x0151,
        CB_GETDROPPEDCONTROLRECT = 0x0152,
        CB_SETITEMHEIGHT = 0x0153,
        CB_GETITEMHEIGHT = 0x0154,
        CB_SETEXTENDEDUI = 0x0155,
        CB_GETEXTENDEDUI = 0x0156,
        CB_GETDROPPEDSTATE = 0x0157,
        CB_FINDSTRINGEXACT = 0x0158,
        CB_SETLOCALE = 0x0159,
        CB_GETLOCALE = 0x015A,
        CB_GETTOPINDEX = 0x015B,
        CB_SETTOPINDEX = 0x015C,
        CB_GETHORIZONTALEXTENT = 0x015d,
        CB_SETHORIZONTALEXTENT = 0x015e,
        CB_GETDROPPEDWIDTH = 0x015f,
        CB_SETDROPPEDWIDTH = 0x0160,
        CB_INITSTORAGE = 0x0161,
        CB_MULTIPLEADDSTRING = 0x0163,
        CB_GETCOMBOBOXINFO = 0x0164,
        CB_MSGMAX_501 = 0x0165,
        CB_MSGMAX_WCE400 = 0x0163,
        CB_MSGMAX_400 = 0x0162,
        CB_MSGMAX_PRE400 = 0x015B,
        SBM_SETPOS = 0x00E0,
        SBM_GETPOS = 0x00E1,
        SBM_SETRANGE = 0x00E2,
        SBM_SETRANGEREDRAW = 0x00E6,
        SBM_GETRANGE = 0x00E3,
        SBM_ENABLE_ARROWS = 0x00E4,
        SBM_SETSCROLLINFO = 0x00E9,
        SBM_GETSCROLLINFO = 0x00EA,
        SBM_GETSCROLLBARINFO= 0x00EB,
        LVM_FIRST = 0x1000,// ListView messages
        TV_FIRST = 0x1100,// TreeView messages
        HDM_FIRST = 0x1200,// Header messages
        TCM_FIRST = 0x1300,// Tab control messages
        PGM_FIRST = 0x1400,// Pager control messages
        ECM_FIRST = 0x1500,// Edit control messages
        BCM_FIRST = 0x1600,// Button control messages
        CBM_FIRST = 0x1700,// Combobox control messages
        CCM_FIRST = 0x2000,// Common control shared messages
        CCM_LAST =(CCM_FIRST + 0x200),
        CCM_SETBKCOLOR = (CCM_FIRST + 1),
        CCM_SETCOLORSCHEME = (CCM_FIRST + 2),
        CCM_GETCOLORSCHEME = (CCM_FIRST + 3),
        CCM_GETDROPTARGET = (CCM_FIRST + 4),
        CCM_SETUNICODEFORMAT = (CCM_FIRST + 5),
        CCM_GETUNICODEFORMAT = (CCM_FIRST + 6),
        CCM_SETVERSION = (CCM_FIRST + 0x7),
        CCM_GETVERSION = (CCM_FIRST + 0x8),
        CCM_SETNOTIFYWINDOW = (CCM_FIRST + 0x9),
        CCM_SETWINDOWTHEME = (CCM_FIRST + 0xb),
        CCM_DPISCALE = (CCM_FIRST + 0xc),
        HDM_GETITEMCOUNT = (HDM_FIRST + 0),
        HDM_INSERTITEMA = (HDM_FIRST + 1),
        HDM_INSERTITEMW = (HDM_FIRST + 10),
        HDM_DELETEITEM = (HDM_FIRST + 2),
        HDM_GETITEMA = (HDM_FIRST + 3),
        HDM_GETITEMW = (HDM_FIRST + 11),
        HDM_SETITEMA = (HDM_FIRST + 4),
        HDM_SETITEMW = (HDM_FIRST + 12),
        HDM_LAYOUT = (HDM_FIRST + 5),
        HDM_HITTEST = (HDM_FIRST + 6),
        HDM_GETITEMRECT = (HDM_FIRST + 7),
        HDM_SETIMAGELIST = (HDM_FIRST + 8),
        HDM_GETIMAGELIST = (HDM_FIRST + 9),
        HDM_ORDERTOINDEX = (HDM_FIRST + 15),
        HDM_CREATEDRAGIMAGE = (HDM_FIRST + 16),
        HDM_GETORDERARRAY = (HDM_FIRST + 17),
        HDM_SETORDERARRAY = (HDM_FIRST + 18),
        HDM_SETHOTDIVIDER = (HDM_FIRST + 19),
        HDM_SETBITMAPMARGIN = (HDM_FIRST + 20),
        HDM_GETBITMAPMARGIN = (HDM_FIRST + 21),
        HD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HD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HDM_SETFILTERCHANGETIMEOUT = (HDM_FIRST+22),
        HDM_EDITFILTER = (HDM_FIRST+23),
        HDM_CLEARFILTER = (HDM_FIRST+24),
        TB_ENABLEBUTTON = (WM_USER + 1),
        TB_CHECKBUTTON = (WM_USER + 2),
        TB_PRESSBUTTON = (WM_USER + 3),
        TB_HIDEBUTTON = (WM_USER + 4),
        TB_INDETERMINATE = (WM_USER + 5),
        TB_MARKBUTTON = (WM_USER + 6),
        TB_ISBUTTONENABLED = (WM_USER + 9),
        TB_ISBUTTONCHECKED = (WM_USER + 10),
        TB_ISBUTTONPRESSED = (WM_USER + 11),
        TB_ISBUTTONHIDDEN = (WM_USER + 12),
        TB_ISBUTTONINDETERMINATE = (WM_USER + 13),
        TB_ISBUTTONHIGHLIGHTED = (WM_USER + 14),
        TB_SETSTATE = (WM_USER + 17),
        TB_GETSTATE = (WM_USER + 18),
        TB_ADDBITMAP = (WM_USER + 19),
        TB_ADDBUTTONSA = (WM_USER + 20),
        TB_INSERTBUTTONA = (WM_USER + 21),
        TB_ADDBUTTONS = (WM_USER + 20),
        TB_INSERTBUTTON = (WM_USER + 21),
        TB_DELETEBUTTON = (WM_USER + 22),
        TB_GETBUTTON = (WM_USER + 23),
        TB_BUTTONCOUNT = (WM_USER + 24),
        TB_COMMANDTOINDEX = (WM_USER + 25),
        TB_SAVERESTOREA = (WM_USER + 26),
        TB_SAVERESTOREW = (WM_USER + 76),
        TB_CUSTOMIZE = (WM_USER + 27),
        TB_ADDSTRINGA = (WM_USER + 28),
        TB_ADDSTRINGW = (WM_USER + 77),
        TB_GETITEMRECT = (WM_USER + 29),
        TB_BUTTONSTRUCTSIZE = (WM_USER + 30),
        TB_SETBUTTONSIZE = (WM_USER + 31),
        TB_SETBITMAPSIZE = (WM_USER + 32),
        TB_AUTOSIZE = (WM_USER + 33),
        TB_GETTOOLTIPS = (WM_USER + 35),
        TB_SETTOOLTIPS = (WM_USER + 36),
        TB_SETPARENT = (WM_USER + 37),
        TB_SETROWS = (WM_USER + 39),
        TB_GETROWS = (WM_USER + 40),
        TB_SETCMDID = (WM_USER + 42),
        TB_CHANGEBITMAP = (WM_USER + 43),
        TB_GETBITMAP = (WM_USER + 44),
        TB_GETBUTTONTEXTA = (WM_USER + 45),
        TB_GETBUTTONTEXTW = (WM_USER + 75),
        TB_REPLACEBITMAP = (WM_USER + 46),
        TB_SETINDENT = (WM_USER + 47),
        TB_SETIMAGELIST = (WM_USER + 48),
        TB_GETIMAGELIST = (WM_USER + 49),
        TB_LOADIMAGES = (WM_USER + 50),
        TB_GETRECT = (WM_USER + 51),
        TB_SETHOTIMAGELIST = (WM_USER + 52),
        TB_GETHOTIMAGELIST = (WM_USER + 53),
        TB_SETDISABLEDIMAGELIST = (WM_USER + 54),
        TB_GETDISABLEDIMAGELIST = (WM_USER + 55),
        TB_SETSTYLE = (WM_USER + 56),
        TB_GETSTYLE = (WM_USER + 57),
        TB_GETBUTTONSIZE = (WM_USER + 58),
        TB_SETBUTTONWIDTH = (WM_USER + 59),
        TB_SETMAXTEXTROWS = (WM_USER + 60),
        TB_GETTEXTROWS = (WM_USER + 61),
        TB_GETOBJECT = (WM_USER + 62),
        TB_GETHOTITEM = (WM_USER + 71),
        TB_SETHOTITEM = (WM_USER + 72),
        TB_SETANCHORHIGHLIGHT = (WM_USER + 73),
        TB_GETANCHORHIGHLIGHT = (WM_USER + 74),
        TB_MAPACCELERATORA = (WM_USER + 78),
        TB_GETINSERTMARK = (WM_USER + 79),
        TB_SETINSERTMARK = (WM_USER + 80),
        TB_INSERTMARKHITTEST = (WM_USER + 81),
        TB_MOVEBUTTON = (WM_USER + 82),
        TB_GETMAXSIZE = (WM_USER + 83),
        TB_SETEXTENDEDSTYLE = (WM_USER + 84),
        TB_GETEXTENDEDSTYLE = (WM_USER + 85),
        TB_GETPADDING = (WM_USER + 86),
        TB_SETPADDING = (WM_USER + 87),
        TB_SETINSERTMARKCOLOR = (WM_USER + 88),
        TB_GETINSERTMARKCOLOR = (WM_USER + 89),
        TB_SETCOLORSCHEME = CCM_SETCOLORSCHEME,
        TB_GETCOLORSCHEME = CCM_GETCOLORSCHEME,
        TB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TB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TB_MAPACCELERATORW = (WM_USER + 90),
        TB_GETBITMAPFLAGS = (WM_USER + 41),
        TB_GETBUTTONINFOW = (WM_USER + 63),
        TB_SETBUTTONINFOW = (WM_USER + 64),
        TB_GETBUTTONINFOA = (WM_USER + 65),
        TB_SETBUTTONINFOA = (WM_USER + 66),
        TB_INSERTBUTTONW = (WM_USER + 67),
        TB_ADDBUTTONSW = (WM_USER + 68),
        TB_HITTEST = (WM_USER + 69),
        TB_SETDRAWTEXTFLAGS = (WM_USER + 70),
        TB_GETSTRINGW = (WM_USER + 91),
        TB_GETSTRINGA = (WM_USER + 92),
        TB_GETMETRICS = (WM_USER + 101),
        TB_SETMETRICS = (WM_USER + 102),
        TB_SETWINDOWTHEME = CCM_SETWINDOWTHEME,
        RB_INSERTBANDA = (WM_USER + 1),
        RB_DELETEBAND = (WM_USER + 2),
        RB_GETBARINFO = (WM_USER + 3),
        RB_SETBARINFO = (WM_USER + 4),
        RB_GETBANDINFO = (WM_USER + 5),
        RB_SETBANDINFOA = (WM_USER + 6),
        RB_SETPARENT = (WM_USER + 7),
        RB_HITTEST = (WM_USER + 8),
        RB_GETRECT = (WM_USER + 9),
        RB_INSERTBANDW = (WM_USER + 10),
        RB_SETBANDINFOW = (WM_USER + 11),
        RB_GETBANDCOUNT = (WM_USER + 12),
        RB_GETROWCOUNT = (WM_USER + 13),
        RB_GETROWHEIGHT = (WM_USER + 14),
        RB_IDTOINDEX = (WM_USER + 16),
        RB_GETTOOLTIPS = (WM_USER + 17),
        RB_SETTOOLTIPS = (WM_USER + 18),
        RB_SETBKCOLOR = (WM_USER + 19),
        RB_GETBKCOLOR = (WM_USER + 20),
        RB_SETTEXTCOLOR = (WM_USER + 21),
        RB_GETTEXTCOLOR = (WM_USER + 22),
        RB_SIZETORECT = (WM_USER + 23),
        RB_SETCOLORSCHEME = CCM_SETCOLORSCHEME,
        RB_GETCOLORSCHEME = CCM_GETCOLORSCHEME,
        RB_BEGINDRAG = (WM_USER + 24),
        RB_ENDDRAG = (WM_USER + 25),
        RB_DRAGMOVE = (WM_USER + 26),
        RB_GETBARHEIGHT = (WM_USER + 27),
        RB_GETBANDINFOW = (WM_USER + 28),
        RB_GETBANDINFOA = (WM_USER + 29),
        RB_MINIMIZEBAND = (WM_USER + 30),
        RB_MAXIMIZEBAND = (WM_USER + 31),
        RB_GETDROPTARGET = (CCM_GETDROPTARGET),
        RB_GETBANDBORDERS = (WM_USER + 34),
        RB_SHOWBAND = (WM_USER + 35),
        RB_SETPALETTE = (WM_USER + 37),
        RB_GETPALETTE = (WM_USER + 38),
        RB_MOVEBAND = (WM_USER + 39),
        RB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RB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RB_GETBANDMARGINS = (WM_USER + 40),
        RB_SETWINDOWTHEME = CCM_SETWINDOWTHEME,
        RB_PUSHCHEVRON = (WM_USER + 43),
        TTM_ACTIVATE = (WM_USER + 1),
        TTM_SETDELAYTIME = (WM_USER + 3),
        TTM_ADDTOOLA = (WM_USER + 4),
        TTM_ADDTOOLW = (WM_USER + 50),
        TTM_DELTOOLA = (WM_USER + 5),
        TTM_DELTOOLW = (WM_USER + 51),
        TTM_NEWTOOLRECTA = (WM_USER + 6),
        TTM_NEWTOOLRECTW = (WM_USER + 52),
        TTM_RELAYEVENT = (WM_USER + 7),
        TTM_GETTOOLINFOA = (WM_USER + 8),
        TTM_GETTOOLINFOW = (WM_USER + 53),
        TTM_SETTOOLINFOA = (WM_USER + 9),
        TTM_SETTOOLINFOW = (WM_USER + 54),
        TTM_HITTESTA = (WM_USER +10),
        TTM_HITTESTW = (WM_USER +55),
        TTM_GETTEXTA = (WM_USER +11),
        TTM_GETTEXTW = (WM_USER +56),
        TTM_UPDATETIPTEXTA = (WM_USER +12),
        TTM_UPDATETIPTEXTW = (WM_USER +57),
        TTM_GETTOOLCOUNT = (WM_USER +13),
        TTM_ENUMTOOLSA = (WM_USER +14),
        TTM_ENUMTOOLSW = (WM_USER +58),
        TTM_GETCURRENTTOOLA = (WM_USER + 15),
        TTM_GETCURRENTTOOLW = (WM_USER + 59),
        TTM_WINDOWFROMPOINT = (WM_USER + 16),
        TTM_TRACKACTIVATE = (WM_USER + 17),
        TTM_TRACKPOSITION = (WM_USER + 18),
        TTM_SETTIPBKCOLOR = (WM_USER + 19),
        TTM_SETTIPTEXTCOLOR = (WM_USER + 20),
        TTM_GETDELAYTIME = (WM_USER + 21),
        TTM_GETTIPBKCOLOR = (WM_USER + 22),
        TTM_GETTIPTEXTCOLOR = (WM_USER + 23),
        TTM_SETMAXTIPWIDTH = (WM_USER + 24),
        TTM_GETMAXTIPWIDTH = (WM_USER + 25),
        TTM_SETMARGIN = (WM_USER + 26),
        TTM_GETMARGIN = (WM_USER + 27),
        TTM_POP = (WM_USER + 28),
        TTM_UPDATE = (WM_USER + 29),
        TTM_GETBUBBLESIZE = (WM_USER + 30),
        TTM_ADJUSTRECT = (WM_USER + 31),
        TTM_SETTITLEA = (WM_USER + 32),
        TTM_SETTITLEW = (WM_USER + 33),
        TTM_POPUP = (WM_USER + 34),
        TTM_GETTITLE = (WM_USER + 35),
        TTM_SETWINDOWTHEME = CCM_SETWINDOWTHEME,
        SB_SETTEXTA = (WM_USER+1),
        SB_SETTEXTW = (WM_USER+11),
        SB_GETTEXTA = (WM_USER+2),
        SB_GETTEXTW = (WM_USER+13),
        SB_GETTEXTLENGTHA = (WM_USER+3),
        SB_GETTEXTLENGTHW = (WM_USER+12),
        SB_SETPARTS = (WM_USER+4),
        SB_GETPARTS = (WM_USER+6),
        SB_GETBORDERS = (WM_USER+7),
        SB_SETMINHEIGHT = (WM_USER+8),
        SB_SIMPLE = (WM_USER+9),
        SB_GETRECT = (WM_USER+10),
        SB_ISSIMPLE = (WM_USER+14),
        SB_SETICON = (WM_USER+15),
        SB_SETTIPTEXTA = (WM_USER+16),
        SB_SETTIPTEXTW = (WM_USER+17),
        SB_GETTIPTEXTA = (WM_USER+18),
        SB_GETTIPTEXTW = (WM_USER+19),
        SB_GETICON = (WM_USER+20),
        SB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SB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SB_SETBKCOLOR = CCM_SETBKCOLOR,
        SB_SIMPLEID = 0x00ff,
        TBM_GETPOS = (WM_USER),
        TBM_GETRANGEMIN = (WM_USER+1),
        TBM_GETRANGEMAX = (WM_USER+2),
        TBM_GETTIC = (WM_USER+3),
        TBM_SETTIC = (WM_USER+4),
        TBM_SETPOS = (WM_USER+5),
        TBM_SETRANGE = (WM_USER+6),
        TBM_SETRANGEMIN = (WM_USER+7),
        TBM_SETRANGEMAX = (WM_USER+8),
        TBM_CLEARTICS = (WM_USER+9),
        TBM_SETSEL = (WM_USER+10),
        TBM_SETSELSTART = (WM_USER+11),
        TBM_SETSELEND = (WM_USER+12),
        TBM_GETPTICS = (WM_USER+14),
        TBM_GETTICPOS = (WM_USER+15),
        TBM_GETNUMTICS = (WM_USER+16),
        TBM_GETSELSTART = (WM_USER+17),
        TBM_GETSELEND = (WM_USER+18),
        TBM_CLEARSEL = (WM_USER+19),
        TBM_SETTICFREQ = (WM_USER+20),
        TBM_SETPAGESIZE = (WM_USER+21),
        TBM_GETPAGESIZE = (WM_USER+22),
        TBM_SETLINESIZE = (WM_USER+23),
        TBM_GETLINESIZE = (WM_USER+24),
        TBM_GETTHUMBRECT = (WM_USER+25),
        TBM_GETCHANNELRECT = (WM_USER+26),
        TBM_SETTHUMBLENGTH = (WM_USER+27),
        TBM_GETTHUMBLENGTH = (WM_USER+28),
        TBM_SETTOOLTIPS = (WM_USER+29),
        TBM_GETTOOLTIPS = (WM_USER+30),
        TBM_SETTIPSIDE = (WM_USER+31),
        TBM_SETBUDDY = (WM_USER+32),
        TBM_GETBUDDY = (WM_USER+33),
        TB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TB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DL_BEGINDRAG = (WM_USER+133),
        DL_DRAGGING = (WM_USER+134),
        DL_DROPPED = (WM_USER+135),
        DL_CANCELDRAG = (WM_USER+136),
        UDM_SETRANGE = (WM_USER+101),
        UDM_GETRANGE = (WM_USER+102),
        UDM_SETPOS = (WM_USER+103),
        UDM_GETPOS = (WM_USER+104),
        UDM_SETBUDDY = (WM_USER+105),
        UDM_GETBUDDY = (WM_USER+106),
        UDM_SETACCEL = (WM_USER+107),
        UDM_GETACCEL = (WM_USER+108),
        UDM_SETBASE = (WM_USER+109),
        UDM_GETBASE = (WM_USER+110),
        UDM_SETRANGE32 = (WM_USER+111),
        UDM_GETRANGE32 = (WM_USER+112),
        UD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UD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UDM_SETPOS32 = (WM_USER+113),
        UDM_GETPOS32 = (WM_USER+114),
        PBM_SETRANGE = (WM_USER+1),
        PBM_SETPOS = (WM_USER+2),
        PBM_DELTAPOS = (WM_USER+3),
        PBM_SETSTEP = (WM_USER+4),
        PBM_STEPIT = (WM_USER+5),
        PBM_SETRANGE32 = (WM_USER+6),
        PBM_GETRANGE = (WM_USER+7),
        PBM_GETPOS = (WM_USER+8),
        PBM_SETBARCOLOR = (WM_USER+9),
        PBM_SETBKCOLOR = CCM_SETBKCOLOR,
        HKM_SETHOTKEY = (WM_USER+1),
        HKM_GETHOTKEY = (WM_USER+2),
        HKM_SETRULES = (WM_USER+3),
        LV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LV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LVM_GETBKCOLOR = (LVM_FIRST + 0),
        LVM_SETBKCOLOR = (LVM_FIRST + 1),
        LVM_GETIMAGELIST = (LVM_FIRST + 2),
        LVM_SETIMAGELIST = (LVM_FIRST + 3),
        LVM_GETITEMCOUNT = (LVM_FIRST + 4),
        LVM_GETITEMA = (LVM_FIRST + 5),
        LVM_GETITEMW = (LVM_FIRST + 75),
        LVM_SETITEMA = (LVM_FIRST + 6),
        LVM_SETITEMW = (LVM_FIRST + 76),
        LVM_INSERTITEMA = (LVM_FIRST + 7),
        LVM_INSERTITEMW = (LVM_FIRST + 77),
        LVM_DELETEITEM = (LVM_FIRST + 8),
        LVM_DELETEALLITEMS = (LVM_FIRST + 9),
        LVM_GETCALLBACKMASK = (LVM_FIRST + 10),
        LVM_SETCALLBACKMASK = (LVM_FIRST + 11),
        LVM_FINDITEMA = (LVM_FIRST + 13),
        LVM_FINDITEMW = (LVM_FIRST + 83),
        LVM_GETITEMRECT = (LVM_FIRST + 14),
        LVM_SETITEMPOSITION = (LVM_FIRST + 15),
        LVM_GETITEMPOSITION = (LVM_FIRST + 16),
        LVM_GETSTRINGWIDTHA = (LVM_FIRST + 17),
        LVM_GETSTRINGWIDTHW = (LVM_FIRST + 87),
        LVM_HITTEST = (LVM_FIRST + 18),
        LVM_ENSUREVISIBLE = (LVM_FIRST + 19),
        LVM_SCROLL = (LVM_FIRST + 20),
        LVM_REDRAWITEMS = (LVM_FIRST + 21),
        LVM_ARRANGE = (LVM_FIRST + 22),
        LVM_EDITLABELA = (LVM_FIRST + 23),
        LVM_EDITLABELW = (LVM_FIRST + 118),
        LVM_GETEDITCONTROL = (LVM_FIRST + 24),
        LVM_GETCOLUMNA = (LVM_FIRST + 25),
        LVM_GETCOLUMNW = (LVM_FIRST + 95),
        LVM_SETCOLUMNA = (LVM_FIRST + 26),
        LVM_SETCOLUMNW = (LVM_FIRST + 96),
        LVM_INSERTCOLUMNA = (LVM_FIRST + 27),
        LVM_INSERTCOLUMNW = (LVM_FIRST + 97),
        LVM_DELETECOLUMN = (LVM_FIRST + 28),
        LVM_GETCOLUMNWIDTH = (LVM_FIRST + 29),
        LVM_SETCOLUMNWIDTH = (LVM_FIRST + 30),
        LVM_CREATEDRAGIMAGE = (LVM_FIRST + 33),
        LVM_GETVIEWRECT = (LVM_FIRST + 34),
        LVM_GETTEXTCOLOR = (LVM_FIRST + 35),
        LVM_SETTEXTCOLOR = (LVM_FIRST + 36),
        LVM_GETTEXTBKCOLOR = (LVM_FIRST + 37),
        LVM_SETTEXTBKCOLOR = (LVM_FIRST + 38),
        LVM_GETTOPINDEX = (LVM_FIRST + 39),
        LVM_GETCOUNTPERPAGE = (LVM_FIRST + 40),
        LVM_GETORIGIN = (LVM_FIRST + 41),
        LVM_UPDATE = (LVM_FIRST + 42),
        LVM_SETITEMSTATE = (LVM_FIRST + 43),
        LVM_GETITEMSTATE = (LVM_FIRST + 44),
        LVM_GETITEMTEXTA = (LVM_FIRST + 45),
        LVM_GETITEMTEXTW = (LVM_FIRST + 115),
        LVM_SETITEMTEXTA = (LVM_FIRST + 46),
        LVM_SETITEMTEXTW = (LVM_FIRST + 116),
        LVM_SETITEMCOUNT = (LVM_FIRST + 47),
        LVM_SORTITEMS = (LVM_FIRST + 48),
        LVM_SETITEMPOSITION32 = (LVM_FIRST + 49),
        LVM_GETSELECTEDCOUNT = (LVM_FIRST + 50),
        LVM_GETITEMSPACING = (LVM_FIRST + 51),
        LVM_GETISEARCHSTRINGA = (LVM_FIRST + 52),
        LVM_GETISEARCHSTRINGW = (LVM_FIRST + 117),
        LVM_SETICONSPACING = (LVM_FIRST + 53),
        LVM_SETEXTENDEDLISTVIEWSTYLE = (LVM_FIRST + 54),
        LVM_GETEXTENDEDLISTVIEWSTYLE = (LVM_FIRST + 55),
        LVM_GETSUBITEMRECT = (LVM_FIRST + 56),
        LVM_SUBITEMHITTEST = (LVM_FIRST + 57),
        LVM_SETCOLUMNORDERARRAY = (LVM_FIRST + 58),
        LVM_GETCOLUMNORDERARRAY = (LVM_FIRST + 59),
        LVM_SETHOTITEM = (LVM_FIRST + 60),
        LVM_GETHOTITEM = (LVM_FIRST + 61),
        LVM_SETHOTCURSOR = (LVM_FIRST + 62),
        LVM_GETHOTCURSOR = (LVM_FIRST + 63),
        LVM_APPROXIMATEVIEWRECT = (LVM_FIRST + 64),
        LVM_SETWORKAREAS = (LVM_FIRST + 65),
        LVM_GETWORKAREAS = (LVM_FIRST + 70),
        LVM_GETNUMBEROFWORKAREAS = (LVM_FIRST + 73),
        LVM_GETSELECTIONMARK = (LVM_FIRST + 66),
        LVM_SETSELECTIONMARK = (LVM_FIRST + 67),
        LVM_SETHOVERTIME = (LVM_FIRST + 71),
        LVM_GETHOVERTIME = (LVM_FIRST + 72),
        LVM_SETTOOLTIPS = (LVM_FIRST + 74),
        LVM_GETTOOLTIPS = (LVM_FIRST + 78),
        LVM_SORTITEMSEX = (LVM_FIRST + 81),
        LVM_SETBKIMAGEA = (LVM_FIRST + 68),
        LVM_SETBKIMAGEW = (LVM_FIRST + 138),
        LVM_GETBKIMAGEA = (LVM_FIRST + 69),
        LVM_GETBKIMAGEW = (LVM_FIRST + 139),
        LVM_SETSELECTEDCOLUMN = (LVM_FIRST + 140),
        LVM_SETTILEWIDTH = (LVM_FIRST + 141),
        LVM_SETVIEW = (LVM_FIRST + 142),
        LVM_GETVIEW = (LVM_FIRST + 143),
        LVM_INSERTGROUP = (LVM_FIRST + 145),
        LVM_SETGROUPINFO = (LVM_FIRST + 147),
        LVM_GETGROUPINFO = (LVM_FIRST + 149),
        LVM_REMOVEGROUP = (LVM_FIRST + 150),
        LVM_MOVEGROUP = (LVM_FIRST + 151),
        LVM_MOVEITEMTOGROUP = (LVM_FIRST + 154),
        LVM_SETGROUPMETRICS = (LVM_FIRST + 155),
        LVM_GETGROUPMETRICS = (LVM_FIRST + 156),
        LVM_ENABLEGROUPVIEW = (LVM_FIRST + 157),
        LVM_SORTGROUPS = (LVM_FIRST + 158),
        LVM_INSERTGROUPSORTED = (LVM_FIRST + 159),
        LVM_REMOVEALLGROUPS = (LVM_FIRST + 160),
        LVM_HASGROUP = (LVM_FIRST + 161),
        LVM_SETTILEVIEWINFO = (LVM_FIRST + 162),
        LVM_GETTILEVIEWINFO = (LVM_FIRST + 163),
        LVM_SETTILEINFO = (LVM_FIRST + 164),
        LVM_GETTILEINFO = (LVM_FIRST + 165),
        LVM_SETINSERTMARK = (LVM_FIRST + 166),
        LVM_GETINSERTMARK = (LVM_FIRST + 167),
        LVM_INSERTMARKHITTEST = (LVM_FIRST + 168),
        LVM_GETINSERTMARKRECT = (LVM_FIRST + 169),
        LVM_SETINSERTMARKCOLOR = (LVM_FIRST + 170),
        LVM_GETINSERTMARKCOLOR = (LVM_FIRST + 171),
        LVM_SETINFOTIP = (LVM_FIRST + 173),
        LVM_GETSELECTEDCOLUMN = (LVM_FIRST + 174),
        LVM_ISGROUPVIEWENABLED = (LVM_FIRST + 175),
        LVM_GETOUTLINECOLOR = (LVM_FIRST + 176),
        LVM_SETOUTLINECOLOR = (LVM_FIRST + 177),
        LVM_CANCELEDITLABEL = (LVM_FIRST + 179),
        LVM_MAPINDEXTOID = (LVM_FIRST + 180),
        LVM_MAPIDTOINDEX = (LVM_FIRST + 181),
        TVM_INSERTITEMA = (TV_FIRST + 0),
        TVM_INSERTITEMW = (TV_FIRST + 50),
        TVM_DELETEITEM = (TV_FIRST + 1),
        TVM_EXPAND = (TV_FIRST + 2),
        TVM_GETITEMRECT = (TV_FIRST + 4),
        TVM_GETCOUNT = (TV_FIRST + 5),
        TVM_GETINDENT = (TV_FIRST + 6),
        TVM_SETINDENT = (TV_FIRST + 7),
        TVM_GETIMAGELIST = (TV_FIRST + 8),
        TVM_SETIMAGELIST = (TV_FIRST + 9),
        TVM_GETNEXTITEM = (TV_FIRST + 10),
        TVM_SELECTITEM = (TV_FIRST + 11),
        TVM_GETITEMA = (TV_FIRST + 12),
        TVM_GETITEMW = (TV_FIRST + 62),
        TVM_SETITEMA = (TV_FIRST + 13),
        TVM_SETITEMW = (TV_FIRST + 63),
        TVM_EDITLABELA = (TV_FIRST + 14),
        TVM_EDITLABELW = (TV_FIRST + 65),
        TVM_GETEDITCONTROL = (TV_FIRST + 15),
        TVM_GETVISIBLECOUNT = (TV_FIRST + 16),
        TVM_HITTEST = (TV_FIRST + 17),
        TVM_CREATEDRAGIMAGE = (TV_FIRST + 18),
        TVM_SORTCHILDREN = (TV_FIRST + 19),
        TVM_ENSUREVISIBLE = (TV_FIRST + 20),
        TVM_SORTCHILDRENCB = (TV_FIRST + 21),
        TVM_ENDEDITLABELNOW = (TV_FIRST + 22),
        TVM_GETISEARCHSTRINGA = (TV_FIRST + 23),
        TVM_GETISEARCHSTRINGW = (TV_FIRST + 64),
        TVM_SETTOOLTIPS = (TV_FIRST + 24),
        TVM_GETTOOLTIPS = (TV_FIRST + 25),
        TVM_SETINSERTMARK = (TV_FIRST + 26),
        TV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TV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TVM_SETITEMHEIGHT = (TV_FIRST + 27),
        TVM_GETITEMHEIGHT = (TV_FIRST + 28),
        TVM_SETBKCOLOR = (TV_FIRST + 29),
        TVM_SETTEXTCOLOR = (TV_FIRST + 30),
        TVM_GETBKCOLOR = (TV_FIRST + 31),
        TVM_GETTEXTCOLOR = (TV_FIRST + 32),
        TVM_SETSCROLLTIME = (TV_FIRST + 33),
        TVM_GETSCROLLTIME = (TV_FIRST + 34),
        TVM_SETINSERTMARKCOLOR = (TV_FIRST + 37),
        TVM_GETINSERTMARKCOLOR = (TV_FIRST + 38),
        TVM_GETITEMSTATE = (TV_FIRST + 39),
        TVM_SETLINECOLOR = (TV_FIRST + 40),
        TVM_GETLINECOLOR = (TV_FIRST + 41),
        TVM_MAPACCIDTOHTREEITEM = (TV_FIRST + 42),
        TVM_MAPHTREEITEMTOACCID = (TV_FIRST + 43),
        CBEM_INSERTITEMA = (WM_USER + 1),
        CBEM_SETIMAGELIST = (WM_USER + 2),
        CBEM_GETIMAGELIST = (WM_USER + 3),
        CBEM_GETITEMA = (WM_USER + 4),
        CBEM_SETITEMA = (WM_USER + 5),
        CBEM_DELETEITEM = CB_DELETESTRING,
        CBEM_GETCOMBOCONTROL = (WM_USER + 6),
        CBEM_GETEDITCONTROL = (WM_USER + 7),
        CBEM_SETEXTENDEDSTYLE = (WM_USER + 14),
        CBEM_GETEXTENDEDSTYLE = (WM_USER + 9),
        CBE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CBE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CBEM_SETEXSTYLE = (WM_USER + 8),
        CBEM_GETEXSTYLE = (WM_USER + 9),
        CBEM_HASEDITCHANGED = (WM_USER + 10),
        CBEM_INSERTITEMW = (WM_USER + 11),
        CBEM_SETITEMW = (WM_USER + 12),
        CBEM_GETITEMW = (WM_USER + 13),
        TCM_GETIMAGELIST = (TCM_FIRST + 2),
        TCM_SETIMAGELIST = (TCM_FIRST + 3),
        TCM_GETITEMCOUNT = (TCM_FIRST + 4),
        TCM_GETITEMA = (TCM_FIRST + 5),
        TCM_GETITEMW = (TCM_FIRST + 60),
        TCM_SETITEMA = (TCM_FIRST + 6),
        TCM_SETITEMW = (TCM_FIRST + 61),
        TCM_INSERTITEMA = (TCM_FIRST + 7),
        TCM_INSERTITEMW = (TCM_FIRST + 62),
        TCM_DELETEITEM = (TCM_FIRST + 8),
        TCM_DELETEALLITEMS = (TCM_FIRST + 9),
        TCM_GETITEMRECT = (TCM_FIRST + 10),
        TCM_GETCURSEL = (TCM_FIRST + 11),
        TCM_SETCURSEL = (TCM_FIRST + 12),
        TCM_HITTEST = (TCM_FIRST + 13),
        TCM_SETITEMEXTRA = (TCM_FIRST + 14),
        TCM_ADJUSTRECT = (TCM_FIRST + 40),
        TCM_SETITEMSIZE = (TCM_FIRST + 41),
        TCM_REMOVEIMAGE = (TCM_FIRST + 42),
        TCM_SETPADDING = (TCM_FIRST + 43),
        TCM_GETROWCOUNT = (TCM_FIRST + 44),
        TCM_GETTOOLTIPS = (TCM_FIRST + 45),
        TCM_SETTOOLTIPS = (TCM_FIRST + 46),
        TCM_GETCURFOCUS = (TCM_FIRST + 47),
        TCM_SETCURFOCUS = (TCM_FIRST + 48),
        TCM_SETMINTABWIDTH = (TCM_FIRST + 49),
        TCM_DESELECTALL = (TCM_FIRST + 50),
        TCM_HIGHLIGHTITEM = (TCM_FIRST + 51),
        TCM_SETEXTENDEDSTYLE = (TCM_FIRST + 52),
        TCM_GETEXTENDEDSTYLE = (TCM_FIRST + 53),
        TC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TC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ACM_OPENA = (WM_USER+100),
        ACM_OPENW = (WM_USER+103),
        ACM_PLAY = (WM_USER+101),
        ACM_STOP = (WM_USER+102),
        MCM_FIRST = 0x1000,
        MCM_GETCURSEL = (MCM_FIRST + 1),
        MCM_SETCURSEL = (MCM_FIRST + 2),
        MCM_GETMAXSELCOUNT = (MCM_FIRST + 3),
        MCM_SETMAXSELCOUNT = (MCM_FIRST + 4),
        MCM_GETSELRANGE = (MCM_FIRST + 5),
        MCM_SETSELRANGE = (MCM_FIRST + 6),
        MCM_GETMONTHRANGE = (MCM_FIRST + 7),
        MCM_SETDAYSTATE = (MCM_FIRST + 8),
        MCM_GETMINREQRECT = (MCM_FIRST + 9),
        MCM_SETCOLOR = (MCM_FIRST + 10),
        MCM_GETCOLOR = (MCM_FIRST + 11),
        MCM_SETTODAY = (MCM_FIRST + 12),
        MCM_GETTODAY = (MCM_FIRST + 13),
        MCM_HITTEST = (MCM_FIRST + 14),
        MCM_SETFIRSTDAYOFWEEK = (MCM_FIRST + 15),
        MCM_GETFIRSTDAYOFWEEK = (MCM_FIRST + 16),
        MCM_GETRANGE = (MCM_FIRST + 17),
        MCM_SETRANGE = (MCM_FIRST + 18),
        MCM_GETMONTHDELTA = (MCM_FIRST + 19),
        MCM_SETMONTHDELTA = (MCM_FIRST + 20),
        MCM_GETMAXTODAYWIDTH = (MCM_FIRST + 21),
        MC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MC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DTM_FIRST = 0x1000,
        DTM_GETSYSTEMTIME = (DTM_FIRST + 1),
        DTM_SETSYSTEMTIME = (DTM_FIRST + 2),
        DTM_GETRANGE = (DTM_FIRST + 3),
        DTM_SETRANGE = (DTM_FIRST + 4),
        DTM_SETFORMATA = (DTM_FIRST + 5),
        DTM_SETFORMATW = (DTM_FIRST + 50),
        DTM_SETMCCOLOR = (DTM_FIRST + 6),
        DTM_GETMCCOLOR = (DTM_FIRST + 7),
        DTM_GETMONTHCAL = (DTM_FIRST + 8),
        DTM_SETMCFONT = (DTM_FIRST + 9),
        DTM_GETMCFONT = (DTM_FIRST + 10),
        PGM_SETCHILD = (PGM_FIRST + 1),
        PGM_RECALCSIZE = (PGM_FIRST + 2),
        PGM_FORWARDMOUSE = (PGM_FIRST + 3),
        PGM_SETBKCOLOR = (PGM_FIRST + 4),
        PGM_GETBKCOLOR = (PGM_FIRST + 5),
        PGM_SETBORDER = (PGM_FIRST + 6),
        PGM_GETBORDER = (PGM_FIRST + 7),
        PGM_SETPOS = (PGM_FIRST + 8),
        PGM_GETPOS = (PGM_FIRST + 9),
        PGM_SETBUTTONSIZE = (PGM_FIRST + 10),
        PGM_GETBUTTONSIZE = (PGM_FIRST + 11),
        PGM_GETBUTTONSTATE = (PGM_FIRST + 12),
        PGM_GETDROPTARGET = CCM_GETDROPTARGET,
        BCM_GETIDEALSIZE = (BCM_FIRST + 0x0001),
        BCM_SETIMAGELIST = (BCM_FIRST + 0x0002),
        BCM_GETIMAGELIST = (BCM_FIRST + 0x0003),
        BCM_SETTEXTMARGIN = (BCM_FIRST + 0x0004),
        BCM_GETTEXTMARGIN = (BCM_FIRST + 0x0005),
        EM_SETCUEBANNER     = (ECM_FIRST + 1),
        EM_GETCUEBANNER     = (ECM_FIRST + 2),
        EM_SHOWBALLOONTIP = (ECM_FIRST + 3),
        EM_HIDEBALLOONTIP = (ECM_FIRST + 4),
        CB_SETMINVISIBLE = (CBM_FIRST + 1),
        CB_GETMINVISIBLE = (CBM_FIRST + 2),
        LM_HITTEST = (WM_USER + 0x300),
        LM_GETIDEALHEIGHT = (WM_USER + 0x301),
        LM_SETITEM = (WM_USER + 0x302),
        LM_GETITEM = (WM_USER + 0x303

|
IntPtr target_window = ...

            Point start_point = ...


            IntPtr lParamStartPoint = (IntPtr) BND.Windows.Helper.MakeParam(start_point.X, start_point.Y);



            // 1. 마우스 이동

            System.Windows.Forms.Message mouse_move_to_start = System.Windows.Forms.Message.Create(target_window, BND.Windows.Messages.WM_MOUSEMOVE, (IntPtr) BND.Windows.MouseMasks.MK_NULL, lParamStartPoint);

            BND.Windows.User32.PostMessage(mouse_move_to_start);



            // 2. 마우스 누름

            System.Windows.Forms.Message mouse_down = System.Windows.Forms.Message.Create(target_window, BND.Windows.Messages.WM_LBUTTONDOWN, (IntPtr) BND.Windows.MouseMasks.MK_NULL, lParamStartPoint);

            BND.Windows.User32.PostMessage(mouse_down);



-------------------------


        //

        // MakeParam

        //


        public static int MakeParam(int LoWord, int HiWord)

        {

            return (((HiWord & 0x000000FF) << 16) | (LoWord & 0x000000FF));

        }


-------------------------



        [DllImport("User32")] public extern static bool PostMessage(IntPtr hwnd, int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public static bool PostMessage(System.Windows.Forms.Message m)

        {

            return PostMessage(m.HWnd, m.Msg, m.WParam, m.LParam);

        }


--------------------------


    public class Messages

    {

        public const int WM_NULL = 0x0000;

        public const int WM_CREATE = 0x0001;

        public const int WM_DESTROY = 0x0002;

        public const int WM_MOVE = 0x0003;

        public const int WM_SIZE = 0x0005;

        public const int WM_ACTIVATE = 0x0006;

        public const int WM_SETFOCUS = 0x0007;

        public const int WM_KILLFOCUS = 0x0008;

        public const int WM_ENABLE = 0x000A;

        public const int WM_SETREDRAW = 0x000B;

        public const int WM_SETTEXT = 0x000C;

        public const int WM_GETTEXT = 0x000D;

        public const int WM_GETTEXTLENGTH = 0x000E;

        public const int WM_PAINT = 0x000F;

        public const int WM_CLOSE = 0x0010;

        public const int WM_QUERYENDSESSION = 0x0011;

        public const int WM_QUERYOPEN = 0x0013;

        public const int WM_ENDSESSION = 0x0016;

        public const int WM_QUIT = 0x0012;

        public const int WM_ERASEBKGND = 0x0014;

        public const int WM_SYSCOLORCHANGE = 0x0015;

        public const int WM_SHOWWINDOW = 0x0018;

        public const int WM_WININICHANGE = 0x001A;

        public const int WM_SETTINGCHANGE = 0x001A;

        public const int WM_DEVMODECHANGE = 0x001B;

        public const int WM_ACTIVATEAPP = 0x001C;

        public const int WM_FONTCHANGE = 0x001D;

        public const int WM_TIMECHANGE = 0x001E;

        public const int WM_CANCELMODE = 0x001F;

        public const int WM_SETCURSOR = 0x0020;

        public const int WM_MOUSEACTIVATE = 0x0021;

        public const int WM_CHILDACTIVATE = 0x0022;

        public const int WM_QUEUESYNC = 0x0023;

        public const int WM_GETMINMAXINFO = 0x0024;

        public const int WM_PAINTICON = 0x0026;

        public const int WM_ICONERASEBKGND = 0x0027;

        public const int WM_NEXTDLGCTL = 0x0028;

        public const int WM_SPOOLERSTATUS = 0x002A;

        public const int WM_DRAWITEM = 0x002B;

        public const int WM_MEASUREITEM = 0x002C;

        public const int WM_DELETEITEM = 0x002D;

        public const int WM_VKEYTOITEM = 0x002E;

        public const int WM_CHARTOITEM = 0x002F;

        public const int WM_SETFONT = 0x0030;

        public const int WM_GETFONT = 0x0031;

        public const int WM_SETHOTKEY = 0x0032;

        public const int WM_GETHOTKEY = 0x0033;

        public const int WM_QUERYDRAGICON = 0x0037;

        public const int WM_COMPAREITEM = 0x0039;

        public const int WM_GETOBJECT = 0x003D;

        public const int WM_COMPACTING = 0x0041;

        public const int WM_COMMNOTIFY = 0x0044;

        public const int WM_WINDOWPOSCHANGING = 0x0046;

        public const int WM_WINDOWPOSCHANGED = 0x0047;

        public const int WM_POWER = 0x0048;

        public const int WM_COPYDATA = 0x004A;

        public const int WM_CANCELJOURNAL = 0x004B;

        public const int WM_NOTIFY = 0x004E;

        public const int WM_INPUTLANGCHANGEREQUEST = 0x0050;

        public const int WM_INPUTLANGCHANGE = 0x0051;

        public const int WM_TCARD = 0x0052;

        public const int WM_HELP = 0x0053;

        public const int WM_USERCHANGED = 0x0054;

        public const int WM_NOTIFYFORMAT = 0x0055;

        public const int WM_CONTEXTMENU = 0x007B;

        public const int WM_STYLECHANGING = 0x007C;

        public const int WM_STYLECHANGED = 0x007D;

        public const int WM_DISPLAYCHANGE = 0x007E;

        public const int WM_GETICON = 0x007F;

        public const int WM_SETICON = 0x0080;

        public const int WM_NCCREATE = 0x0081;

        public const int WM_NCDESTROY = 0x0082;

        public const int WM_NCCALCSIZE = 0x0083;

        public const int WM_NCHITTEST = 0x0084;

        public const int WM_NCPAINT = 0x0085;

        public const int WM_NCACTIVATE = 0x0086;

        public const int WM_GETDLGCODE = 0x0087;

        public const int WM_SYNCPAINT = 0x0088;

        public const int WM_NCMOUSEMOVE = 0x00A0;

        public const int WM_NCLBUTTONDOWN = 0x00A1;

        public const int WM_NCLBUTTONUP = 0x00A2;

        public const int WM_NCLBUTTONDBLCLK = 0x00A3;

        public const int WM_NCRBUTTONDOWN = 0x00A4;

        public const int WM_NCRBUTTONUP = 0x00A5;

        public const int WM_NCRBUTTONDBLCLK = 0x00A6;

        public const int WM_NCMBUTTONDOWN = 0x00A7;

        public const int WM_NCMBUTTONUP = 0x00A8;

        public const int WM_NCMBUTTONDBLCLK = 0x00A9;

        public const int WM_NCXBUTTONDOWN = 0x00AB;

        public const int WM_NCXBUTTONUP = 0x00AC;

        public const int WM_NCXBUTTONDBLCLK = 0x00AD;

        public const int WM_INPUT = 0x00FF;

        public const int WM_KEYFIRST = 0x0100;

        public const int WM_KEYDOWN = 0x0100;

        public const int WM_KEYUP = 0x0101;

        public const int WM_CHAR = 0x0102;

        public const int WM_DEADCHAR = 0x0103;

        public const int WM_SYSKEYDOWN = 0x0104;

        public const int WM_SYSKEYUP = 0x0105;

        public const int WM_SYSCHAR = 0x0106;

        public const int WM_SYSDEADCHAR = 0x0107;

        public const int WM_UNICHAR = 0x0109;

        public const int WM_KEYLAST_NT501 = 0x0109;

        public const int UNICODE_NOCHAR = 0xFFFF;

        public const int WM_KEYLAST_PRE501 = 0x0108;

        public const int WM_IME_STARTCOMPOSITION = 0x010D;

        public const int WM_IME_ENDCOMPOSITION = 0x010E;

        public const int WM_IME_COMPOSITION = 0x010F;

        public const int WM_IME_KEYLAST = 0x010F;

        public const int WM_INITDIALOG = 0x0110;

        public const int WM_COMMAND = 0x0111;

        public const int WM_SYSCOMMAND = 0x0112;

        public const int WM_TIMER = 0x0113;

        public const int WM_HSCROLL = 0x0114;

        public const int WM_VSCROLL = 0x0115;

        public const int WM_INITMENU = 0x0116;

        public const int WM_INITMENUPOPUP = 0x0117;

        public const int WM_MENUSELECT = 0x011F;

        public const int WM_MENUCHAR = 0x0120;

        public const int WM_ENTERIDLE = 0x0121;

        public const int WM_MENURBUTTONUP = 0x0122;

        public const int WM_MENUDRAG = 0x0123;

        public const int WM_MENUGETOBJECT = 0x0124;

        public const int WM_UNINITMENUPOPUP = 0x0125;

        public const int WM_MENUCOMMAND = 0x0126;

        public const int WM_CHANGEUISTATE = 0x0127;

        public const int WM_UPDATEUISTATE = 0x0128;

        public const int WM_QUERYUISTATE = 0x0129;

        public const int WM_CTLCOLORMSGBOX = 0x0132;

        public const int WM_CTLCOLOREDIT = 0x0133;

        public const int WM_CTLCOLORLISTBOX = 0x0134;

        public const int WM_CTLCOLORBTN = 0x0135;

        public const int WM_CTLCOLORDLG = 0x0136;

        public const int WM_CTLCOLORSCROLLBAR = 0x0137;

        public const int WM_CTLCOLORSTATIC = 0x0138;

        public const int WM_MOUSEFIRST = 0x0200;

        public const int WM_MOUSEMOVE = 0x0200;

        public const int WM_LBUTTONDOWN = 0x0201;

        public const int WM_LBUTTONUP = 0x0202;

        public const int WM_LBUTTONDBLCLK = 0x0203;

        public const int WM_RBUTTONDOWN = 0x0204;

        public const int WM_RBUTTONUP = 0x0205;

        public const int WM_RBUTTONDBLCLK = 0x0206;

        public const int WM_MBUTTONDOWN = 0x0207;

        public const int WM_MBUTTONUP = 0x0208;

        public const int WM_MBUTTONDBLCLK = 0x0209;

        public const int WM_MOUSEWHEEL = 0x020A;

        public const int WM_XBUTTONDOWN = 0x020B;

        public const int WM_XBUTTONUP = 0x020C;

        public const int WM_XBUTTONDBLCLK = 0x020D;

        public const int WM_MOUSELAST_5 = 0x020D;

        public const int WM_MOUSELAST_4 = 0x020A;

        public const int WM_MOUSELAST_PRE_4 = 0x0209;

        public const int WM_PARENTNOTIFY = 0x0210;

        public const int WM_ENTERMENULOOP = 0x0211;

        public const int WM_EXITMENULOOP = 0x0212;

        public const int WM_NEXTMENU = 0x0213;

        public const int WM_SIZING = 0x0214;

        public const int WM_CAPTURECHANGED = 0x0215;

        public const int WM_MOVING = 0x0216;

        public const int WM_POWERBROADCAST = 0x0218;

        public const int WM_DEVICECHANGE = 0x0219;

        public const int WM_MDICREATE = 0x0220;

        public const int WM_MDIDESTROY = 0x0221;

        public const int WM_MDIACTIVATE = 0x0222;

        public const int WM_MDIRESTORE = 0x0223;

        public const int WM_MDINEXT = 0x0224;

        public const int WM_MDIMAXIMIZE = 0x0225;

        public const int WM_MDITILE = 0x0226;

        public const int WM_MDICASCADE = 0x0227;

        public const int WM_MDIICONARRANGE = 0x0228;

        public const int WM_MDIGETACTIVE = 0x0229;

        public const int WM_MDISETMENU = 0x0230;

        public const int WM_ENTERSIZEMOVE = 0x0231;

        public const int WM_EXITSIZEMOVE = 0x0232;

        public const int WM_DROPFILES = 0x0233;

        public const int WM_MDIREFRESHMENU = 0x0234;

        public const int WM_IME_SETCONTEXT = 0x0281;

        public const int WM_IME_NOTIFY = 0x0282;

        public const int WM_IME_CONTROL = 0x0283;

        public const int WM_IME_COMPOSITIONFULL = 0x0284;

        public const int WM_IME_SELECT = 0x0285;

        public const int WM_IME_CHAR = 0x0286;

        public const int WM_IME_REQUEST = 0x0288;

        public const int WM_IME_KEYDOWN = 0x0290;

        public const int WM_IME_KEYUP = 0x0291;

        public const int WM_MOUSEHOVER = 0x02A1;

        public const int WM_MOUSELEAVE = 0x02A3;

        public const int WM_NCMOUSEHOVER = 0x02A0;

        public const int WM_NCMOUSELEAVE = 0x02A2;

        public const int WM_WTSSESSION_CHANGE = 0x02B1;

        public const int WM_TABLET_FIRST = 0x02c0;

        public const int WM_TABLET_LAST = 0x02df;

        public const int WM_CUT = 0x0300;

        public const int WM_COPY = 0x0301;

        public const int WM_PASTE = 0x0302;

        public const int WM_CLEAR = 0x0303;

        public const int WM_UNDO = 0x0304;

        public const int WM_RENDERFORMAT = 0x0305;

        public const int WM_RENDERALLFORMATS = 0x0306;

        public const int WM_DESTROYCLIPBOARD = 0x0307;

        public const int WM_DRAWCLIPBOARD = 0x0308;

        public const int WM_PAINTCLIPBOARD = 0x0309;

        public const int WM_VSCROLLCLIPBOARD = 0x030A;

        public const int WM_SIZECLIPBOARD = 0x030B;

        public const int WM_ASKCBFORMATNAME = 0x030C;

        public const int WM_CHANGECBCHAIN = 0x030D;

        public const int WM_HSCROLLCLIPBOARD = 0x030E;

        public const int WM_QUERYNEWPALETTE = 0x030F;

        public const int WM_PALETTEISCHANGING = 0x0310;

        public const int WM_PALETTECHANGED = 0x0311;

        public const int WM_HOTKEY = 0x0312;

        public const int WM_PRINT = 0x0317;

        public const int WM_PRINTCLIENT = 0x0318;

        public const int WM_APPCOMMAND = 0x0319;

        public const int WM_THEMECHANGED = 0x031A;

        public const int WM_HANDHELDFIRST = 0x0358;

        public const int WM_HANDHELDLAST = 0x035F;

        public const int WM_AFXFIRST = 0x0360;

        public const int WM_AFXLAST = 0x037F;

        public const int WM_PENWINFIRST = 0x0380;

        public const int WM_PENWINLAST = 0x038F;

        public const int WM_APP = 0x8000;

        public const int WM_USER = 0x0400;

        public const int EM_GETSEL = 0x00B0;

        public const int EM_SETSEL = 0x00B1;

        public const int EM_GETRECT = 0x00B2;

        public const int EM_SETRECT = 0x00B3;

        public const int EM_SETRECTNP = 0x00B4;

        public const int EM_SCROLL = 0x00B5;

        public const int EM_LINESCROLL = 0x00B6;

        public const int EM_SCROLLCARET = 0x00B7;

        public const int EM_GETMODIFY = 0x00B8;

        public const int EM_SETMODIFY = 0x00B9;

        public const int EM_GETLINECOUNT = 0x00BA;

        public const int EM_LINEINDEX = 0x00BB;

        public const int EM_SETHANDLE = 0x00BC;

        public const int EM_GETHANDLE = 0x00BD;

        public const int EM_GETTHUMB = 0x00BE;

        public const int EM_LINELENGTH = 0x00C1;

        public const int EM_REPLACESEL = 0x00C2;

        public const int EM_GETLINE = 0x00C4;

        public const int EM_LIMITTEXT = 0x00C5;

        public const int EM_CANUNDO = 0x00C6;

        public const int EM_UNDO = 0x00C7;

        public const int EM_FMTLINES = 0x00C8;

        public const int EM_LINEFROMCHAR = 0x00C9;

        public const int EM_SETTABSTOPS = 0x00CB;

        public const int EM_SETPASSWORDCHAR = 0x00CC;

        public const int EM_EMPTYUNDOBUFFER = 0x00CD;

        public const int EM_GETFIRSTVISIBLELINE = 0x00CE;

        public const int EM_SETREADONLY = 0x00CF;

        public const int EM_SETWORDBREAKPROC = 0x00D0;

        public const int EM_GETWORDBREAKPROC = 0x00D1;

        public const int EM_GETPASSWORDCHAR = 0x00D2;

        public const int EM_SETMARGINS = 0x00D3;

        public const int EM_GETMARGINS = 0x00D4;

        public const int EM_SETLIMITTEXT = EM_LIMITTEXT;

        public const int EM_GETLIMITTEXT = 0x00D5;

        public const int EM_POSFROMCHAR = 0x00D6;

        public const int EM_CHARFROMPOS = 0x00D7;

        public const int EM_SETIMESTATUS = 0x00D8;

        public const int EM_GETIMESTATUS = 0x00D9;

        public const int BM_GETCHECK= 0x00F0;

        public const int BM_SETCHECK= 0x00F1;

        public const int BM_GETSTATE= 0x00F2;

        public const int BM_SETSTATE= 0x00F3;

        public const int BM_SETSTYLE= 0x00F4;

        public const int BM_CLICK = 0x00F5;

        public const int BM_GETIMAGE= 0x00F6;

        public const int BM_SETIMAGE= 0x00F7;

        public const int STM_SETICON = 0x0170;

        public const int STM_GETICON = 0x0171;

        public const int STM_SETIMAGE = 0x0172;

        public const int STM_GETIMAGE = 0x0173;

        public const int STM_MSGMAX = 0x0174;

        public const int DM_GETDEFID = (WM_USER+0);

        public const int DM_SETDEFID = (WM_USER+1);

        public const int DM_REPOSITION = (WM_USER+2);

        public const int LB_ADDSTRING = 0x0180;

        public const int LB_INSERTSTRING = 0x0181;

        public const int LB_DELETESTRING = 0x0182;

        public const int LB_SELITEMRANGEEX= 0x0183;

        public const int LB_RESETCONTENT = 0x0184;

        public const int LB_SETSEL = 0x0185;

        public const int LB_SETCURSEL = 0x0186;

        public const int LB_GETSEL = 0x0187;

        public const int LB_GETCURSEL = 0x0188;

        public const int LB_GETTEXT = 0x0189;

        public const int LB_GETTEXTLEN = 0x018A;

        public const int LB_GETCOUNT = 0x018B;

        public const int LB_SELECTSTRING = 0x018C;

        public const int LB_DIR = 0x018D;

        public const int LB_GETTOPINDEX = 0x018E;

        public const int LB_FINDSTRING = 0x018F;

        public const int LB_GETSELCOUNT = 0x0190;

        public const int LB_GETSELITEMS = 0x0191;

        public const int LB_SETTABSTOPS = 0x0192;

        public const int LB_GETHORIZONTALEXTENT = 0x0193;

        public const int LB_SETHORIZONTALEXTENT = 0x0194;

        public const int LB_SETCOLUMNWIDTH = 0x0195;

        public const int LB_ADDFILE = 0x0196;

        public const int LB_SETTOPINDEX = 0x0197;

        public const int LB_GETITEMRECT = 0x0198;

        public const int LB_GETITEMDATA = 0x0199;

        public const int LB_SETITEMDATA = 0x019A;

        public const int LB_SELITEMRANGE = 0x019B;

        public const int LB_SETANCHORINDEX = 0x019C;

        public const int LB_GETANCHORINDEX = 0x019D;

        public const int LB_SETCARETINDEX = 0x019E;

        public const int LB_GETCARETINDEX = 0x019F;

        public const int LB_SETITEMHEIGHT = 0x01A0;

        public const int LB_GETITEMHEIGHT = 0x01A1;

        public const int LB_FINDSTRINGEXACT = 0x01A2;

        public const int LB_SETLOCALE = 0x01A5;

        public const int LB_GETLOCALE = 0x01A6;

        public const int LB_SETCOUNT = 0x01A7;

        public const int LB_INITSTORAGE = 0x01A8;

        public const int LB_ITEMFROMPOINT = 0x01A9;

        public const int LB_MULTIPLEADDSTRING = 0x01B1;

        public const int LB_GETLISTBOXINFO= 0x01B2;

        public const int LB_MSGMAX_501 = 0x01B3;

        public const int LB_MSGMAX_WCE4 = 0x01B1;

        public const int LB_MSGMAX_4 = 0x01B0;

        public const int LB_MSGMAX_PRE4 = 0x01A8;

        public const int CB_GETEDITSEL = 0x0140;

        public const int CB_LIMITTEXT = 0x0141;

        public const int CB_SETEDITSEL = 0x0142;

        public const int CB_ADDSTRING = 0x0143;

        public const int CB_DELETESTRING = 0x0144;

        public const int CB_DIR = 0x0145;

        public const int CB_GETCOUNT = 0x0146;

        public const int CB_GETCURSEL = 0x0147;

        public const int CB_GETLBTEXT = 0x0148;

        public const int CB_GETLBTEXTLEN = 0x0149;

        public const int CB_INSERTSTRING = 0x014A;

        public const int CB_RESETCONTENT = 0x014B;

        public const int CB_FINDSTRING = 0x014C;

        public const int CB_SELECTSTRING = 0x014D;

        public const int CB_SETCURSEL = 0x014E;

        public const int CB_SHOWDROPDOWN = 0x014F;

        public const int CB_GETITEMDATA = 0x0150;

        public const int CB_SETITEMDATA = 0x0151;

        public const int CB_GETDROPPEDCONTROLRECT = 0x0152;

        public const int CB_SETITEMHEIGHT = 0x0153;

        public const int CB_GETITEMHEIGHT = 0x0154;

        public const int CB_SETEXTENDEDUI = 0x0155;

        public const int CB_GETEXTENDEDUI = 0x0156;

        public const int CB_GETDROPPEDSTATE = 0x0157;

        public const int CB_FINDSTRINGEXACT = 0x0158;

        public const int CB_SETLOCALE = 0x0159;

        public const int CB_GETLOCALE = 0x015A;

        public const int CB_GETTOPINDEX = 0x015B;

        public const int CB_SETTOPINDEX = 0x015C;

        public const int CB_GETHORIZONTALEXTENT = 0x015d;

        public const int CB_SETHORIZONTALEXTENT = 0x015e;

        public const int CB_GETDROPPEDWIDTH = 0x015f;

        public const int CB_SETDROPPEDWIDTH = 0x0160;

        public const int CB_INITSTORAGE = 0x0161;

        public const int CB_MULTIPLEADDSTRING = 0x0163;

        public const int CB_GETCOMBOBOXINFO = 0x0164;

        public const int CB_MSGMAX_501 = 0x0165;

        public const int CB_MSGMAX_WCE400 = 0x0163;

        public const int CB_MSGMAX_400 = 0x0162;

        public const int CB_MSGMAX_PRE400 = 0x015B;

        public const int SBM_SETPOS = 0x00E0;

        public const int SBM_GETPOS = 0x00E1;

        public const int SBM_SETRANGE = 0x00E2;

        public const int SBM_SETRANGEREDRAW = 0x00E6;

        public const int SBM_GETRANGE = 0x00E3;

        public const int SBM_ENABLE_ARROWS = 0x00E4;

        public const int SBM_SETSCROLLINFO = 0x00E9;

        public const int SBM_GETSCROLLINFO = 0x00EA;

        public const int SBM_GETSCROLLBARINFO= 0x00EB;

        public const int LVM_FIRST = 0x1000;// ListView messages

        public const int TV_FIRST = 0x1100;// TreeView messages

        public const int HDM_FIRST = 0x1200;// Header messages

        public const int TCM_FIRST = 0x1300;// Tab control messages

        public const int PGM_FIRST = 0x1400;// Pager control messages

        public const int ECM_FIRST = 0x1500;// Edit control messages

        public const int BCM_FIRST = 0x1600;// Button control messages

        public const int CBM_FIRST = 0x1700;// Combobox control messages

        public const int CCM_FIRST = 0x2000;// Common control shared messages

        public const int CCM_LAST =(CCM_FIRST + 0x200);

        public const int CCM_SETBKCOLOR = (CCM_FIRST + 1);

        public const int CCM_SETCOLORSCHEME = (CCM_FIRST + 2);

        public const int CCM_GETCOLORSCHEME = (CCM_FIRST + 3);

        public const int CCM_GETDROPTARGET = (CCM_FIRST + 4);

        public const int CCM_SETUNICODEFORMAT = (CCM_FIRST + 5);

        public const int CCM_GETUNICODEFORMAT = (CCM_FIRST + 6);

        public const int CCM_SETVERSION = (CCM_FIRST + 0x7);

        public const int CCM_GETVERSION = (CCM_FIRST + 0x8);

        public const int CCM_SETNOTIFYWINDOW = (CCM_FIRST + 0x9);

        public const int CCM_SETWINDOWTHEME = (CCM_FIRST + 0xb);

        public const int CCM_DPISCALE = (CCM_FIRST + 0xc);

        public const int HDM_GETITEMCOUNT = (HDM_FIRST + 0);

        public const int HDM_INSERTITEMA = (HDM_FIRST + 1);

        public const int HDM_INSERTITEMW = (HDM_FIRST + 10);

        public const int HDM_DELETEITEM = (HDM_FIRST + 2);

        public const int HDM_GETITEMA = (HDM_FIRST + 3);

        public const int HDM_GETITEMW = (HDM_FIRST + 11);

        public const int HDM_SETITEMA = (HDM_FIRST + 4);

        public const int HDM_SETITEMW = (HDM_FIRST + 12);

        public const int HDM_LAYOUT = (HDM_FIRST + 5);

        public const int HDM_HITTEST = (HDM_FIRST + 6);

        public const int HDM_GETITEMRECT = (HDM_FIRST + 7);

        public const int HDM_SETIMAGELIST = (HDM_FIRST + 8);

        public const int HDM_GETIMAGELIST = (HDM_FIRST + 9);

        public const int HDM_ORDERTOINDEX = (HDM_FIRST + 15);

        public const int HDM_CREATEDRAGIMAGE = (HDM_FIRST + 16);

        public const int HDM_GETORDERARRAY = (HDM_FIRST + 17);

        public const int HDM_SETORDERARRAY = (HDM_FIRST + 18);

        public const int HDM_SETHOTDIVIDER = (HDM_FIRST + 19);

        public const int HDM_SETBITMAPMARGIN = (HDM_FIRST + 20);

        public const int HDM_GETBITMAPMARGIN = (HDM_FIRST + 21);

        public const int HD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HD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HDM_SETFILTERCHANGETIMEOUT = (HDM_FIRST+22);

        public const int HDM_EDITFILTER = (HDM_FIRST+23);

        public const int HDM_CLEARFILTER = (HDM_FIRST+24);

        public const int TB_ENABLEBUTTON = (WM_USER + 1);

        public const int TB_CHECKBUTTON = (WM_USER + 2);

        public const int TB_PRESSBUTTON = (WM_USER + 3);

        public const int TB_HIDEBUTTON = (WM_USER + 4);

        public const int TB_INDETERMINATE = (WM_USER + 5);

        public const int TB_MARKBUTTON = (WM_USER + 6);

        public const int TB_ISBUTTONENABLED = (WM_USER + 9);

        public const int TB_ISBUTTONCHECKED = (WM_USER + 10);

        public const int TB_ISBUTTONPRESSED = (WM_USER + 11);

        public const int TB_ISBUTTONHIDDEN = (WM_USER + 12);

        public const int TB_ISBUTTONINDETERMINATE = (WM_USER + 13);

        public const int TB_ISBUTTONHIGHLIGHTED = (WM_USER + 14);

        public const int TB_SETSTATE = (WM_USER + 17);

        public const int TB_GETSTATE = (WM_USER + 18);

        public const int TB_ADDBITMAP = (WM_USER + 19);

        public const int TB_ADDBUTTONSA = (WM_USER + 20);

        public const int TB_INSERTBUTTONA = (WM_USER + 21);

        public const int TB_ADDBUTTONS = (WM_USER + 20);

        public const int TB_INSERTBUTTON = (WM_USER + 21);

        public const int TB_DELETEBUTTON = (WM_USER + 22);

        public const int TB_GETBUTTON = (WM_USER + 23);

        public const int TB_BUTTONCOUNT = (WM_USER + 24);

        public const int TB_COMMANDTOINDEX = (WM_USER + 25);

        public const int TB_SAVERESTOREA = (WM_USER + 26);

        public const int TB_SAVERESTOREW = (WM_USER + 76);

        public const int TB_CUSTOMIZE = (WM_USER + 27);

        public const int TB_ADDSTRINGA = (WM_USER + 28);

        public const int TB_ADDSTRINGW = (WM_USER + 77);

        public const int TB_GETITEMRECT = (WM_USER + 29);

        public const int TB_BUTTONSTRUCTSIZE = (WM_USER + 30);

        public const int TB_SETBUTTONSIZE = (WM_USER + 31);

        public const int TB_SETBITMAPSIZE = (WM_USER + 32);

        public const int TB_AUTOSIZE = (WM_USER + 33);

        public const int TB_GETTOOLTIPS = (WM_USER + 35);

        public const int TB_SETTOOLTIPS = (WM_USER + 36);

        public const int TB_SETPARENT = (WM_USER + 37);

        public const int TB_SETROWS = (WM_USER + 39);

        public const int TB_GETROWS = (WM_USER + 40);

        public const int TB_SETCMDID = (WM_USER + 42);

        public const int TB_CHANGEBITMAP = (WM_USER + 43);

        public const int TB_GETBITMAP = (WM_USER + 44);

        public const int TB_GETBUTTONTEXTA = (WM_USER + 45);

        public const int TB_GETBUTTONTEXTW = (WM_USER + 75);

        public const int TB_REPLACEBITMAP = (WM_USER + 46);

        public const int TB_SETINDENT = (WM_USER + 47);

        public const int TB_SETIMAGELIST = (WM_USER + 48);

        public const int TB_GETIMAGELIST = (WM_USER + 49);

        public const int TB_LOADIMAGES = (WM_USER + 50);

        public const int TB_GETRECT = (WM_USER + 51);

        public const int TB_SETHOTIMAGELIST = (WM_USER + 52);

        public const int TB_GETHOTIMAGELIST = (WM_USER + 53);

        public const int TB_SETDISABLEDIMAGELIST = (WM_USER + 54);

        public const int TB_GETDISABLEDIMAGELIST = (WM_USER + 55);

        public const int TB_SETSTYLE = (WM_USER + 56);

        public const int TB_GETSTYLE = (WM_USER + 57);

        public const int TB_GETBUTTONSIZE = (WM_USER + 58);

        public const int TB_SETBUTTONWIDTH = (WM_USER + 59);

        public const int TB_SETMAXTEXTROWS = (WM_USER + 60);

        public const int TB_GETTEXTROWS = (WM_USER + 61);

        public const int TB_GETOBJECT = (WM_USER + 62);

        public const int TB_GETHOTITEM = (WM_USER + 71);

        public const int TB_SETHOTITEM = (WM_USER + 72);

        public const int TB_SETANCHORHIGHLIGHT = (WM_USER + 73);

        public const int TB_GETANCHORHIGHLIGHT = (WM_USER + 74);

        public const int TB_MAPACCELERATORA = (WM_USER + 78);

        public const int TB_GETINSERTMARK = (WM_USER + 79);

        public const int TB_SETINSERTMARK = (WM_USER + 80);

        public const int TB_INSERTMARKHITTEST = (WM_USER + 81);

        public const int TB_MOVEBUTTON = (WM_USER + 82);

        public const int TB_GETMAXSIZE = (WM_USER + 83);

        public const int TB_SETEXTENDEDSTYLE = (WM_USER + 84);

        public const int TB_GETEXTENDEDSTYLE = (WM_USER + 85);

        public const int TB_GETPADDING = (WM_USER + 86);

        public const int TB_SETPADDING = (WM_USER + 87);

        public const int TB_SETINSERTMARKCOLOR = (WM_USER + 88);

        public const int TB_GETINSERTMARKCOLOR = (WM_USER + 89);

        public const int TB_SETCOLORSCHEME = CCM_SETCOLORSCHEME;

        public const int TB_GETCOLORSCHEME = CCM_GETCOLORSCHEME;

        public const int TB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TB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TB_MAPACCELERATORW = (WM_USER + 90);

        public const int TB_GETBITMAPFLAGS = (WM_USER + 41);

        public const int TB_GETBUTTONINFOW = (WM_USER + 63);

        public const int TB_SETBUTTONINFOW = (WM_USER + 64);

        public const int TB_GETBUTTONINFOA = (WM_USER + 65);

        public const int TB_SETBUTTONINFOA = (WM_USER + 66);

        public const int TB_INSERTBUTTONW = (WM_USER + 67);

        public const int TB_ADDBUTTONSW = (WM_USER + 68);

        public const int TB_HITTEST = (WM_USER + 69);

        public const int TB_SETDRAWTEXTFLAGS = (WM_USER + 70);

        public const int TB_GETSTRINGW = (WM_USER + 91);

        public const int TB_GETSTRINGA = (WM_USER + 92);

        public const int TB_GETMETRICS = (WM_USER + 101);

        public const int TB_SETMETRICS = (WM_USER + 102);

        public const int TB_SETWINDOWTHEME = CCM_SETWINDOWTHEME;

        public const int RB_INSERTBANDA = (WM_USER + 1);

        public const int RB_DELETEBAND = (WM_USER + 2);

        public const int RB_GETBARINFO = (WM_USER + 3);

        public const int RB_SETBARINFO = (WM_USER + 4);

        public const int RB_GETBANDINFO = (WM_USER + 5);

        public const int RB_SETBANDINFOA = (WM_USER + 6);

        public const int RB_SETPARENT = (WM_USER + 7);

        public const int RB_HITTEST = (WM_USER + 8);

        public const int RB_GETRECT = (WM_USER + 9);

        public const int RB_INSERTBANDW = (WM_USER + 10);

        public const int RB_SETBANDINFOW = (WM_USER + 11);

        public const int RB_GETBANDCOUNT = (WM_USER + 12);

        public const int RB_GETROWCOUNT = (WM_USER + 13);

        public const int RB_GETROWHEIGHT = (WM_USER + 14);

        public const int RB_IDTOINDEX = (WM_USER + 16);

        public const int RB_GETTOOLTIPS = (WM_USER + 17);

        public const int RB_SETTOOLTIPS = (WM_USER + 18);

        public const int RB_SETBKCOLOR = (WM_USER + 19);

        public const int RB_GETBKCOLOR = (WM_USER + 20);

        public const int RB_SETTEXTCOLOR = (WM_USER + 21);

        public const int RB_GETTEXTCOLOR = (WM_USER + 22);

        public const int RB_SIZETORECT = (WM_USER + 23);

        public const int RB_SETCOLORSCHEME = CCM_SETCOLORSCHEME;

        public const int RB_GETCOLORSCHEME = CCM_GETCOLORSCHEME;

        public const int RB_BEGINDRAG = (WM_USER + 24);

        public const int RB_ENDDRAG = (WM_USER + 25);

        public const int RB_DRAGMOVE = (WM_USER + 26);

        public const int RB_GETBARHEIGHT = (WM_USER + 27);

        public const int RB_GETBANDINFOW = (WM_USER + 28);

        public const int RB_GETBANDINFOA = (WM_USER + 29);

        public const int RB_MINIMIZEBAND = (WM_USER + 30);

        public const int RB_MAXIMIZEBAND = (WM_USER + 31);

        public const int RB_GETDROPTARGET = (CCM_GETDROPTARGET);

        public const int RB_GETBANDBORDERS = (WM_USER + 34);

        public const int RB_SHOWBAND = (WM_USER + 35);

        public const int RB_SETPALETTE = (WM_USER + 37);

        public const int RB_GETPALETTE = (WM_USER + 38);

        public const int RB_MOVEBAND = (WM_USER + 39);

        public const int RB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RB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RB_GETBANDMARGINS = (WM_USER + 40);

        public const int RB_SETWINDOWTHEME = CCM_SETWINDOWTHEME;

        public const int RB_PUSHCHEVRON = (WM_USER + 43);

        public const int TTM_ACTIVATE = (WM_USER + 1);

        public const int TTM_SETDELAYTIME = (WM_USER + 3);

        public const int TTM_ADDTOOLA = (WM_USER + 4);

        public const int TTM_ADDTOOLW = (WM_USER + 50);

        public const int TTM_DELTOOLA = (WM_USER + 5);

        public const int TTM_DELTOOLW = (WM_USER + 51);

        public const int TTM_NEWTOOLRECTA = (WM_USER + 6);

        public const int TTM_NEWTOOLRECTW = (WM_USER + 52);

        public const int TTM_RELAYEVENT = (WM_USER + 7);

        public const int TTM_GETTOOLINFOA = (WM_USER + 8);

        public const int TTM_GETTOOLINFOW = (WM_USER + 53);

        public const int TTM_SETTOOLINFOA = (WM_USER + 9);

        public const int TTM_SETTOOLINFOW = (WM_USER + 54);

        public const int TTM_HITTESTA = (WM_USER +10);

        public const int TTM_HITTESTW = (WM_USER +55);

        public const int TTM_GETTEXTA = (WM_USER +11);

        public const int TTM_GETTEXTW = (WM_USER +56);

        public const int TTM_UPDATETIPTEXTA = (WM_USER +12);

        public const int TTM_UPDATETIPTEXTW = (WM_USER +57);

        public const int TTM_GETTOOLCOUNT = (WM_USER +13);

        public const int TTM_ENUMTOOLSA = (WM_USER +14);

        public const int TTM_ENUMTOOLSW = (WM_USER +58);

        public const int TTM_GETCURRENTTOOLA = (WM_USER + 15);

        public const int TTM_GETCURRENTTOOLW = (WM_USER + 59);

        public const int TTM_WINDOWFROMPOINT = (WM_USER + 16);

        public const int TTM_TRACKACTIVATE = (WM_USER + 17);

        public const int TTM_TRACKPOSITION = (WM_USER + 18);

        public const int TTM_SETTIPBKCOLOR = (WM_USER + 19);

        public const int TTM_SETTIPTEXTCOLOR = (WM_USER + 20);

        public const int TTM_GETDELAYTIME = (WM_USER + 21);

        public const int TTM_GETTIPBKCOLOR = (WM_USER + 22);

        public const int TTM_GETTIPTEXTCOLOR = (WM_USER + 23);

        public const int TTM_SETMAXTIPWIDTH = (WM_USER + 24);

        public const int TTM_GETMAXTIPWIDTH = (WM_USER + 25);

        public const int TTM_SETMARGIN = (WM_USER + 26);

        public const int TTM_GETMARGIN = (WM_USER + 27);

        public const int TTM_POP = (WM_USER + 28);

        public const int TTM_UPDATE = (WM_USER + 29);

        public const int TTM_GETBUBBLESIZE = (WM_USER + 30);

        public const int TTM_ADJUSTRECT = (WM_USER + 31);

        public const int TTM_SETTITLEA = (WM_USER + 32);

        public const int TTM_SETTITLEW = (WM_USER + 33);

        public const int TTM_POPUP = (WM_USER + 34);

        public const int TTM_GETTITLE = (WM_USER + 35);

        public const int TTM_SETWINDOWTHEME = CCM_SETWINDOWTHEME;

        public const int SB_SETTEXTA = (WM_USER+1);

        public const int SB_SETTEXTW = (WM_USER+11);

        public const int SB_GETTEXTA = (WM_USER+2);

        public const int SB_GETTEXTW = (WM_USER+13);

        public const int SB_GETTEXTLENGTHA = (WM_USER+3);

        public const int SB_GETTEXTLENGTHW = (WM_USER+12);

        public const int SB_SETPARTS = (WM_USER+4);

        public const int SB_GETPARTS = (WM_USER+6);

        public const int SB_GETBORDERS = (WM_USER+7);

        public const int SB_SETMINHEIGHT = (WM_USER+8);

        public const int SB_SIMPLE = (WM_USER+9);

        public const int SB_GETRECT = (WM_USER+10);

        public const int SB_ISSIMPLE = (WM_USER+14);

        public const int SB_SETICON = (WM_USER+15);

        public const int SB_SETTIPTEXTA = (WM_USER+16);

        public const int SB_SETTIPTEXTW = (WM_USER+17);

        public const int SB_GETTIPTEXTA = (WM_USER+18);

        public const int SB_GETTIPTEXTW = (WM_USER+19);

        public const int SB_GETICON = (WM_USER+20);

        public const int SB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SB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SB_SETBKCOLOR = CCM_SETBKCOLOR;

        public const int SB_SIMPLEID = 0x00ff;

        public const int TBM_GETPOS = (WM_USER);

        public const int TBM_GETRANGEMIN = (WM_USER+1);

        public const int TBM_GETRANGEMAX = (WM_USER+2);

        public const int TBM_GETTIC = (WM_USER+3);

        public const int TBM_SETTIC = (WM_USER+4);

        public const int TBM_SETPOS = (WM_USER+5);

        public const int TBM_SETRANGE = (WM_USER+6);

        public const int TBM_SETRANGEMIN = (WM_USER+7);

        public const int TBM_SETRANGEMAX = (WM_USER+8);

        public const int TBM_CLEARTICS = (WM_USER+9);

        public const int TBM_SETSEL = (WM_USER+10);

        public const int TBM_SETSELSTART = (WM_USER+11);

        public const int TBM_SETSELEND = (WM_USER+12);

        public const int TBM_GETPTICS = (WM_USER+14);

        public const int TBM_GETTICPOS = (WM_USER+15);

        public const int TBM_GETNUMTICS = (WM_USER+16);

        public const int TBM_GETSELSTART = (WM_USER+17);

        public const int TBM_GETSELEND = (WM_USER+18);

        public const int TBM_CLEARSEL = (WM_USER+19);

        public const int TBM_SETTICFREQ = (WM_USER+20);

        public const int TBM_SETPAGESIZE = (WM_USER+21);

        public const int TBM_GETPAGESIZE = (WM_USER+22);

        public const int TBM_SETLINESIZE = (WM_USER+23);

        public const int TBM_GETLINESIZE = (WM_USER+24);

        public const int TBM_GETTHUMBRECT = (WM_USER+25);

        public const int TBM_GETCHANNELRECT = (WM_USER+26);

        public const int TBM_SETTHUMBLENGTH = (WM_USER+27);

        public const int TBM_GETTHUMBLENGTH = (WM_USER+28);

        public const int TBM_SETTOOLTIPS = (WM_USER+29);

        public const int TBM_GETTOOLTIPS = (WM_USER+30);

        public const int TBM_SETTIPSIDE = (WM_USER+31);

        public const int TBM_SETBUDDY = (WM_USER+32);

        public const int TBM_GETBUDDY = (WM_USER+33);

        public const int TB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TB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DL_BEGINDRAG = (WM_USER+133);

        public const int DL_DRAGGING = (WM_USER+134);

        public const int DL_DROPPED = (WM_USER+135);

        public const int DL_CANCELDRAG = (WM_USER+136);

        public const int UDM_SETRANGE = (WM_USER+101);

        public const int UDM_GETRANGE = (WM_USER+102);

        public const int UDM_SETPOS = (WM_USER+103);

        public const int UDM_GETPOS = (WM_USER+104);

        public const int UDM_SETBUDDY = (WM_USER+105);

        public const int UDM_GETBUDDY = (WM_USER+106);

        public const int UDM_SETACCEL = (WM_USER+107);

        public const int UDM_GETACCEL = (WM_USER+108);

        public const int UDM_SETBASE = (WM_USER+109);

        public const int UDM_GETBASE = (WM_USER+110);

        public const int UDM_SETRANGE32 = (WM_USER+111);

        public const int UDM_GETRANGE32 = (WM_USER+112);

        public const int UD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UD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UDM_SETPOS32 = (WM_USER+113);

        public const int UDM_GETPOS32 = (WM_USER+114);

        public const int PBM_SETRANGE = (WM_USER+1);

        public const int PBM_SETPOS = (WM_USER+2);

        public const int PBM_DELTAPOS = (WM_USER+3);

        public const int PBM_SETSTEP = (WM_USER+4);

        public const int PBM_STEPIT = (WM_USER+5);

        public const int PBM_SETRANGE32 = (WM_USER+6);

        public const int PBM_GETRANGE = (WM_USER+7);

        public const int PBM_GETPOS = (WM_USER+8);

        public const int PBM_SETBARCOLOR = (WM_USER+9);

        public const int PBM_SETBKCOLOR = CCM_SETBKCOLOR;

        public const int HKM_SETHOTKEY = (WM_USER+1);

        public const int HKM_GETHOTKEY = (WM_USER+2);

        public const int HKM_SETRULES = (WM_USER+3);

        public const int LV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LV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LVM_GETBKCOLOR = (LVM_FIRST + 0);

        public const int LVM_SETBKCOLOR = (LVM_FIRST + 1);

        public const int LVM_GETIMAGELIST = (LVM_FIRST + 2);

        public const int LVM_SETIMAGELIST = (LVM_FIRST + 3);

        public const int LVM_GETITEMCOUNT = (LVM_FIRST + 4);

        public const int LVM_GETITEMA = (LVM_FIRST + 5);

        public const int LVM_GETITEMW = (LVM_FIRST + 75);

        public const int LVM_SETITEMA = (LVM_FIRST + 6);

        public const int LVM_SETITEMW = (LVM_FIRST + 76);

        public const int LVM_INSERTITEMA = (LVM_FIRST + 7);

        public const int LVM_INSERTITEMW = (LVM_FIRST + 77);

        public const int LVM_DELETEITEM = (LVM_FIRST + 8);

        public const int LVM_DELETEALLITEMS = (LVM_FIRST + 9);

        public const int LVM_GETCALLBACKMASK = (LVM_FIRST + 10);

        public const int LVM_SETCALLBACKMASK = (LVM_FIRST + 11);

        public const int LVM_FINDITEMA = (LVM_FIRST + 13);

        public const int LVM_FINDITEMW = (LVM_FIRST + 83);

        public const int LVM_GETITEMRECT = (LVM_FIRST + 14);

        public const int LVM_SETITEMPOSITION = (LVM_FIRST + 15);

        public const int LVM_GETITEMPOSITION = (LVM_FIRST + 16);

        public const int LVM_GETSTRINGWIDTHA = (LVM_FIRST + 17);

        public const int LVM_GETSTRINGWIDTHW = (LVM_FIRST + 87);

        public const int LVM_HITTEST = (LVM_FIRST + 18);

        public const int LVM_ENSUREVISIBLE = (LVM_FIRST + 19);

        public const int LVM_SCROLL = (LVM_FIRST + 20);

        public const int LVM_REDRAWITEMS = (LVM_FIRST + 21);

        public const int LVM_ARRANGE = (LVM_FIRST + 22);

        public const int LVM_EDITLABELA = (LVM_FIRST + 23);

        public const int LVM_EDITLABELW = (LVM_FIRST + 118);

        public const int LVM_GETEDITCONTROL = (LVM_FIRST + 24);

        public const int LVM_GETCOLUMNA = (LVM_FIRST + 25);

        public const int LVM_GETCOLUMNW = (LVM_FIRST + 95);

        public const int LVM_SETCOLUMNA = (LVM_FIRST + 26);

        public const int LVM_SETCOLUMNW = (LVM_FIRST + 96);

        public const int LVM_INSERTCOLUMNA = (LVM_FIRST + 27);

        public const int LVM_INSERTCOLUMNW = (LVM_FIRST + 97);

        public const int LVM_DELETECOLUMN = (LVM_FIRST + 28);

        public const int LVM_GETCOLUMNWIDTH = (LVM_FIRST + 29);

        public const int LVM_SETCOLUMNWIDTH = (LVM_FIRST + 30);

        public const int LVM_CREATEDRAGIMAGE = (LVM_FIRST + 33);

        public const int LVM_GETVIEWRECT = (LVM_FIRST + 34);

        public const int LVM_GETTEXTCOLOR = (LVM_FIRST + 35);

        public const int LVM_SETTEXTCOLOR = (LVM_FIRST + 36);

        public const int LVM_GETTEXTBKCOLOR = (LVM_FIRST + 37);

        public const int LVM_SETTEXTBKCOLOR = (LVM_FIRST + 38);

        public const int LVM_GETTOPINDEX = (LVM_FIRST + 39);

        public const int LVM_GETCOUNTPERPAGE = (LVM_FIRST + 40);

        public const int LVM_GETORIGIN = (LVM_FIRST + 41);

        public const int LVM_UPDATE = (LVM_FIRST + 42);

        public const int LVM_SETITEMSTATE = (LVM_FIRST + 43);

        public const int LVM_GETITEMSTATE = (LVM_FIRST + 44);

        public const int LVM_GETITEMTEXTA = (LVM_FIRST + 45);

        public const int LVM_GETITEMTEXTW = (LVM_FIRST + 115);

        public const int LVM_SETITEMTEXTA = (LVM_FIRST + 46);

        public const int LVM_SETITEMTEXTW = (LVM_FIRST + 116);

        public const int LVM_SETITEMCOUNT = (LVM_FIRST + 47);

        public const int LVM_SORTITEMS = (LVM_FIRST + 48);

        public const int LVM_SETITEMPOSITION32 = (LVM_FIRST + 49);

        public const int LVM_GETSELECTEDCOUNT = (LVM_FIRST + 50);

        public const int LVM_GETITEMSPACING = (LVM_FIRST + 51);

        public const int LVM_GETISEARCHSTRINGA = (LVM_FIRST + 52);

        public const int LVM_GETISEARCHSTRINGW = (LVM_FIRST + 117);

        public const int LVM_SETICONSPACING = (LVM_FIRST + 53);

        public const int LVM_SETEXTENDEDLISTVIEWSTYLE = (LVM_FIRST + 54);

        public const int LVM_GETEXTENDEDLISTVIEWSTYLE = (LVM_FIRST + 55);

        public const int LVM_GETSUBITEMRECT = (LVM_FIRST + 56);

        public const int LVM_SUBITEMHITTEST = (LVM_FIRST + 57);

        public const int LVM_SETCOLUMNORDERARRAY = (LVM_FIRST + 58);

        public const int LVM_GETCOLUMNORDERARRAY = (LVM_FIRST + 59);

        public const int LVM_SETHOTITEM = (LVM_FIRST + 60);

        public const int LVM_GETHOTITEM = (LVM_FIRST + 61);

        public const int LVM_SETHOTCURSOR = (LVM_FIRST + 62);

        public const int LVM_GETHOTCURSOR = (LVM_FIRST + 63);

        public const int LVM_APPROXIMATEVIEWRECT = (LVM_FIRST + 64);

        public const int LVM_SETWORKAREAS = (LVM_FIRST + 65);

        public const int LVM_GETWORKAREAS = (LVM_FIRST + 70);

        public const int LVM_GETNUMBEROFWORKAREAS = (LVM_FIRST + 73);

        public const int LVM_GETSELECTIONMARK = (LVM_FIRST + 66);

        public const int LVM_SETSELECTIONMARK = (LVM_FIRST + 67);

        public const int LVM_SETHOVERTIME = (LVM_FIRST + 71);

        public const int LVM_GETHOVERTIME = (LVM_FIRST + 72);

        public const int LVM_SETTOOLTIPS = (LVM_FIRST + 74);

        public const int LVM_GETTOOLTIPS = (LVM_FIRST + 78);

        public const int LVM_SORTITEMSEX = (LVM_FIRST + 81);

        public const int LVM_SETBKIMAGEA = (LVM_FIRST + 68);

        public const int LVM_SETBKIMAGEW = (LVM_FIRST + 138);

        public const int LVM_GETBKIMAGEA = (LVM_FIRST + 69);

        public const int LVM_GETBKIMAGEW = (LVM_FIRST + 139);

        public const int LVM_SETSELECTEDCOLUMN = (LVM_FIRST + 140);

        public const int LVM_SETTILEWIDTH = (LVM_FIRST + 141);

        public const int LVM_SETVIEW = (LVM_FIRST + 142);

        public const int LVM_GETVIEW = (LVM_FIRST + 143);

        public const int LVM_INSERTGROUP = (LVM_FIRST + 145);

        public const int LVM_SETGROUPINFO = (LVM_FIRST + 147);

        public const int LVM_GETGROUPINFO = (LVM_FIRST + 149);

        public const int LVM_REMOVEGROUP = (LVM_FIRST + 150);

        public const int LVM_MOVEGROUP = (LVM_FIRST + 151);

        public const int LVM_MOVEITEMTOGROUP = (LVM_FIRST + 154);

        public const int LVM_SETGROUPMETRICS = (LVM_FIRST + 155);

        public const int LVM_GETGROUPMETRICS = (LVM_FIRST + 156);

        public const int LVM_ENABLEGROUPVIEW = (LVM_FIRST + 157);

        public const int LVM_SORTGROUPS = (LVM_FIRST + 158);

        public const int LVM_INSERTGROUPSORTED = (LVM_FIRST + 159);

        public const int LVM_REMOVEALLGROUPS = (LVM_FIRST + 160);

        public const int LVM_HASGROUP = (LVM_FIRST + 161);

        public const int LVM_SETTILEVIEWINFO = (LVM_FIRST + 162);

        public const int LVM_GETTILEVIEWINFO = (LVM_FIRST + 163);

        public const int LVM_SETTILEINFO = (LVM_FIRST + 164);

        public const int LVM_GETTILEINFO = (LVM_FIRST + 165);

        public const int LVM_SETINSERTMARK = (LVM_FIRST + 166);

        public const int LVM_GETINSERTMARK = (LVM_FIRST + 167);

        public const int LVM_INSERTMARKHITTEST = (LVM_FIRST + 168);

        public const int LVM_GETINSERTMARKRECT = (LVM_FIRST + 169);

        public const int LVM_SETINSERTMARKCOLOR = (LVM_FIRST + 170);

        public const int LVM_GETINSERTMARKCOLOR = (LVM_FIRST + 171);

        public const int LVM_SETINFOTIP = (LVM_FIRST + 173);

        public const int LVM_GETSELECTEDCOLUMN = (LVM_FIRST + 174);

        public const int LVM_ISGROUPVIEWENABLED = (LVM_FIRST + 175);

        public const int LVM_GETOUTLINECOLOR = (LVM_FIRST + 176);

        public const int LVM_SETOUTLINECOLOR = (LVM_FIRST + 177);

        public const int LVM_CANCELEDITLABEL = (LVM_FIRST + 179);

        public const int LVM_MAPINDEXTOID = (LVM_FIRST + 180);

        public const int LVM_MAPIDTOINDEX = (LVM_FIRST + 181);

        public const int TVM_INSERTITEMA = (TV_FIRST + 0);

        public const int TVM_INSERTITEMW = (TV_FIRST + 50);

        public const int TVM_DELETEITEM = (TV_FIRST + 1);

        public const int TVM_EXPAND = (TV_FIRST + 2);

        public const int TVM_GETITEMRECT = (TV_FIRST + 4);

        public const int TVM_GETCOUNT = (TV_FIRST + 5);

        public const int TVM_GETINDENT = (TV_FIRST + 6);

        public const int TVM_SETINDENT = (TV_FIRST + 7);

        public const int TVM_GETIMAGELIST = (TV_FIRST + 8);

        public const int TVM_SETIMAGELIST = (TV_FIRST + 9);

        public const int TVM_GETNEXTITEM = (TV_FIRST + 10);

        public const int TVM_SELECTITEM = (TV_FIRST + 11);

        public const int TVM_GETITEMA = (TV_FIRST + 12);

        public const int TVM_GETITEMW = (TV_FIRST + 62);

        public const int TVM_SETITEMA = (TV_FIRST + 13);

        public const int TVM_SETITEMW = (TV_FIRST + 63);

        public const int TVM_EDITLABELA = (TV_FIRST + 14);

        public const int TVM_EDITLABELW = (TV_FIRST + 65);

        public const int TVM_GETEDITCONTROL = (TV_FIRST + 15);

        public const int TVM_GETVISIBLECOUNT = (TV_FIRST + 16);

        public const int TVM_HITTEST = (TV_FIRST + 17);

        public const int TVM_CREATEDRAGIMAGE = (TV_FIRST + 18);

        public const int TVM_SORTCHILDREN = (TV_FIRST + 19);

        public const int TVM_ENSUREVISIBLE = (TV_FIRST + 20);

        public const int TVM_SORTCHILDRENCB = (TV_FIRST + 21);

        public const int TVM_ENDEDITLABELNOW = (TV_FIRST + 22);

        public const int TVM_GETISEARCHSTRINGA = (TV_FIRST + 23);

        public const int TVM_GETISEARCHSTRINGW = (TV_FIRST + 64);

        public const int TVM_SETTOOLTIPS = (TV_FIRST + 24);

        public const int TVM_GETTOOLTIPS = (TV_FIRST + 25);

        public const int TVM_SETINSERTMARK = (TV_FIRST + 26);

        public const int TV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TV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TVM_SETITEMHEIGHT = (TV_FIRST + 27);

        public const int TVM_GETITEMHEIGHT = (TV_FIRST + 28);

        public const int TVM_SETBKCOLOR = (TV_FIRST + 29);

        public const int TVM_SETTEXTCOLOR = (TV_FIRST + 30);

        public const int TVM_GETBKCOLOR = (TV_FIRST + 31);

        public const int TVM_GETTEXTCOLOR = (TV_FIRST + 32);

        public const int TVM_SETSCROLLTIME = (TV_FIRST + 33);

        public const int TVM_GETSCROLLTIME = (TV_FIRST + 34);

        public const int TVM_SETINSERTMARKCOLOR = (TV_FIRST + 37);

        public const int TVM_GETINSERTMARKCOLOR = (TV_FIRST + 38);

        public const int TVM_GETITEMSTATE = (TV_FIRST + 39);

        public const int TVM_SETLINECOLOR = (TV_FIRST + 40);

        public const int TVM_GETLINECOLOR = (TV_FIRST + 41);

        public const int TVM_MAPACCIDTOHTREEITEM = (TV_FIRST + 42);

        public const int TVM_MAPHTREEITEMTOACCID = (TV_FIRST + 43);

        public const int CBEM_INSERTITEMA = (WM_USER + 1);

        public const int CBEM_SETIMAGELIST = (WM_USER + 2);

        public const int CBEM_GETIMAGELIST = (WM_USER + 3);

        public const int CBEM_GETITEMA = (WM_USER + 4);

        public const int CBEM_SETITEMA = (WM_USER + 5);

        public const int CBEM_DELETEITEM = CB_DELETESTRING;

        public const int CBEM_GETCOMBOCONTROL = (WM_USER + 6);

        public const int CBEM_GETEDITCONTROL = (WM_USER + 7);

        public const int CBEM_SETEXTENDEDSTYLE = (WM_USER + 14);

        public const int CBEM_GETEXTENDEDSTYLE = (WM_USER + 9);

        public const int CBE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CBE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CBEM_SETEXSTYLE = (WM_USER + 8);

        public const int CBEM_GETEXSTYLE = (WM_USER + 9);

        public const int CBEM_HASEDITCHANGED = (WM_USER + 10);

        public const int CBEM_INSERTITEMW = (WM_USER + 11);

        public const int CBEM_SETITEMW = (WM_USER + 12);

        public const int CBEM_GETITEMW = (WM_USER + 13);

        public const int TCM_GETIMAGELIST = (TCM_FIRST + 2);

        public const int TCM_SETIMAGELIST = (TCM_FIRST + 3);

        public const int TCM_GETITEMCOUNT = (TCM_FIRST + 4);

        public const int TCM_GETITEMA = (TCM_FIRST + 5);

        public const int TCM_GETITEMW = (TCM_FIRST + 60);

        public const int TCM_SETITEMA = (TCM_FIRST + 6);

        public const int TCM_SETITEMW = (TCM_FIRST + 61);

        public const int TCM_INSERTITEMA = (TCM_FIRST + 7);

        public const int TCM_INSERTITEMW = (TCM_FIRST + 62);

        public const int TCM_DELETEITEM = (TCM_FIRST + 8);

        public const int TCM_DELETEALLITEMS = (TCM_FIRST + 9);

        public const int TCM_GETITEMRECT = (TCM_FIRST + 10);

        public const int TCM_GETCURSEL = (TCM_FIRST + 11);

        public const int TCM_SETCURSEL = (TCM_FIRST + 12);

        public const int TCM_HITTEST = (TCM_FIRST + 13);

        public const int TCM_SETITEMEXTRA = (TCM_FIRST + 14);

        public const int TCM_ADJUSTRECT = (TCM_FIRST + 40);

        public const int TCM_SETITEMSIZE = (TCM_FIRST + 41);

        public const int TCM_REMOVEIMAGE = (TCM_FIRST + 42);

        public const int TCM_SETPADDING = (TCM_FIRST + 43);

        public const int TCM_GETROWCOUNT = (TCM_FIRST + 44);

        public const int TCM_GETTOOLTIPS = (TCM_FIRST + 45);

        public const int TCM_SETTOOLTIPS = (TCM_FIRST + 46);

        public const int TCM_GETCURFOCUS = (TCM_FIRST + 47);

        public const int TCM_SETCURFOCUS = (TCM_FIRST + 48);

        public const int TCM_SETMINTABWIDTH = (TCM_FIRST + 49);

        public const int TCM_DESELECTALL = (TCM_FIRST + 50);

        public const int TCM_HIGHLIGHTITEM = (TCM_FIRST + 51);

        public const int TCM_SETEXTENDEDSTYLE = (TCM_FIRST + 52);

        public const int TCM_GETEXTENDEDSTYLE = (TCM_FIRST + 53);

        public const int TC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TC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ACM_OPENA = (WM_USER+100);

        public const int ACM_OPENW = (WM_USER+103);

        public const int ACM_PLAY = (WM_USER+101);

        public const int ACM_STOP = (WM_USER+102);

        public const int MCM_FIRST = 0x1000;

        public const int MCM_GETCURSEL = (MCM_FIRST + 1);

        public const int MCM_SETCURSEL = (MCM_FIRST + 2);

        public const int MCM_GETMAXSELCOUNT = (MCM_FIRST + 3);

        public const int MCM_SETMAXSELCOUNT = (MCM_FIRST + 4);

        public const int MCM_GETSELRANGE = (MCM_FIRST + 5);

        public const int MCM_SETSELRANGE = (MCM_FIRST + 6);

        public const int MCM_GETMONTHRANGE = (MCM_FIRST + 7);

        public const int MCM_SETDAYSTATE = (MCM_FIRST + 8);

        public const int MCM_GETMINREQRECT = (MCM_FIRST + 9);

        public const int MCM_SETCOLOR = (MCM_FIRST + 10);

        public const int MCM_GETCOLOR = (MCM_FIRST + 11);

        public const int MCM_SETTODAY = (MCM_FIRST + 12);

        public const int MCM_GETTODAY = (MCM_FIRST + 13);

        public const int MCM_HITTEST = (MCM_FIRST + 14);

        public const int MCM_SETFIRSTDAYOFWEEK = (MCM_FIRST + 15);

        public const int MCM_GETFIRSTDAYOFWEEK = (MCM_FIRST + 16);

        public const int MCM_GETRANGE = (MCM_FIRST + 17);

        public const int MCM_SETRANGE = (MCM_FIRST + 18);

        public const int MCM_GETMONTHDELTA = (MCM_FIRST + 19);

        public const int MCM_SETMONTHDELTA = (MCM_FIRST + 20);

        public const int MCM_GETMAXTODAYWIDTH = (MCM_FIRST + 21);

        public const int MCM_SETUNICODEFORMAT = CCM_S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MCM_GETUNICODEFORMAT = CCM_GETUNICODEFORMAT;

        public const int DTM_FIRST = 0x1000;

        public const int DTM_GETSYSTEMTIME = (DTM_FIRST + 1);

        public const int DTM_SETSYSTEMTIME = (DTM_FIRST + 2);

        public const int DTM_GETRANGE = (DTM_FIRST + 3);

        public const int DTM_SETRANGE = (DTM_FIRST + 4);

        public const int DTM_SETFORMATA = (DTM_FIRST + 5);

        public const int DTM_SETFORMATW = (DTM_FIRST + 50);

        public const int DTM_SETMCCOLOR = (DTM_FIRST + 6);

        public const int DTM_GETMCCOLOR = (DTM_FIRST + 7);

        public const int DTM_GETMONTHCAL = (DTM_FIRST + 8);

        public const int DTM_SETMCFONT = (DTM_FIRST + 9);

        public const int DTM_GETMCFONT = (DTM_FIRST + 10);

        public const int PGM_SETCHILD = (PGM_FIRST + 1);

        public const int PGM_RECALCSIZE = (PGM_FIRST + 2);

        public const int PGM_FORWARDMOUSE = (PGM_FIRST + 3);

        public const int PGM_SETBKCOLOR = (PGM_FIRST + 4);

        public const int PGM_GETBKCOLOR = (PGM_FIRST + 5);

        public const int PGM_SETBORDER = (PGM_FIRST + 6);

        public const int PGM_GETBORDER = (PGM_FIRST + 7);

        public const int PGM_SETPOS = (PGM_FIRST + 8);

        public const int PGM_GETPOS = (PGM_FIRST + 9);

        public const int PGM_SETBUTTONSIZE = (PGM_FIRST + 10);

        public const int PGM_GETBUTTONSIZE = (PGM_FIRST + 11);

        public const int PGM_GETBUTTONSTATE = (PGM_FIRST + 12);

        public const int PGM_GETDROPTARGET = CCM_GETDROPTARGET;

        public const int BCM_GETIDEALSIZE = (BCM_FIRST + 0x0001);

        public const int BCM_SETIMAGELIST = (BCM_FIRST + 0x0002);

        public const int BCM_GETIMAGELIST = (BCM_FIRST + 0x0003);

        public const int BCM_SETTEXTMARGIN = (BCM_FIRST + 0x0004);

        public const int BCM_GETTEXTMARGIN = (BCM_FIRST + 0x0005);

        public const int EM_SETCUEBANNER = (ECM_FIRST + 1);

        public const int EM_GETCUEBANNER = (ECM_FIRST + 2);

        public const int EM_SHOWBALLOONTIP = (ECM_FIRST + 3);

        public const int EM_HIDEBALLOONTIP = (ECM_FIRST + 4);

        public const int CB_SETMINVISIBLE = (CBM_FIRST + 1);

        public const int CB_GETMINVISIBLE = (CBM_FIRST + 2);

        public const int LM_HITTEST = (WM_USER + 0x300);

        public const int LM_GETIDEALHEIGHT = (WM_USER + 0x301);

        public const int LM_SETITEM = (WM_USER + 0x302);

        public const int LM_GETITEM = (WM_USER + 0x303);

    }


------------------------------


    public class MouseMasks

    {

        public const int MK_NULL = 0x0000;

        public const int MK_LBUTTON = 0x0001;

        public const int MK_RBUTTON = 0x0002;

        public const int MK_SHIFT = 0x0004;

        public const int MK_CONTROL = 0x0008;

        public const int MK_MBUTTON = 0x0010;

        public const int MK_XBUTTON1 = 0x0020;

        public const int MK_XBUTTON2 = 0x0040;

    }


-----------------------------


이 정도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조인에 대해 이제 찬찬히 이야기를 드려 보지요.

 

Join은 2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1개의 테이블 집합을 생성해 질의 결과를 얻게 해주는 방법.

RDBMS는 정규화 과정을 거쳐 테이블을 나누어 설계 하게 됨.

이때 여러개의 테이블중 논리적인 테이블을 만들어 결과를 생성하게 하는 방법을 의미함.

 

 조인의 종류는 5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1. INNER JOIN

2. OUTER JOIN

3. CROSS JOIN

4. FULL OUTER JOIN

5. SELF JOIN

 

조인의 방식은 3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1. Nested loop Join

2. Hash Join

3. Merge Join

 

종류에 대한 이야기니 그렇구나 하시면 되구요..

주로 사용되는 조인은? 맨 처음의 INNER JOIN 이라는 녀석 입니다.

위의 ID-성별 처럼 두개의 테이블을 합칠때 사용되는 녀석 이지요.

 

먼저 INNER JOIN에 대해 말을 드리지요.

1. INNER JOIN

두개의 관련된 키가 있는 테이블에서 Column의 값을 비교 후

Join 조건에 맞는 행만 검색합니다.

SQL서버의 기본 조인 방식 입니다.

 

SELECT * from authors

SELECT * FROM publishers

SELECT *
FROM authors AS a INNER JOIN publishers AS p
ON a.city = p.city

 

자 위의 조인문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우선은 샘플만 보여 드린 거지요.

위의 두개 SELECT 구문은 데이터를 먼저 찬찬히 봐 보시라는 의미 이며..

세번째 쿼리가 JOIN 쿼리 입니다.

 

이제 INNER JOIN의 좀더 다른 샘플을 보도록 하지요.

ID-이름   테이블

ID 이름
KONAN 김대우
BAEZZANG 이동혁
DEVIL 은정범

 

이런 테이블이 있구요.

아울러.

ID - 정보   테이블

ID 나이 성별
KONAN 18
BAEZZANG 45

의 식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아시겠지요?

 

여기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한번 뽑아 보도록 하지요.

ID-이름의 이름 ID-이름의 ID ID-정보의 ID ID-정보의 나이 ID-정보의 성별
김대우 KONAN KONAN 18
김대우 KONAN BAEZZANG 45
김대우 KONAN NULL NULL NULL
이동혁 BAEZZANG KONAN 18
이동혁 BAEZZANG BAEZZANG 45
이동혁 BAEZZANG NULL NULL NULL
은정범 DEVIL KONAN 18
은정범 DEVIL BAEZZANG 45
은정범 DEVIL NULL NULL NULL

이런 식이 될겁니다.

그렇지요?

여기서!!!

결과들중!!! 바로 파란색으로 된 녀석들!!!!

ID-이름 테이블의 ID컬럼과 ID-정보 테이블의 ID 컬럼이 같은 녀석들이 의미 있는

값이라는 것이지요!!!!  다른 값들은 바로 쓰레기 값이다!!! 라는 의미 입니다.

나온 결과중 의미 있는 결과는!!!

ID-이름의 이름 ID-이름의 ID ID-정보의 ID ID-정보의 나이 ID-정보의 성별
김대우 KONAN KONAN 18
이동혁 BAEZZANG BAEZZANG 45

이런 식이 될겁니다.

이런식으로 생각해 보시면 조금 빨리 이해가 되시지요?

이렇게 여러 조합중 조건에 맞는 즉! 조건 컬럼이 같은 녀석을 뽑아 내는 것이 바로

JOIN  입니다.

따라서 이런 결과과 되지요.

이를 SQL문으로 생각해 본다면?

 

--실행 안됩니다.

SELECT id-이름.이름, id-이름.ID, id-정보.id, id-정보.나이,id-정보.성별

FROM id-이름 INNER JOIN id-정보

ON id-이름.ID = id-정보.ID

 

이런 식이 되겠지요!! 조건은 바로 맨 아래줄의 ON 키워드 라는 것입니다.

자 상당히 많은 내용을 배우셨네요.

다음 내용은? INNER JOIN의 문법과 간단한 샘플들 입니다.

 

조인의 구현

각 테이블에서 하나의 컬럼을 사용하여 두개의 테이블을 연결하는 것

    - 고려사항

    - 연결하려는 컬럼은 조인에 포함된 각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쉽게 일치시키거나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 ANSI SQL 문법 또는 SQL 서버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 하나의 SELECT 문에서 동시에 ANSI SQL문법과 SQL서버 문법을 사용 할 수 없다.

    - 두 테이블 모두에 존재하는 컬럼 이름을 참조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table_name.column_name 형식을 따라야 한다.


조인의 구현 - ANSI SQL  문법

SELECT table_name.column_name [, table_name.column_name…]

        FROM {table_name[join_type] JOIN table_name ON search_conditions}

        WHERE [search_condition…]

        - WHERE 절을 사용한 행의 선택에서 연결된 테이블을 구성한다.


형식

        SELECT table_name.column_name[, table_name.column_name…]

        FROM {table_name, table_name}

        WHERE table_name.column_name join_operator table_name.column_name

    - 컬럼 들의 값을 한 행씩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참일때 그 행을 나열한다.

    - FROM절에 조인에 관련되는 모든 테이블을 나열하고 WHERE절에 어떤 행동들이 결과에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명시한다.

WHERE 절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들

        =,  >,  <,  >=,  <=,  <>


Inner 조인

두 테이블을 연결 조건에 맞는 행들만 포함하는 세번째 테이블로 연결한다.

내부 연결의 일반적 유형

        - Equijoin

                - 비교되는 컬럼의 값이 같을 경우에 연결이 이루어진다.

                - 중복된 컬럼 정보를 만들게 된다.

        - Natural join

                - Equijoin 이 만들어 내는 결과 집합에서 중복된 컬럼의 데이터를 제거한다.


 

SELECT pub_name, title

FROM titles INNER JOIN publishers

ON titles.pub_id = publishers.pub_id

 

 

 

/* ANSI 조인 */

USE pubs

        SELECT authors.au_lname, authors.state, publishers.*

        FROM publishers INNER JOIN authors

                ON publishers.city = authors.city

 

 

 

/*T-SQL 조인*/

USE pubs

        SELECT authors.au_lname, authors.state, publishers.*

        FROM publishers, authors

        WHERE publishers.city = authors.city

 

북스 온라인 상에서는 T-SQL조인을 사용하기 보다는 ANSI 조인의 사용을 권하고 있습니다.

T-SQL조인은 사실 약간 모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 입니다.

추후 스터디를 위해서라도 가능하심 ANSI - SQL로 배우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두번째의 OUTER JOIN 입니다.

LEFT 또는 RIGHT OUTER JOIN.

두 테이블에서 지정된 쪽인 LEFT 또는 RIGHT 쪽의

모든 결과를 보여준후 반대쪽에 대해는 매칭값이 없어도

보여주는 JOIN을 의미

 

조금 난해 하지요?

역시나 샘플을 보시면? 감이 빡빡 오실 겁니다.

위의 샘플과 마찬 가지로...

ID-이름   테이블

ID 이름
KONAN 김대우
BAEZZANG 이동혁
DEVIL 은정범

 

이런 테이블이 있구요.

아울러.

ID - 정보   테이블

ID 나이 성별
KONAN 18
BAEZZANG 45

 

 

다시 가능한 모든 조합입니다.

ID-이름의 이름 ID-이름의 ID ID-정보의 ID ID-정보의 나이 ID-정보의 성별
김대우 KONAN KONAN 18
김대우 KONAN BAEZZANG 45
김대우 KONAN NULL NULL NULL
이동혁 BAEZZANG KONAN 18
이동혁 BAEZZANG BAEZZANG 45
이동혁 BAEZZANG NULL NULL NULL
은정범 DEVIL KONAN 18
은정범 DEVIL BAEZZANG 45
은정범 DEVIL NULL NULL NULL

 

이때 INNER JOIN과 다른점은?

다시 가능한 모든 조합입니다.

ID-이름의 이름 ID-이름의 ID ID-정보의 ID ID-정보의 나이 ID-정보의 성별
김대우 KONAN KONAN 18
이동혁 BAEZZANG KONAN 18
이동혁 BAEZZANG BAEZZANG 45
은정범 DEVIL NULL NULL NULL

따라서 이런 결과과 됩니다.

즉!!!  

FROM id-이름 LEFT OUTER JOIN id-정보

ON id-이름.ID = id-정보.ID

이런 LEFT OUTER JOIN 키워드가 있을 경우 JOIN의 왼쪽에 표시된 테이블인

id-이름 테이블은 오른쪽에 매칭 되는 결과가 없어도!!! 왼쪽 테이블을 우선 보여 준다는

의미 입니다.

그래서 ID-이름 테이블의  은정범 : DEVIL 은 매칭되는 ID-정보 테이블의 로우가 없어도

우선은 보여 준다는 의미 이지요.

 

이를 SQL문으로 생각해 본다면?

 

SELECT id-이름.이름, id-이름.ID, id-정보.id, id-정보.나이,id-정보.성별

FROM id-이름 LEFT OUTER JOIN id-정보

ON id-이름.ID = id-정보.ID

 

의 식이 된다. 이것이 LEFT OUTER JOIN 이다.

RIGHT OUTER JOIN 역시 같습니다. 오른쪽 테이블은 무조건 보이고 왼쪽은 NULL로

표기 한다는 의미 입니다. LEFT 와 같지요?

코난이의 경우 대부분 LEFT를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를 보았지..

RIGHT는 쓰시는 분이 거의 없더군요..

 

그렇다면!!! 이 LEFT OUTER JOIN은 주로 언제 사용하는가!!!

코난이의 경우 몇번 전자 상거래 구축시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바로 제품 - 판매량을 볼때 이지요.

특정 제품들의 리스트를 보기위해 아래의 표와 같은 데이터를 보려 합니다.

이런 테이블을 INNER JOIN해 볼때는? C 제품의 경우..

즉!! 하나도 팔리지 않은 제품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제품 판매량
A 10
B 20
C NULL

이때..!

C제품도 우선은 보이게 하고 판매량은 NULL로 보이더라도 우선은 보이고 싶을때

입니다. 그래서 LEFT OUTER JOIN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비슷한 케이스가 상당히 많으니.. 이 LEFT OUTER JOIN도 알아두심 많은 도움 되실 겁니다.

 

이러한 OUTER JOIN의 구문 정보와 샘플 입니다.

Outer 조인

한 테이블에 있는 행에는 제한 조건을 가하지 않는

반면에 다른 테이블에 대해서는 행에 제한을 한다.

고려사항

        - 관계된 테이블에서 일치하지 않는 outer 테이블의 모든 행을 보여준다.

        - 두 테이블간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 기본키와 참조키가 동기화 되지 않았는지 등을 알아보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SELECT title, stor_id, ord_num, qty, ord_date
FROM titles LEFT OUTER JOIN sales
ON titles.title_id = sales.title_id

 

 

다음은 CORSS JOIN 입니다.

CROSS JOIN

연관된 두개의 테이블에서 가능한 모든 조합을 찾는다.

 

SELECT au_fname, au_lname, pub_name
FROM authors CROSS JOIN publishers



자 역시 찬찬히 풀어서 말을 드릴 차례 이지요~~

위의 샘플과 마찬 가지로...

ID-이름   테이블

ID 이름
KONAN 김대우
BAEZZANG 이동혁
DEVIL 은정범

 

이런 테이블이 있구요.

아울러.

ID - 정보   테이블

ID 나이 성별
KONAN 18
BAEZZANG 45

 

 

다시 가능한 모든 조합입니다.

ID-이름의 이름 ID-이름의 ID ID-정보의 ID ID-정보의 나이 ID-정보의 성별
김대우 KONAN KONAN 18
김대우 KONAN BAEZZANG 45
김대우 KONAN NULL NULL NULL
이동혁 BAEZZANG KONAN 18
이동혁 BAEZZANG BAEZZANG 45
이동혁 BAEZZANG NULL NULL NULL
은정범 DEVIL KONAN 18
은정범 DEVIL BAEZZANG 45
은정범 DEVIL NULL NULL NULL

 

지금 보고 계신 이 모든 가능한 조합이? 바로 CORSS JOIN 의 결과 입니다.

자 여기엔 쓰레기 값이 상당히 많습니다.

LRFT OUTER JOIN에서 사용되는 맨 아래 줄을 제외 하더라도..

6개의 노란 셀로 표시된 로우는 모두 쓰레기 값이라는 것이지요.

그래도 CORSS JOIN에서는? 모두 보여 줍니다.

코난이의 경우 실무에서는 한번도 사용해 본적 없지만..

이런게 있다는 것은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FULL OUTER JOIN 입니다.

FULL OUTER JOIN

LEFT OUTER JOIN의 결과와 RIGHT OUTER JOIN의

결과를 표시한후 한번 중복되는 값(INNER JOIN의 값)의 중복을 제거한 값을 표시한다.

 

SELECT a.au_fname, a.au_lname, p.pub_name
FROM authors a FULL OUTER JOIN publishers p
ON a.city = p.city

 

이는? LEFT OUTER JOIN과 RIGHT OUTER JOIN을 실행 해 보심 아실 수 있습니다.

두 OUTER JOIN을 실행한후..

겹치는 부분인 INNER JOIN의 결과 부분이 두번 나오겠지요?

이 INNER JOIN의 결과를 한번 제외한 결과 라고 생각 하심 빠릅니다.

LEFT , RIGHT 조인을 실행 한다고 생각하심 빠르다는 의미 입니다.

코나니는 실무에서 사용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 거의 사용 안한다는 말이지요.

 

다음은 SELF JOIN 입니다.

 

SELF JOIN

사용하는 경우 :

1. 계층적인 구조를 테이블화 할 경우.

2. 한 테이블에서 일치하는 값을 찾고자 하는 경우.

아울러 반드시 테이블 Alias 명을 사용해 질의해야 한다.

 

판매 라는 테이블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우선 판매 라는 테이블을 별명으로 판매 a 라고 잡겠습니다.

판매a

구매자 ID 물품
KONAN 디아블로2
KONAN 스타크래프트
BAEZZANG 니드포스피드
DEVIL 프리셀
DEVIL 디아블로2

 

아울러 판매 b 라는 테이블이 또 있다고 생각 하지요.. 바로

구매자 ID 물품
KONAN 디아블로2
KONAN 스타크래프트
BAEZZANG 니드포스피드
DEVIL 프리셀
DEVIL 디아블로2

이렇게 같은 테이블 입니다.

구매자 ID 물품 구매자 ID
KONAN 디아블로2 DEVIL

이런 식으로 찾기를 원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바로!!! 같은 물품을 구매한 다른 사람을 찾고 싶을때 입니다.

 

 

SELECT au_fname, au_lname, zip, city
FROM authors
WHERE city = 'Oakland'

 

이 쿼리를 먼저 실행해서 결과를 확인한후 Self-Join 의 쿼리를 실행해 보지요.

결과를 찬찬히 봐 보세요.. ZIP 코드가 같은 작가들이 있습니다.

이때 이를 찾을때 어떻게 찾으면 될까요?

 

 

SELECT au1.au_fname, au1.au_lname, au2.au_fname, au2.au_lname, au1.zip
FROM authors au1 INNER JOIN authors au2
ON au1.zip = au2.zip
WHERE au1.city = 'Oakland'
and au1.au_id <> au2.au_id
ORDER BY au1.au_fname ASC, au1.au_lname ASC

 


이 쿼리는 오클랜드 지역에 사는 작가들중 zip 코드가 같은 사람이 있는가 하는 쿼리 이다.

즉, 오클랜드 지역에 같은 zip코드에  거주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는 쿼리 이다.

코나니가 책회사 사장 이라면?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작가들 끼리 서로의 정보를

공유해 더 좋은 책을 쓰게 함 좋겠죠? 이럴 경우 사용 가능한 질의 입니다.

 

이제 SELF JOIN의 구문정보 입니다.

Self 조인

테이블의 행을 같은 테이블 안에 있는 다른 행과 연관시킨다.

- 비교되는 컬럼은 같은 자료형이어야 하고 여러 방법에 대해 비교 가능해야 한다.

- 같은 테이블을 조인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테이블을 두개의 다른 논리적인 테이블로

    참조 할 수 있도록 별명을 할당해야 한다.

ANSI SQL 문법

        SELECT column_name, column_name [, column_name…]

        FROM table_name alias [join_type] JOIN table_name alias

                ON search_conditions

T - SQL 서버 문법

        SELECT column_name, column_name [, column_name…]

        FROM table_name alias, table_name alias [, table_name…]

        WHERE alias.column_name join_operator alias.column_name

 

 

코나니의 경우 SELF 조인을 가끔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아울러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에서 종종 사용될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 보심 많은 도움 되실 겁니다.

 

다음은 둘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입니다.

둘 이상의 테이블 조인

ASNI SQL 문법

SELECT table_name.column_name [, table_name.column_name…]

FROM table_name[join_type]

JOIN table_name ON search_conditions…[join_type]JOIN table_name ON search_conditions

WHERE [search_condition…]

 

T - SQL문법

SELECT table_name.column_name[, table_name.column_name…]

FROM table_name, table_name[, table_name…]

WHERE table_name.column_name join_operator

                table_name.column_name

        [AND table_name.column_name join_operator

                table_name.column_name…]

 

ANSI 표준을 가능하면 보시고.. 간단히 ON 키워드에 추가추가 하심 됩니다.

 

/*ASNI 조인*/

        SELECT stor_name, qty, title

        FROM titles INNER JOIN sales

                                ON titles.title_id = sales.title_id

                        INNER JOIN stores

                                ON stores.stor_id = sales.stor_id

/*T - SQL 조인*/

        SELECT stor_name, qty, title

        FROM titles, sales, stores

        WHERE titles.title_id = sales.title_id AND

                stores.stor_id = sales.stor_id

 



끝으로 조인의 방식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조인의 방식은 3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1. Nested loop Join

2. Hash Join

3. Merge Join

의 식입니다.

이는 조인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알고리즘 이야기 인데..

코난이가 화일 시스템 시간에 배웠던 HASH의 이야기완 조금 틀리고..

MERGE 조인의 경우 제가 알고있는 MERGE에 대한 내용과 역시나 틀리 더군요.

아울러 Nested Loop는 루프를 돌며 조건 찾기로 아마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이에 대한 자료를 sqler의 Tip 게시판에 올려 두었으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많은걸 배우 셨네요...

테이블 다이어 그램 생성하기....

간단한 정규화와 테이블에 대한 짧은 이야기...

조인의 다양한 방식들...

수고하셨네요...

그럼 다음 이야기인.. Sub Query에서 뵙지요.

 


9. JOIN을 이용한 테이블의 연결 문서의 끝입니다.

 

-----출처 http://sqler.pe.kr/sql2k/29.asp


|

1. Collation(정렬)설정하는 법

- 데이터베이스나 컬럼별로 정렬설정가능

- 대소문자구분해야함

2. 로컬접속의 의미

- 네트워크를 타고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지 않는 네트워크 라이브러리를 무시함.

3. 멀티인스턴스

- 다중 서버의 존재가능하지만 하나의 서버를 사용하는것을 권장

- 스레드(thread)사용(하나의 프로세서 안에서 연결마다 새로운 스레드를 만드는 것이 훨씬 부하를 적게함)

4. SQL Server 2000에서 멀티 인스턴스를 지원하는 이유

- 개발과 테스트를 동시에 이용

- 클러스터링을 사용할 때 절대적 필요

5. 업그레이드

- 6.5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마법사사용

- 7.0업그레이드 : 자동으로 가능

(7.0과 2000버전은 호환성유지)

---------------------------------------------------------------

<2장 복습문제>

문제) 6.5에서 백업 받은 데이터베이스를 2000에서 바로 리스토어 할 수 있는가?

답) X, 업그레이드 마법사를 사용해야함

문제) 서비스를 시작하고 중지할 수 있는 모든 방법

답)서비스관리자,엔터프라이즈관리자,내컴퓨터/관리/서비스/net start/stop명령

문제) collation은 설치 후에 바꿀 수 있는가? 2000에서의 collation은 7.0과 비교해서 어떤점이 어떤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가?

답) 바꿀 수 있다. 7.0은 설치 시에 지정한 collation만을 사용할수 있지만, 2000은 데이터베이스 마다, 테이블 컬럼 마다 바꿀 수 있다.

문제) 설치후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접속이 되지 않는다. 이때 확인할 것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어떤도구를 사용할수있는가?

답) 프로토콜,서비이름,서비스시작여부,로컬서버접속여부 등을 확인한다. readpipe,makepipe,ping등을 사용한다.

문제) NT 4.0에 SQL을 설치하려면 사전에 요구되는것은?

답) 서비스팩5이상설치

---------------------------------------------------------------

< 3장 >

1. 온라인 설명서 사용하기

- 설명서를 참조하여 직접 설치해본다(설치과정)

2. 기본적인 SELECT 문

- SELECT 나열한 컬럼목록

- FROM 가져올테이블

- WHERE 가져올 행의 조건

3. 자료형 함수(책에 나왔던 함수만 시험에 나온대요)

INT 정수형

NUMERIC (= DECIMAL)

FLOAT 부동소수점값

DATETIME 8바이트 날짜와 시간

CHAR 8000자이하의 문자

VARCHAR

4. 사용자 정의 자료형

- 한컬럼에 대한 데이터 유형을 쉽게 사용하려할 때 적용

5. SELECT에서 자료형 바꾸기

- as 를 사용하여 컬럼이름을 바꿀수있다.

- CONVERT : 주어진자료형을 원하는 자료형으로 바꿈

- SUBSTRING : 문자자료형에 대한 길이만 줄여줌

6. 날짜에 대한 함수(이건 너무많아요~책참조)

- 함수

GETDATE () 현재날짜와 시간

DATEADD : datepart 부분에 number값을 더한다

DATEDIFF : 두날짜 사이의 datepart값

- 유형

ANSI yy.mm.dd

USA mm/dd/yy or mm-dd-yy

Japan yy/mm/dd

- datepart

7. 시스템함수(책에 나왔던 함수만 시험에 나온대요)

- ISNULL

- PARSENAME

8. NULL

- ANSI설정에서 널값에 대해 비교할 때 = 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반드시 IS NULL 또는 IS NOT NULL을 사용해야 한다.

9. 문자열/LIKE와 패턴 매칭

- _ : 문자가 와야 한다.

- % : 어떤것이라도 상관없다.

- []: []안에 있는 글자들

- [^]: ^다음에 있는 글자는 제외한 다른것이 와야한다.

10. WHERE 절을 사용할 때 고려 할 것

- *를 사용하지 말라.(작업의 용의를 위하여)

- 연산자 앞에는 컬럼만 오도록 하자(WHERE절에 사용하는 컬럼은 무조건 연산자 왼쪽에 두고 더 이상의 가공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NOT을 사용하지 말자는 것과 같다)

- 적절한 ()와 띄어쓰기

---------------------------------------------------------------

<3장 복습문제>

문제) 널값을 계산함수들에서 사용될 때 어떻게 처리되는가? 이때 어떤 경고 메시지가 나타나는가?

답) 널값은 계산함수에서 제외. ANSI WARNING이 설정되었을 때는 경고 메시지가 나타난다.

문제) 다음문장은 무슨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SELECT 'TODAY IS' + GETDATE ()

정답) 자료형이 맞지 않다

SELECT 'TODAY IS' + CONVERT(VARCHAR(30),GETDATE (),102)

문제) float와 real을 사용하여 부동 소수점 데이터를 처리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답) float와 real은 한계 범위를 넘어가면 부정확한 연산을 한다. decimal 이나 numeric을 사용한다.

문제) WHERE절을 사용할 때 고려할 점은?

답)

1) *를 SELECT문에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2)컬럼이 나온 후에는 바로 연산자가 나오도록 한다

3)적절한 띄어쓰기, ()등을 사용한다.

---------------------------------------------------------------

<4장>

1. 정규화3가지

- 제 1정규화

- 제 2정규화

- 제 3정규화

- 비정규화

---------------------------------------------------------------<5장>

1. 연산함수

- AVG : 각각의 평균값

- COUNT : 각각의 개수

- COUNT (*): 선택된 모든행의 개수

- MAX : 최대값

- MIN : 최소값

- SUM : 각각의 합계

2. ISNULL - NULL 값을 다른값으로 바꾸기

3. GROUP BY / HAVING - 직계함수가 나오면 사용

- GROUP BY : 지정된 컬럼에 대한 그룹지정

- HAVING : 그룹함수에 걸어주는 조건(WHERE와 같은 기능이지만, 반드시 GROUP BY에는 HAVING를 사용해야 함)

4. COMPUTE / COMPUTE BY

ex) select type,title_id, price

from titles

order by type

compute avg(price) by type

= type에 의거해 가격의 평균을 구하고, type로 정렬해서 세부내역을 보여달라.

※ compute by 와 order by의 정렬순서가 만드시 같아야 함.

5. ROLLUP 과 CUBE

- GROUP BY 하단에 WITH ROLLUP(컬럼안에 자료를 그룹으로 묶어서 결과처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결과돌출)

- CUBE 는 ROLLUP 처리후 그 바로밑에 컬럼의 기준을 바꾸어 한번더 자료를 보여줌)

6. JOIN (정규화로 나누어진 테이블 혹은 컬럼을 다시 모음)

- INNER JOIN : 교집합과 같은 내용

- CROSS JOIN : 모든 자료를 곱한 결과

- OUTER JOIN : 기준에 맞추어(오른쪽,왼쪽)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불러옴(기준은 그대로 존재하고 상대TABLE은 조건데이터만 불러옴, 조건에 맞지 않으면 모두 NULL값으로 나옴)

- SELF JOIN : 스스로의 자료를 조건에 맞게 불러오기 위해서 자기를 복사해서 자료를 돌출하되, 조건문에서 WHERE과 AND를 사용하여 중복되는것은 빼고 불러온다(<,>사용)

※ JOIN의 경우에는 ANSI문법을 그대로 사용할것을 권장함. bug의 주요 요인이 될수있음.

7. 하위질의(=부질의=subquery)

- select안에 또다시 select가 존재함. 안쪽 질의의 결과에 의해 수행됨.

- 하위질의(안쪽)질의만 수행해도 결과가 수행된다.

8. 상관하위질의(Correlated subquery)

- 상위질의에서 선택된 행이 안쪽 질의의 WHERE 절에 다시 참조됨.(바깥-안쪽-바깥)

9. IN / EXISTS

- ex) where title_id in(select title_id from sales)

= sales에서 title_id를 보여달라. 그리고 그 결과를 다시 title_id에 넣어서 보여달라.(괄호안의 항목과 일치하는 것이 있어야 참이 됨)

- DISTINCT : 내용이 중복된 것은 삭제

- ex) where exist(select * from titles .....)

= 괄호안에 어떤 것이든 결과만 돌려지만 참이 된다.

10. SELECT INTO

- 현재있는 테이블의 내용 전체나 일부를 선택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 때 사용.

- 새로만들기 : ex) select * into sales_temp from sales

= sales로부터 sales_temp 테이블만듬.

- 삭제하기 : ex) drop table sales_temp

- ex) select * into #sales from sales(임시테이블)

ex) select * into ##sales from sales(프로그램닫을때까지만의 임시테이블)

11. UNION

- JOIN은 정규화된 테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반면,

UNION은 비정규화된 테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함.(자료형과 순서등이 맞으면 내용이 맞지않게 그냥 불러옴)

---------------------------------------------------------------

<5장 복습문제>

문제) JOIN을 걸면 데이터는 정렬되는가?

답) 정렬되지 않을수도 있다.정렬하려면 ORDER BY를 사용해야한다.

문제) 하위질의와 상관하위 질의의 차이는 무엇인가?

답) 하위질의-괄호안의 질의를 따로 실행시키면 수행되지만, 성관관계가 있는 하위질의는 그 자체만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상관관계있는 하위질의는 바깥(OUTER)질의의 결과가 안쪽(INNER)질의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그결과를 바깥질의에 돌려주기 때문이다.

문제) 같은 테이블을 둘로 나누었을 때(수평적으로)이를 연결시키는 문장은 무엇인가?

답) UNION

문제) 하위질의와 JOIN으로 모두 원하는 자료 처리 가능한 경우는 어느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은가?

답) 하위질의보다 JOIN일 일반적으로 더 빠른 처리를 한다.

---------------------------------------------------------------

<6장>

1. 데이터베이스 개체 이름 붙이기

- 형식 :

server_name.datebase_name.owner_name.object_name

(소유자이름,테이블이름)

2. 테이블만들기

- ex) create table tempdb.dbo.emp1(id int,name char(10)

- ex) create table tempdb.dbo.emp1

(id int not null,name char(10) null)

= 널값허용여부지정하기

3. 테이블 수정하기

- 새로운컬럼추가

= 형식) alter table 내테이블

add 새컬럼 varchar(20) null

- 컬럼변경하기

= 형식) alter table 내테이블

alter column 새컬럼 varchar(40) null

- 컬럼삭제하기

= 형식) alter table 내테이블

drop column 새컬럼

- 테이블삭제하기

= 형식) drop table table_name

- 기본키설정하기

ex) create table pk_test (in int primary key)새테이블

ex) create table pk_test (in int not null)

go alter table a add

constraint pk_id primary key (id) 기존테이블

---------------------------------------------------------------

<6장 복습문제>

문제) 이미 데이터가 들어있는 테이블에 널을 허용하지 않는 새로운 컬럼을 추가할 수있는가? 어떻게 해야하나?

답) 할수있다. 디폴트 값을 설정하면 된다.

문제) 한글 테이블명/컬럼명을 사용해도 되는가?

답) 된다.

문제) 설치 할 때 사용한 자료 정렬은 모든 테이블을 만들때 다시는 병경할 수 없다(참,거짓)

답) 거짓, COLLATE을 사용하여 테이블을 만들때 변경할 수 있다.

문제) 데이터베이스 개체의 완전한 이름을 붙이는 규칙은 어떻게 되는가?

답) 서비이름, 데이터베이스이름, 소유자,개체이름이다.

문제) EM에서 만든 테이블의 스크립트는 어떻게 만들어 내는가?

답) EM/해당테이블/모든작업/SQL스크립트 생성으로 할 수 있다.

---------------------------------------------------------------

<7장>

1. INSERT

- 형식) INSERT 테이블

VALUES 컬럼에 들어갈 값

2. IDENTITY 와 DEFAULT

- IDENTITY :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자동 들어가지는 값

- TIMESTAMP : 입력된 시간이 서버에 도장처럼 찍혀져있다.

3. INSERT...SELECT : SELECT...INTO

- 이미 존재하는 테이블에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어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때 사용.

4. DELETE

- 형식) DELETE 테이블명

5. 트랜잭션에 대한 기초개념

- 지운값을 다시 되돌릴때 사용

- ROLLBACK :되돌리기(취소)

- COMMIT : 그대로 저장

※ COMMIT 한후에 ROLLBACK는 안된다.

6. TRUNCATE TABLE

- 우리가 보이는 데이터는 똑같고, 대신 주소값만 삭제됨

7. UPDATE

8. 한UPDATE문은 같은 데이터를 두 번이상 UPDATE할 수없다.

---------------------------------------------------------------

<7장 복습문제>

문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값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속성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답) IDENTITY속성을 사용한다.

문제) 변경시킨 데이터를 되돌릴 수있는가?

답) 트랜잭션을 사용하면 된다. BEGIN TRAN / COMMIT TRAN을 사용.

문제) 이미존재하는 테이블에 다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려면 어떤 문장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답) INSERT...SELECT를 사용한다.

문제) DELETE 과 TRUNCATE TABL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답) DELETE은 WHERE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를 모두 로그에 기록하며 지우는데 비해, TRUN-CATE TABLE은 데이터를 모두 지우며(WHERE)절을 사용할 수 없다), 실제 행들을 하나씩 지우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지우기 때문에 빠르다.

---------------------------------------------------------------

<8장>

1. 데이터 무결성 3가지

영역무결성(entity) : 다른영역은 들어갈 수없다.

실체무결성(domain) : 나는유일하다. 둘이면 하나는 귀신~

참조무결성(referential) : 참조당하는것은 바뀔수없다.

2. 절차적방법/서술적방법

절차적 : 먼저정의하고, 다시 바인드하는 식으로 절차를 거쳐 정의하고 사용한다. 재활용 가능

서술적 : 테이블을 서술할 때 함께 서술됨. 재활용이 불가능하지만 문서화를 하기에 매우 쉽고, 읽기 좋다.

3. 컬럼에 대한 세가지 속성

NOT NULL(NN) 널을 허락하지 않음.NOT NULL, PR KEY

NO Duplicate(ND) 중복된값을 허락하지 않음.UNIQUE, PR KEY

NI Change(NC) 값의 변경을 허락하지 않는다.

(FOREIGN KEY로 참조당할 때)

4. NULL (P240 참조)

5. 고유제약(UNIQUE)

6. IDENTITY(P246 참조)

7. DEFAULT제약과 절차적 방법의 DEFAULT(247)

8. RULE과 CHECK 제약

9. 참조키

10. 제약중지시키기/기존 데이터 검사하지 않기

(Disable/Defer)

11. 무결성 강화 객체들을 사용할 때 고려할 사항

(256그림중요)

---------------------------------------------------------------

<8장 복습문제>

문제) 무결성을 강화시켜주는 구성 요소들을 나열해 보라

답) 자료형, 사용자정의 자료형,스토어드 프로시저,색인

제약(기본키,참조키,UNIQUE, DEFAULT),RULE,DEFAULT,트리거

문제) 기본키는 NN, ND, NC중에서 어떤것들을 지켜주는가?

답) NN, ND

문제) 참조키는 NN, ND, NC중에서 어떤것들을 지켜주는가?

답) NC

문제) 기본키와 유일 제약의 차이는 무엇인가?

답) 널값의 허용여부

문제) 7.0이후 널 값을 사용할 때 왜 주의해야 하는가?

답) ANSI92규정을 지키고자 변경된 것들이 많다.

예를 들어 널 + 문자는 널이다.

문제) 참조 키를 만들면 색인이 만들어 지는가?

답) 색인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소개

David Chappell
Chappell & Associates

2006년 9월

적용 대상:
Windows Vista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Microsoft .NET Framework 3.0

요약: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의 기본적인 목표는 개발자가 세련되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WPT 통합 플랫폼을 사용하여 디자이너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작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법과 독립 실행형 응용 프로그램 및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공통적인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목차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설명
문제점 예시
문제점 해결: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의 기능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사용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의 기술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적용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도구
개발자용: Visual Studio
디자이너용: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및 기타 Microsoft 기술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Windows Forms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Win32/MFC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Direct3D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AJAX/"Atlas"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WPF/E"
결론
저자 소개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설명

기본적으로 기술은 주로 전문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전문가들은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 방식보다는 응용 프로그램의 작동 방식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가집니다. 그러나 응용 프로그램을 구입하는 실제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는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체적인 사용자 환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사용자에게 이러한 환경은 응용 프로그램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더 나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향상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면 생산성을 높이고 우수 고객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웹 사이트에서의 매출을 늘리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문자 기반 인터페이스만으로 충분했지만 오늘날의 사용자들은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졌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 사항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래픽과 미디어가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웹의 발전은 소프트웨어와의 편리한 상호 작용을 기대하는 사용자 계층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는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렇듯 점점 높아지는 인터페이스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기술도 함께 발전해야 합니다.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의 목표는 Windows에 바로 이러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Microsoft .NET Framework 버전 3.0에 포함된 WPF를 사용하면 문서, 미디어,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 애니메이션, 웹 특성 등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WPF는 .NET Framework 3.0의 모든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Windows Vista, Windows XP 및 Windows Server 2003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Windows Vista와 함께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 백서에서는 WPF를 소개하고 WPF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며 이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점과 WPF가 제공하는 솔루션에 대해 살펴봅니다.

문제점 예시

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할 새 응용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새로 만들 응용 프로그램에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환자에 대한 이미지와 텍스트 표시
  • 심장 박동수, 혈압 등 환자의 활력 징후를 보여 주는 2차원 그래픽 표시 및 업데이트
  • 환자 정보에 대한 3차원 보기 및 오버레이 제공
  • 초음파 또는 기타 진단 비디오를 표시하고, 가능한 경우 의사나 간호사가 메모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병원 직원이 환자 및 환자 상태에 대한 기록을 읽고 메모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
  • 병원 직원이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Windows 응용 프로그램으로 실행되고 다른 위치에 있는 의사가 인터넷을 통해 제한적인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엄격한 보안이 유지되는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으로도 실행

이러한 요구 사항은 야심적이기는 하지만 충분히 실현 가능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업무상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앞에서 설명한 의료 응용 프로그램의 예에서는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생명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온라인 상점 또는 기타 고객 지향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일반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강력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면 회사의 서비스를 경쟁사의 서비스와 차별화하여 매출 증진은 물론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많은 수의 최신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래픽, 미디어, 문서 및 기타 최신 사용자 환경의 요소를 통합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2006년 현재의 기술로 Windows에 이러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도 있지만 이러한 작업은 다음과 같은 주요 장애 요인으로 인해 실현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 그래픽, 이미지 및 비디오로 작업하는 데 서로 다른 여러 기술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유능한 개발자를 찾는 것은 이러한 개발자가 만드는 응용 프로그램을 유지 관리하는 것만큼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 이러한 모든 기능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일은 도전적인 과제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기술만으로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전문 디자이너가 필요하지만 여기에서 설명한 모든 기능을 갖춘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공동으로 작업하는 데는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 모든 기능을 갖춘 인터페이스를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 버전과 브라우저에 호스팅되는 버전의 두 가지 형식으로 제공하려면 서로 다른 두 가지 분야의 기술을 사용하여 각 버전을 개별적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Windows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은 Windows Forms 및 기타 기본적인 Windows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하고 브라우저에 호스팅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HTML 및 JavaScript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두 분야의 기술을 갖춘 두 개의 개발자 그룹이 필요합니다.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작업을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공통적인 기반을 사용하면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개발자에게 단일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동시에 디자이너도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WPF의 목표이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 섹션에서 설명합니다.

문제점 해결: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의 기능

WPF가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특징은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 그리고 Windows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웹 브라우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공통의 기술입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특징에 대해 설명합니다.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

WPF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서 위 설명과 같은 Window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을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표에서는 필요한 기술을 간략하게 보여 줍니다.

Windows Forms PDF Windows Forms/
GDI+
Windows Media Player Direct3D WPF
그래픽 인터페이스(예: 폼 및 컨트롤) X X
화면에 표시되는 문서 X X
고정된 형식의 문서 X X
이미지 X X
비디오 및 오디오 X X
2차원 그래픽 X X
3차원 그래픽 X X

개발자가 폼, 컨트롤 및 기타 Windows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반적인 요소를 만들려면 대개 .NET Framework의 일부인 Windows Forms를 사용해야 합니다. 인터페이스에서 문서를 표시해야 할 경우 Windows Forms에서 부분적으로 지원되는 화면 표시 문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고정된 형식의 문서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Adobe의 PDF 형식이 적합합니다. 이미지와 2차원 그래픽을 표시하려는 경우 개발자는 Windows Forms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고유한 프로그래밍 모델인 GD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디오와 오디오 기능은 Windows Media Player를 통해 제공하고 3차원 그래픽 기능은 Windows 표준인 Direct3D를 통해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복잡한 작업은 단지 이론적인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이를 실제로 실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데 누구나 동의할 것입니다. 그러나 통합된 단일 솔루션인 WPF에서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WPF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자는 WPF 하나만으로 위에서 언급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즉, 이제는 여러 가지 독립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대신 하나의 일관된 기반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WPF가 이 표에 나와 있는 모든 기술을 대체하지는 않습니다.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은 여전히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며, WPF 환경에서도 일부 새 응용 프로그램에는 Windows Forms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WPF를 Windows Forms와 상호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설명합니다. Windows Media Player도 여전히 독자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이며 PDF 문서도 계속해서 사용될 것입니다. Direct3D 또한 게임이나 몇 가지 다른 유형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실제로 WPF에서도 Direct3D를 통해 모든 렌더링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WPF라는 단일 기술을 통해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면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훨씬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 화면에서는 이러한 통합된 접근 방식의 이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앞에서 설명한 WPF 기반 버전의 의료 응용 프로그램을 보여 줍니다.

그림 1. WPF 인터페이스에서는 이미지, 텍스트, 2D 그래픽, 3D 그래픽 등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비롯하여 2차원 그래픽 및 3차원 그래픽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인터페이스는 개발자가 GDI+ 또는 Direct3D와 같은 특수 그래픽 기술을 사용하는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WPF를 사용하여 생성되었습니다. WPF를 사용하면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초음파 진단 결과처럼 비디오를 표시하고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그림 2. WPF 인터페이스에는 비디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메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습니다.

WPF를 사용하면 읽기 편리한 방식으로 문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원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의사가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기록을 조회하거나 관련 항목에 대한 최근의 의학 연구 자료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의사는 메모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림 3. WPF 인터페이스에서는 메모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열이 있는 문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에서 문서는 가독성이 뛰어난 열 형식으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스크롤 방식이 아니라 문서를 한 페이지씩 이동할 수 있습니다. 화면을 보기 쉽게 표시하는 것도 WPF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화면에 표시되는 문서보다 고정된 형식의 문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도 있습니다. 고정된 형식의 문서는 화면에서 볼 때나 인쇄했을 때 모양이 동일하기 때문에 항상 일관된 모양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형식의 문서를 정의하기 위해 Microsoft는 XPS(XML Paper Specification)를 만들었습니다. WPF는 개발자가 XPS 문서를 만들고 작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그룹도 제공합니다.

그러나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은 독립적인 여러 기술을 단순히 통합하는 것이 아니라 최신 그래픽 카드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WPF는 시스템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에 가능한 한 많은 작업 로드를 분산시킴으로써 GPU를 최대한 활용합니다. 또한 최신 인터페이스는 비트맵 그래픽의 한계에 제약을 받지 않아야 하므로 WPF는 화면의 크기와 해상도에 맞게 이미지 크기가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벡터 그래픽 기술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작은 모니터와 대형 TV 화면에 표시할 그래픽을 개별적으로 만들지 않고 WPF를 통해 이러한 크기 조정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WPF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을 하나의 기반에 집약함으로써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개발자의 업무 부담을 크게 낮추어 줍니다. WPF를 사용하는 경우 개발자는 하나의 작업 환경만 파악하면 되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훨씬 저렴합니다. 또한 WPF를 사용하면 그래픽, 비디오 등의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Windows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개선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

모든 기능을 갖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통합된 기술 기반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개발자가 외부의 도움 없이 이러한 강력한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고 사용이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특히 앞에서 설명한 병원 사례와 같이 포괄적이고 유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전문가들이 갖추지 못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소프트웨어 전문가들이 많은 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단독으로 개발하고 있지만 최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터페이스 디자이너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개발자와 디자이너는 업무 진행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 분야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작업하는 데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디자이너는 그래픽 도구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에 표시할 화면 레이아웃의 정적 이미지를 만듭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이미지를 개발자에게 전달하고, 개발자는 해당 이미지를 구현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 그러나 디자이너는 만들기 쉽더라도 개발자는 구현하기 어렵거나 전혀 구현할 수 없는 이미지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는 기술적인 한계, 촉박한 일정, 기술 부족, 사소한 오해 또는 단순한 의견 차이로 인해 디자이너의 의도를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상의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두 분야의 전문가가 인터페이스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WPF는 이러한 공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XAML(eXtensi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을 사용합니다. XAML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양을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Button, TextBox, Label 등 여러 XML 요소의 집합을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XAML 요소는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특성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간단한 XAML 코드는 "아니요"라는 단어가 표시되는 빨간색 단추를 만듭니다.

<Button Background="Red">
 아니요
</Button>

각 XAML 요소는 WPF 클래스에 해당하고 요소의 각 특성은 클래스의 해당 속성이나 이벤트를 갖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C# 코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빨간색 단추를 만들 수 있습니다.

Button btn = new Button();
btn.Background = Brushes.Red;
btn.Content = "아니요";

XAML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코드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작성할 수 있다면 XAML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XML 기반의 설명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작성 도구를 사용하면 코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할 때보다 훨씬 쉽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XAML은 사용이 편리한 도구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때문에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더 효율적으로 함께 작업할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이러한 작업 과정을 보여 줍니다.

그림 4.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공동 작업을 돕는 XAML

디자이너는 Microsoft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양과 상호 작용 방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WPF 인터페이스의 모양과 느낌을 정의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을 XAML 표현으로 생성합니다. 예제로 사용된 간단한 단추만 포함하더라도 이 설명은 실제로 위에 나온 코드 조각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개발자는 이 XAML 설명을 Microsoft Visual Studio와 같은 도구로 가져옵니다. 이렇게 하면 디자이너가 만든 정적 이미지를 토대로 인터페이스를 처음부터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인터페이스 정의 자체를 그대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개발자는 이벤트 처리기와 같이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타 기능에 해당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전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스타일을 만들 수도 있으며, 이러한 스타일은 나중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함께 작업하면 디자이너가 만든 이미지를 토대로 개발자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변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두 분야의 전문가가 반복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고 효과적으로 의견을 교환하면서 동시에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환경 모두에서 동일한 빌드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두 개발 환경 간에 WPF 응용 프로그램을 주고 받을 수도 있습니다. 3차원 인터페이스 요소를 만들기 위한 Electric Rain의 ZAM 3D와 같이 XAML로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특수한 도구도 있습니다.

더 나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업무상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는 특히 WPF가 제공하는 다양한 환경의 경우 디자이너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XAML 및 XAML을 지원하는 도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디자이너의 작업을 돕는 것입니다.

Windows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웹 브라우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공통의 기술

Windows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할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웹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할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합니다.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브라우저에 전달되는 모든 HTML을 브라우저가 수동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응답 성능이 더 뛰어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에서는 대개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를 사용하여 JavaScript로 실행되는 논리를 제공합니다. Adobe Flash Player 또는 몇 가지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을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기능이 다양한 인터페이스 유형을 제공하는 웹 소프트웨어를 '다기능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이라고도 합니다. 이 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환경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웹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상당한 비즈니스 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Windows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개발자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작업, 즉 Windows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작업 또는 웹 인터페이스 개발하는 작업 중 하나에 초점을 두고 작업해야 합니다. 그러나 Windows에서 액세스할 다기능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이러한 양분된 방식으로 작업할 필요는 없으며 기본적인 Windows 인터페이스와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모두에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지 못할 이유도 없습니다.

WPF를 사용하면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Windows 인터페이스와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모두를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개발자는 WPF를 사용하여 Internet Explorer에서 실행되는 XBAP(XAML Browser Application)를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여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과 XBAP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화면에서는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는 재무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보여 줍니다. 앞에서 설명한 병원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이 응용 프로그램도 텍스트, 이미지 및 다양한 종류의 그래픽을 함께 사용합니다. 이 화면에서는 시계 등의 가젯 및 응용 프로그램 창 주위에 반투명 테두리를 사용하는 Aero 테마가 적용된 Windows Vista 바탕 화면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림 5. 재무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에서는 이 인터페이스를 Internet Explorer에서 XBAP로 실행할 때의 모양을 보여 줍니다.

그림 6.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을 XBAP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가 자체 창에서 실행되는 대신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는 점만 다를 뿐 모든 기능은 동일합니다. 두 경우 모두에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면 두 가지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개별적으로 만드는 데 소요되는 것보다 작업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동일한 코드를 사용한다는 것은 동일한 개발자를 투입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WPF를 사용하면 개발자를 Windows 인터페이스 개발자 또는 웹 인터페이스 개발자라는 분리된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필요 없이 하나의 개발 리소스를 두 작업 모두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Windows 인터페이스와 웹 인터페이스를 만들면 응용 프로그램 작성자가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유형을 미리 결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또 하나의 장점이 있습니다. 즉, 대상 클라이언트가 XBAP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만 하면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거의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여 Windows 인터페이스나 웹 인터페이스 또는 두 가지 인터페이스 모두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XBAP는 필요할 때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되기 때문에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에 비해 더욱 엄격한 보안 요구 사항이 적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XBAP는 .NET Framework의 코드 액세스 보안에서 제공하는 보안 샌드박스(Security Sandbox)에서 실행됩니다. 또한 XBAP는 WPF가 설치되어 있는 Windows 시스템에서 Internet Explorer 버전 6 및 7에서만 실행됩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이 충족되면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과 동일한 기반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사용

WPF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점만 알고 있어도 도움이 되지만 WPF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이해한다면 더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섹션에서는 WPF 기술 자체를 자세하게 살펴본 후 Windows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 XBAP 및 XPS 문서에 WPF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의 기술

WPF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통합된 기반을 제공하지만 WPF에 포함된 기술을 문서, 이미지,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개별 단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개별 단위는 다음에 설명할 WPF의 기본 응용 프로그램 모델에 의존합니다.

응용 프로그램 모델

.NET Framework의 다른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WPF의 기능은 System.Windows 네임스페이스에 포함된 네임스페이스 그룹으로 나뉩니다. 모든 WPF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는 어느 기능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합니다.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이나 XBAP에 관계없이 XAML 페이지 집합과 이들 페이지에 연결된 코드로 구성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응용 프로그램은 WPF의 표준 Application 클래스에서 상속됩니다. 이 클래스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전체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상태를 유지하는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Run,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Shutdown 등의 표준 메서드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Application 개체는 Application 요소를 통해 XAML을 사용하여 만들거나 Application 클래스를 통해 코드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사실상 WPF의 모든 요소에 적용되지만 이 문서에서는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XAML을 사용하는 방식만을 소개할 것입니다. 다음은 간단한 XAML을 보여 줍니다.

<Application xmlns=   
    "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StartupUri="Page1.xaml"
     x:Class="Example.SimpleApp">
. . . 
</Application>

이 정의에서는 먼저 WPF 네임스페이스를 이 요소의 기본값으로 지정한 다음 XAML 네임스페이스의 접두사를 정의합니다. XAML은 WPF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 두 네임스페이스는 서로 다릅니다. 다음으로 StartupUri 특성을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했을 때 로드하고 표시할 XAML 페이지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마지막 특성인 Class는 이 Application과 관련된 코드가 들어 있는 클래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일반적으로 WPF 응용 프로그램에는 C# 또는 Visual Basic으로 작성된 코드와 XAML이 모두 들어 있으므로 이 클래스의 코드는 '코드 숨김' 파일에 저장됩니다. 여는 Application 태그 다음에는 이 응용 프로그램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나머지 XAML이 위치하고(여기에서는 생략됨), 마지막으로 Application 요소의 닫는 태그가 위치합니다.

모든 WPF 응용 프로그램은 동일한 루트 클래스에서 파생되지만 개발자는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옵션은 응용 프로그램에 일반적인 대화 상자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지 아니면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대화 상자 형식의 인터페이스는 Windows 사용자라면 누구나 익숙한 단추 및 기타 요소를 제공합니다. 반면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는 브라우저와 동작 방식이 거의 유사합니다. 예를 들어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대화 상자가 새 창에서 열리는 대신 새 페이지가 로드됩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페이지 그룹으로 구현되며, 각 페이지는 XAML에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된 논리로 구성됩니다. HTML로 정의된 브라우저 페이지와 마찬가지로 XAML은 페이지를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Hyperlink 요소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웹 기반 응용 프로그램의 페이지를 탐색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 목록을 통해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하면서 여러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이므로 혼동하지 말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XBAP에서 이러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자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어떤 인터페이스 스타일을 사용하든지 여부에 관계없이 응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창을 표시합니다. WPF는 창을 표시하기 위한 몇 가지 옵션을 제공합니다. 기본 Window 클래스에서는 창을 표시하고 숨기고 닫는 등의 기본적인 창 기능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NavigationWindow 클래스는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며 기본 Window 클래스에 탐색 기능이 추가됩니다. 추가적인 탐색 기능으로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새 페이지로 이동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Navigate 메서드, 사용자의 탐색 기록을 저장하는 추적 정보 및 다양한 탐색 관련 이벤트가 있습니다.

레이아웃 및 컨트롤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패널'을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지정합니다. 각 패널에는 단추, 텍스트 상자 등의 '컨트롤' 및 다른 패널이 자식 요소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패널 종류마다 서로 다른 레이아웃 옵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DockPanel을 사용하면 자식 요소를 패널 가장자리에 도킹하여 배치할 수 있고, Grid를 사용하면 자식 요소를 눈금 위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개발자는 눈금의 행 및 열 개수를 정의한 다음 자식 요소를 배치할 정확한 위치를 지정해야 합니다. Canvas를 사용하면 패널 경계 내의 아무 곳에나 자식 요소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WPF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컨트롤 집합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는 사용자 지정 컨트롤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표준 컨트롤 집합에는 Button, Label, TextBox, ListBox, Menu, Slider 및 기타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가 포함됩니다. 또한 SpellCheck, PasswordBox, 잉크(예: Tablet PC)로 작업하는 데 필요한 컨트롤 등 보다 복잡한 컨트롤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마우스 이동 및 키 누르기 동작과 같이 사용자가 생성하는 이벤트를 컨트롤을 통해 포착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 및 기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XAML을 사용하여 완벽하게 지정할 수 있지만 이벤트는 코드에서 처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XAML에서는 Canvas에 간단한 Button을 정의합니다.

<Canvas xmlns=
   "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Class="Example.CodeForCanvas">
  <Button Click="Button_Click">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Button>
</Canvas>

여는 Canvas 태그는 일반적인 WPF 및 XAML 네임스페이스 정의로 시작됩니다. 다음으로 이 XAML과 관련된 코드를 .NET Framework 네임스페이스 Example에 들어 있는 CodeForCanvas 클래스에서 찾을 수 있음이 지정되고, 그 다음에 "여기를 클릭하십시오."라는 화면 표시 텍스트를 지정하는 Button이 정의됩니다. 여는 Button 태그의 Click 특성은 이 단추의 click 이벤트가 Button_Click이라는 메서드를 사용하여 처리됨을 나타냅니다. 다음은 이 메서드의 코드입니다.

namespace Example {
  public partial class CodeForCanvas : Canvas  {
    void Button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Button btn = e.Source as Button;
      btn.Background = Brushes.Purple; 
    }
  }
}

네임스페이스 및 클래스의 이름은 위의 Canvas 태그에 지정된 것과 일치합니다. CodeForCanvas 클래스는 WPF에서 제공하는 기본 Canvas 클래스에서 상속되며 partial 클래스로 정의됩니다. Partial 클래스는 .NET Framework 버전 2.0에 새로 추가된 요소로서 개별적으로 정의된 코드를 단일 클래스로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경우 XAML로 정의한 Canvas에서 생성되는 partial 클래스와 이 코드의 partial 클래스가 결합됩니다. 그 결과 단추가 포함된 캔버스를 표시하고 해당 단추의 이벤트도 처리할 수 있는 완전한 클래스가 생성됩니다.

이벤트를 처리하는 Button_Click 메서드는 CodeForCanvas 클래스 안에 선언됩니다. 이 메서드는 일반적인 .NET Framework 규칙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지만 이벤트의 인수는 WPF로 정의된 RoutedEventArgs 클래스를 사용하여 전달됩니다. 이 클래스의 Source 속성은 이벤트를 생성한 Button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며 메서드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단추의 색을 보라색으로 변경합니다.

이러한 간단한 예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WPF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는 시각적 트리 형식으로 구성됩니다. 이 예제에서는 트리가 Canvas와 유일한 자식 요소인 Button으로 구성되지만 실제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으로 트리가 훨씬 더 복잡해집니다. 화면 표시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만들려면 이 시각적 트리를 렌더링해야 합니다. WPF는 가능한 한 하드웨어 렌더링을 사용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그래픽 카드를 통해 작업을 처리합니다. 그러나 컴퓨터의 그래픽 하드웨어로 작업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 WPF는 자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합니다. 이러한 결정은 런타임에 WPF에서 내리기 때문에 개발자는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렌더링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WPF는 항상 유지 모드 그래픽이라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응용 프로그램 작성자가 일반적으로 XAML과 코드를 조합하여 시각적 트리의 모양을 정의하면 WPF 자체에 이 트리의 정보가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창을 표시할 경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창 전체 또는 일부를 다시 그릴 필요 없이 WPF에서 이 작업을 자체적으로 처리합니다. 트리를 구성하는 요소는 화면에 픽셀로 저장되지 않고 개체로 저장되기 때문에 WPF는 이러한 유형의 렌더링을 처리하는 데 충분한 정보를 항상 유지합니다. 창과 창에 포함된 컨트롤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WPF는 자체적으로 모든 렌더링을 다시 수행할 수 있습니다. WPF는 선, 타원 등의 그래픽 형태를 파악하고 비트맵이 아니라 벡터 그래픽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충분한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크기로 인터페이스를 다시 만들 수 있습니다.

스타일 및 서식 파일

몇 가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모양을 한 번 정의한 다음 그 모양을 여러 번 다시 적용하면 편리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ML 페이지에서는 CSS(Cascading Style Sheet)를 사용하여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WPF에서는 '스타일'이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CSS 스타일시트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스타일을 정의하는 기능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일을 사용하면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작업 영역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가 인터페이스에 일관된 모양을 만들면 개발자는 이러한 세부 사항에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WPF 응용 프로그램 작성자는 XAML의 Style 요소를 사용하여 특정 항목의 모양에 대한 특징을 하나 이상 정의한 후 해당 스타일을 반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uttonStyle이라는 스타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Style x:Key="ButtonStyle">
  <Setter Property="Control.Background" Value="Red"/>
  <Setter Property="Control.FontSize" Value="16"/>
</Style>

이 스타일을 사용하여 정의하는 모든 단추에는 빨간색 배경이 사용되고 글꼴 크기가 16으로 지정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Button Style="{StaticResource ButtonStyle}">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Button>

이 예제에 나와 있는 "StaticResource"의 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WPF 스타일은 리소스로 정의됩니다. 리소스는 응용 프로그램 코드와는 별도로 정의되는 데이터입니다.

스타일은 이 예제에서 설명한 것보다 훨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스타일에서 스타일을 파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원래의 설정을 상속하거나 필요에 따라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을 사용하면 대화형 동작의 일반적인 측면을 지정하는 '트리거'를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로 단추를 가리키면 단추 배경이 노란색으로 바뀌도록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WPF는 '서식 파일' 기능도 지원합니다. 서식 파일은 스타일과 유사하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데이터 서식 파일: XAML의 DataTemplate 요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한 특성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서식 파일에 색, 정렬 방식 등의 특성을 정의한 후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컨트롤 서식 파일: XAML의 ControlTemplate 요소를 사용하여 컨트롤의 모양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모양을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면 응용 프로그램 작성자가 작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PF에서는 기본적으로 스타일과 서식 파일을 통해 인터페이스 모양을 보다 쉽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대부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텍스트가 표시되고, 다른 특성은 거의 없이 텍스트만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화면에서 텍스트를 읽는 것보다 인쇄된 페이지를 읽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사람들은 책이나 잡지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고품질의 문자 모양과 글자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읽을 때는 왠지 모르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사실입니다.

WPF는 인쇄된 페이지를 읽는 것처럼 화면 표시 텍스트도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이러한 차이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목표의 일환으로 WPF에서는 기존 글꼴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산업 표준의 OpenType 글꼴은 물론 최근에 정의된 ClearType 기술도 지원합니다. ClearType은 최신 모니터에서 각 픽셀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를 개별적으로 다듬는 기법인 하위 픽셀 위치 조정을 통해 텍스트를 보다 매끄럽게 표시하는 기술입니다. WPF는 또한 Glyphs 클래스를 통한 텍스트 렌더링 기능을 부분적으로 지원합니다. 이 클래스는 XPS 문서에서 문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설명합니다.

WPF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문자 그룹을 연결된 단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합자 방식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ffi"라는 문자 그룹은 일반적으로 인쇄 페이지에서는 이 세 문자가 들어 있는 연결된 단일 합자로 대체됩니다. 이 합자를 화면 표시 텍스트에 사용하면 사용자는 사용된 세부적인 기술은 눈치채지 못한 채 인쇄된 페이지를 보는 것처럼 텍스트를 편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문서

텍스트는 단추, 목록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여러 요소에 표시되므로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이는 것은 매우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텍스트는 문서에서와 같이 더 긴 단락 형식으로 표시되는 경우에 그 기능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화면 표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서가 표시되는 방법도 함께 개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WPF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문서, 즉 '고정' 문서와 '동적' 문서를 지원합니다.

고정 문서는 화면에서 렌더링할 때나 인쇄할 때의 모양이 동일합니다. 일부 양식, 법률 문서, 기타 출판물 유형 등 문서 모양을 항상 일관되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형식의 문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PF에서 지원하는 고정된 형식의 문서는 XPS로 정의됩니다. XP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설명합니다. 고정 문서의 내용은 XAML의 FixedDocument 요소를 사용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간단한 요소에는 PageContent 요소의 목록만 포함되고, 각 PageContent 요소에는 고정 문서에 포함된 각 페이지의 이름이 들어 있습니다. WPF에서는 DocumentViewer 컨트롤을 사용하여 고정 문서를 표시합니다. 이 컨트롤은 XPS 문서를 읽기 전용 모드로 표시하고, 사용자는 문서에서 뒤로 또는 앞으로 이동하거나 특정 텍스트를 검색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고정 문서가 화면과 인쇄 용지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서 유형이라면 동적 문서는 화면 표시 전용 문서입니다. 동적 문서는 문서 내용의 가독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창 크기와 기타 요인에 따라 텍스트와 그래픽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표시합니다. 고정 문서에 대한 설명을 통해 예상할 수 있듯이 동적 문서는 FlowDocument라는 XAML 요소를 사용하여 정의됩니다. 다음은 간단한 예제입니다.

  <FlowDocument 
    ColumnWidth="300" 
    IsColumnWidthFlexible="True" 
    IsHyphenationEnabled="True">
      <Paragraph FontSize="12">
       <Bold>WPF 설명</Bold>
      </Paragraph>
      <Paragraph FontSize="10">
       WPF는 .NET Framework 3.0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입니다. WPF는 문서,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 미디어 등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통합된 기반을 제공합니다. 또한 동일한 방법과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여 독립 실행형 Windows 응용 프로그램 및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Paragraph>
  </FlowDocument>

이 문서는 너비가 300이상인 열에 표시되도록 지정됩니다. 이때 너비는 각 픽셀이 1/96인치인 '장치 독립적 픽셀' 단위로 측정됩니다. 그러나 문서 작성자는 바로 다음 줄에 IsColumnWidthFlexible 속성을 true로 설정하여 이 너비를 변경 가능하도록 설정했습니다. 이 설정은 이 문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열의 개수와 너비를 WPF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이 문서가 표시되는 창의 너비를 사용자가 변경하면 WPF에서는 문서의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열의 개수와 너비를 적절하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 문서에서는 하이픈을 사용하도록 IsHyphenationEnabled 속성이 true로 설정되었습니다. 바로 아래에는 이 문서에 포함된 두 개의 단락이 나옵니다. 각 단락의 텍스트는 글꼴 크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두 개의 Paragraph 요소 안에 각각 들어 있고 첫 번째 단락의 텍스트는 굵게 표시되도록 설정되었습니다.

WPF에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FlowDocument 옵션을 추가적으로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IsOptimalParagraphEnabled 속성을 true로 설정하면 WPF는 단락 전체에서 공백을 가능한 한 균등하게 사용합니다. 이 속성을 사용하면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연속적인" 공백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인쇄된 문서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동적 문서에는 일반 텍스트나 잉크(Tablet PC에 해당)에 노트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메모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각 메모는 문서에서 메모가 연결되어 있는 내용을 식별하는 '앵커(anchor)'와 메모 내용 자체가 들어 있는 '카고(cargo)'로 구성됩니다.

WPF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컨트롤을 사용하여 FlowDocument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 FlowDocumentPageViewer: 문서에서 한 번에 한 페이지씩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컨트롤은 앞으로/뒤로 단추 및 문서 크기를 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확대/축소 컨트롤을 제공합니다.
  • FlowDocumentScrollViewer: 페이지 오른쪽에 있는 스크롤 막대를 사용하여 문서를 스크롤하는 일반적인 보기 형식으로 FlowDocument를 표시합니다.
  • FlowDocumentReader: FlowDocumentPageViewerFlowDocumentScrollViewer의 기능을 결합한 형식으로 문서를 표시합니다. 이 컨트롤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동적 문서의 페이지 단위 보기(두 페이지씩 보기 포함)와 스크롤 보기 사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되는 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화면 표시 가독성도 점차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WPF는 동적 문서를 통해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Windows 사용자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회사 로고, 노을 사진 등 이미지는 많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요소입니다. WPF에서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Image 컨트롤을 사용하여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JPEG 파일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은 XAM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age 
 Width="200" 
 Source="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Documents\
  My Pictures\Ava.jpg" />

이 예제에서는 이미지 너비를 200으로 설정합니다. 이 경우에도 장치 독립적 픽셀 단위가 사용됩니다. Source 특성은 이미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식별합니다.

이미지 파일에는 키워드, 사용자가 지정한 등급 등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가 들어 있으며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이 정보를 읽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회전하는 3차원 개체에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더 재미있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문서에 포함된 간단한 예제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이미지 사용 방법을 보여 주지만 WPF에서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보다 훨씬 다양합니다.

WPF의 Image 컨트롤은 JPEG, BMP, TIFF, GIF, PNG 등의 다양한 형식뿐만 아니라 Windows Vista에 새롭게 추가된 Microsoft Windows Media Photo(WMPhoto) 형식의 이미지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형식에 관계없이 WPF는 WIC(Windows Imaging Component)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WIC는 위에서 언급한 모든 이미지 형식에 대한 코더/디코더(일반적으로 '코덱'이라고 함)뿐만 아니라 타사 코덱을 추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도 제공합니다.

비디오 및 오디오

네트워크 및 프로세서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비디오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사용자들은 컴퓨터에서 음악이나 기타 오디오를 듣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WPF는 비디오 및 오디오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비디오 및 오디오 기능은 MediaElement 컨트롤을 통해 제공됩니다. 다음은 이 컨트롤을 사용하는 간단한 XAML 예제입니다.

<MediaElement 
 Source="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Documents\
  My Videos\Ruby.wmv" /> 

이 컨트롤은 WMV, MPEG 및 AVI 비디오와 다양한 형식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습니다.

2차원 그래픽

지난 20년 동안 Windows용 2차원 그래픽 작성자들은 GDI(Graphics Device Interface)와 그 후속 버전인 GDI+를 사용해왔습니다. 그러나 2차원 그래픽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통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별도의 네임스페이스를 통해 이 기능에 액세스해야 합니다. 3차원 그래픽의 경우에는 완전히 다른 기술인 Direct3D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 번거로웠습니다. 그러나 WPF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복잡한 작업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즉, 2차원 그래픽과 3차원 그래픽 모두를 XAML에서 직접 만들거나 WPF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프로시저 코드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에 사용되는 요소는 WPF의 다른 모든 요소와 마찬가지로 응용 프로그램의 시각적 트리의 일부입니다.

2D 그래픽의 경우 WPF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미지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모양' 그룹을 정의합니다

  • Line: 두 지점 사이에 직선을 그립니다.
  • Elllipse: 타원을 그립니다.
  • Rectangle: 사각형을 그립니다.
  • Polygon: 서로 연결된 직선의 그룹으로 정의되는 닫힌 모양을 그립니다.
  • Polyline: 서로 연결된 직선의 그룹으로 정의되는 열린 모양을 그립니다.
  • Path: 임의의 경로로 표시되는 모양을 그립니다. 열린 모양이나 닫힌 모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로에는 직선이나 곡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th를 사용하면 실제로 선, 타원, 사각형, 다각형, 다중선 등을 모두 그릴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모든 모양은 편의를 위해서만 제공됩니다.

이 클래스를 사용하면 간단한 그래픽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XAML은 빨간색 타원을 그립니다.

<Ellipse Width="30" Height="10" Fill="Red" />

모양을 채우려면 '브러시'를 사용합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기본값인 단색 브러시를 사용하지만 WPF에서는 몇 가지 다른 옵션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예제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는 색 그라데이션으로 채워진 사각형을 정의합니다.

<Rectangle Width="30" Height="10" 
 Fill="HorizontalGradient Red Yellow" />

이 외에도 이미지, 비트맵 등을 사용하여 그리는 브러시, 수직 그라데이션 및 방사형 그라데이션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다른 브러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지는 않지만 모양에 '펜'을 사용하여 윤곽선의 색, 너비 및 스타일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WPF에서는 모든 요소가 공통의 기반에서 구현되므로 서로 다른 요소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십시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Rectangle 안에 Image를 표시하고, Button 안에 Ellipse를 배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소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D 그래픽을 3D 그래픽 및 다른 인터페이스 요소에 결합하는 것 역시 매우 간단합니다.

WPF는 모양 외에도 2차원 그래픽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클래스 그룹도 제공합니다. '기하 도형'이라고 하는 이러한 클래스는 모양과 여러모로 비슷합니다. Line, Rectangle, EllipsePath 같은 옵션을 제공하는 모양과 마찬가지로 이 클래스도 LineGeometry, RectangleGeometry, EllipseGeometryPathGeometry 같은 옵션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모양은 실제 이미지를 그리는 데 사용되고 기하 도형은 주로 영역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이 이 두 클래스 간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 이미지를 원 안에 맞추기 위해 잘라야 할 경우 EllipseGeometry 클래스를 사용하여 원의 경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마우스 클릭이 감지된 영역과 같이 적중 테스트 영역을 정의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기하 도형을 지정하면 됩니다.

이 섹션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은 실제로 '시각적 레이어'라는 하위 수준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된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이 레이어를 직접 사용하여 그래픽, 이미지 및 텍스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고성능 그래픽을 만들 때와 같이 레이어를 직접 사용하는 방법이 유용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WPF가 제공하는 모양 및 다른 상위 수준의 추상화를 사용합니다.

3차원 그래픽

2차원 그래픽은 Windows 인터페이스의 일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WPF에서는 2차원 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제공합니다. 반면, 3차원 그래픽은 뛰어난 데이터 시각화, 3D 차트, 제품 렌더링 등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상당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2차원 그래픽만큼 일반화되지 않았습니다. 이전에는 3D로 작업하기 위해 주로 게임 개발자나 기타 전문 집단에서만 사용하는 고유한 기술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WPF는 3D 그래픽 기능을 표준 환경에 통합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WPF가 없는 경우 Windows 플랫폼에서는 Direct3D API를 사용하여 3D를 개발해야 합니다. WPF의 다른 요소와 마찬가지로 WPF의 3D 그래픽 기능은 기본적으로 Direct3D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개발자의 실제 작업 환경은 훨씬 단순해졌습니다.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WPF보다는 Direct3D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지만, Microsoft의 목표는 Windows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대부분의 3D 작업에 WPF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WPF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에 Viewport3D 컨트롤을 사용하여 3D 그래픽을 표시합니다. 이 컨트롤은 기본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나타내는 3차원 공간에 창을 제공합니다. Viewport3D 컨트롤은 WPF 인터페이스의 아무 곳에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3D 그래픽을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3D 그래픽을 만들 경우 개발자는 하나 이상의 '모델'을 정의한 다음, 이러한 모델에 적용할 조명과 보기 방식을 지정합니다. 이 경우에도 XAML이나 코드 또는 두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모든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WPF에서는 모델의 모양을 정의할 수 있는 GeometryModel3D 클래스를 사용하여 모델을 정의합니다. 모델을 정의한 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재질'을 사용하여 모델의 모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ecularMaterial 클래스는 표면에 광택 효과를 적용하지만 DiffuseMaterial 클래스는 이 효과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사용한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에 조명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DirectionalLight 클래스는 특정 방향의 광원을 제공하고 AmbientLight 클래스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델을 보는 방식을 정의하는 '카메라'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PerspectiveCamera를 사용하면 모델을 보는 거리와 원근감을 지정할 수 있고, OrthographicCamera를 사용하면 원근감만 제외하고 동일한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즉, 이 경우에는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개체도 더 작게 표시되지 않습니다.

XAML 또는 코드에서 직접 복잡한 3D 화면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3D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개발자는 그래픽 도구를 사용하여 필요한 정의를 생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표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3D 그래픽을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변환 및 효과

WPF에서는 개발자가 모양 및 기타 요소를 정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크기 변경 등의 작업을 통해 요소를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XAML에서는 RotateTransformScaleTransform 같은 요소를 사용하여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환은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변환 작업을 보여 주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Button>
  <Button Content="여기를 클릭하십시오.">
   <Button.RenderTransform>
    <RotateTransform Angle="45" />
   </Button.RenderTransform>
  </Button>

RotateTransform 요소는 단추를 45도 회전시킵니다. 이 방법으로 단추를 회전시키는 것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지만 이러한 기능이 있다는 것만으로 WPF 디자인의 다양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여러 요소는 동일한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습니다.

WPF는 몇 가지 미리 정의된 효과를 제공합니다. 변환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효과도 Buttons, ComboBoxes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요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미리 정의된 효과로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흐릿하게 표시하는 흐리게 효과, 요소를 빛나게 만드는 외부 글로우 효과, 인터페이스 요소 뒤에 그림자를 추가하는 그림자 효과 등이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의 요소를 움직이게 만드는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면 여러 가지로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단추를 클릭할 때 단추가 실제로 눌린 것처럼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면 훨씬 실감나는 인터페이스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이보다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끌거나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WPF의 애니메이션 기능은 이러한 모든 효과를 지원합니다.

변환과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을 단추, 모양, 이미지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요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은 시간 흐름에 따라 개체의 속성 중 하나 이상의 속성 값을 변경하여 만듭니다. 예를 들어 EllipseHeight 속성 값을 2초 동안 조금씩 줄이면 타원이 천천히 찌그러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서로 관련된 애니메이션 그룹을 정의하면 유용할 수 있습니다. WPF에서 제공하는 Storyboard 클래스를 사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각 Storyboard는 하나 이상의 '시간 표시 막대'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시간 표시 막대는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다양한 시간 표시 막대를 사용하면 애니메이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거나 병렬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Ellipse를 찌그러뜨리는 애니메이션을 보여 주는 간단한 XAML 예제입니다.

    <Ellipse Width="100" Height="50" Fill="Blue"
     Name="EllipseForSquashing">
     . . . 
     <Storyboard>
      <DoubleAnimation
       Storyboard.TargetName="EllipseForSquashing" 
       Storyboard.TargetProperty="Height"
        From="50" To="25" Duration="0:0:2" />
       </Storyboard>
       . . . 
    </Ellipse>      

앞에서 살펴본 예제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예제 역시 먼저 Ellipse를 정의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Name 속성도 함께 사용하여, 나중에 이 이름으로 Ellipse를 참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예제에는 몇 가지 세부 사항이 생략되었지만 XAML로 애니메이션을 정의하려면 Storyboard 요소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EllipseHeight 속성이 Double 형식이기 때문에 StoryboardDoubleAnimation 요소가 들어 있습니다. 이 요소는 애니메이션을 만들 Ellipse의 이름, 변경할 속성 및 변경할 내용을 지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Height의 값을 2초 동안 50에서 25로 변경합니다.

이 예제보다 훨씬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을 마우스 클릭 같은 이벤트를 통해 트리거하거나, 일시 중지했다가 다시 재생하거나, 지정한 횟수만큼(또는 계속) 반복하는 등 복잡한 애니메이션도 만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을 통해 개발자는 더 실감나고 사용하기 쉬우면서 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데이터 바인딩

대부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한 유형의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인터페이스 개발자는 데이터 바인딩을 통해 데이터를 더 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바인딩을 사용하면 WPF 컨트롤에 표시되는 요소를 해당 컨트롤 외부에 있는 데이터와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PF TextBox 컨트롤의 Text 속성 값을 이 응용 프로그램의 비즈니스 논리의 일부인 Employee 개체의 Name 속성에 바인딩할 수 있습니다. 두 속성 중 하나가 변경되면 바인딩된 다른 한 속성에 해당 변경 내용이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extBox에서 값을 변경하면 Employee 개체의 Name 속성에도 변경된 값이 적용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두 개체의 속성 간에 이러한 연결을 만들려면 WPF Binding 클래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러한 바인딩을 보여 주는 간단한 XAML 예제입니다.

<TextBox . . . >
 <TextBox.Text>
  <Binding Path="Name" />
 </TextBox.Text>
</TextBox>

이 예제에서는 Binding 요소의 Path 특성을 사용하여 TextBoxText 속성을 바인딩할 대상 속성을 식별합니다. Path는 이 속성이 속해 있는 개체(런타임에 지정됨)가 C# 또는 Visual Basic 등의 언어로 정의된 CLR(공용 언어 런타임) 개체인 경우에 사용됩니다. WPF의 데이터 바인딩 기능을 사용하면 CLR 개체는 물론 BindingXPath 속성을 사용하여 XML 데이터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 옵션은 지정한 데이터를 참조하는 XML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를 선택하는 XPath 쿼리를 만듭니다.

더 복잡한 데이터 바인딩 옵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목록 바인딩을 사용하면 표준 IEnum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CLR 개체를 통해 ListBox 컨트롤에 내용을 채울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표시하기 전에 필터링 또는 정렬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WPF에서는 ADO.NET Dataset에 바인딩할 수 있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에 직접 바인딩하는 기능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어떤 데이터 바인딩 옵션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데이터 바인딩은 최대한 간단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능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동화

WPF 인터페이스의 가장 일반적인 사용자는 당연히 사람입니다. 그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동하는 주체가 사람이 아니라 다른 소프트웨어인 경우도 있습니다. WPF의 UI(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동화를 사용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를 작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가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자동화된 스크립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개발자는 UI 자동화 기능이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의 액세스를 통해 사람이 실행하는 것처럼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는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UI 자동화는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요소를 음성으로 읽어 주는 도구와 같은 내게 필요한 옵션 도구를 만드는 데도 유용합니다. UI 자동화를 사용하면 이러한 요소가 들어 있는 트리에서 각 요소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하나씩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도구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WPF에서는 UI 자동화를 사용하기 위해 UI 자동화 트리를 만듭니다. 이 트리는 인터페이스의 각 요소를 나타내는 일련의 AutomationElement 개체로 구성됩니다. 이 트리의 루트는 Desktop이고, 열려 있는 각 응용 프로그램은 이 루트의 자식이 됩니다. 트리는 각 응용 프로그램으로 세분화되고 각 WPF 컨트롤은 AutomationElement 개체 하나로 표시되거나,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의 개체로 표시됩니다. 이 경우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모든 요소가 고유한 AutomationElement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단추가 여러 개 포함된 컨트롤에는 컨트롤 자체와 각각 고유한 AutomationElement 개체로 표시되는 단추가 모두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세분화된 UI 자동화 트리를 만들면 테스트 스크립트, 내게 필요한 옵션 도구 등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페이스의 각 구성 요소를 사람이 실제 사용하는 것처럼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UI 자동화가 WPF의 핵심적인 기능은 아니며 대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은 이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테스트 담당자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와 같이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능입니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기능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적용

WPF에는 방대한 양의 기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기술이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지만 가장 많이 적용되는 세 가지 영역으로는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 XBAP 및 XPS 문서가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이 세 가지 영역을 자세하게 살펴봅니다.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

WPF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독립 실행형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은 다른 일반적인 Windows 응용 프로그램처럼 실행되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독립 실행형 응용 프로그램에는 완전한 신뢰 수준이 부여되고 WPF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완전 신뢰란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WCF(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등의 다른 서비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다른 Windows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을 로컬 디스크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NET Framework의 기능인 ClickOnce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ClickOnce는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통해 Windows 응용 프로그램(WPF 응용 프로그램 포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업데이트가 릴리스될 때 이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해 주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XAML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 XBAP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이 대부분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모든 경우에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클라이언트를 Windows 응용 프로그램으로 실행하는 것보다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WPF는 이러한 클라이언트에서도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XBAP를 제공합니다.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XBAP는 Internet Explorer에서 실행됩니다. XBAP는 ASP.NET, JSP(JavaServer Pages) 및 기타 웹 기술을 사용하여 만든 웹 응용 프로그램의 클라이언트로 동작합니다. XBAP는 HTTP 또는 SOAP를 사용하여 이러한 웹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XBAP는 서버 플랫폼에 관계없이 항상 ClickOnce를 통해 로드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대화 상자나 메시지를 전혀 표시하지 않고 일반적인 웹 페이지처럼 로드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XBAP는 시작 메뉴나 프로그램 추가/제거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림 7. Internet Explorer에서 실행되는 XBAP

일반적으로 XBAP는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이는 선택 사항입니다. 탐색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존의 웹 클라이언트처럼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Internet Explorer 7에서는 XBAP가 브라우저의 기본 앞으로/뒤로 단추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XAML 페이지는 브라우저의 기록 목록에 나타납니다. 그러나 Internet Explorer 6에서는 XBAP가 자체적인 앞으로/뒤로 단추와 별도의 기록 목록을 사용합니다. XBAP는 현재의 실행 환경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개별 브라우저별로 버전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XBAP는 웹에서 로드되어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NET Framework의 코드 액세스 보안 기능이 부여하는 제한된 신뢰 수준에서만 실행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중 일부를 XBAP에서는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영역에서 배포된 XBAP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독립 실행형 창 만들기
  • 응용 프로그램에서 정의한 대화 상자 표시
  • XBAP 자체에서 시작한 저장 대화 상자 표시
  •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격리된 저장소 영역 이외의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 UI 자동화 클라이언트로 동작
  • WCF 사용. WCF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완전 신뢰 수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배포된 XBAP는 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에 ASMX라고 하는 ASP.NET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원래 로드된 위치의 웹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Forms,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또는 Win32 직접 호출을 통해 만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사용. 다음 섹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은 이러한 모든 이전 기술과 상호 운용될 수 있지만 신뢰 수준이 제한된 XBAP 환경에서는 여기에 나열된 기술 중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비관리 코드 사용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독립 실행형 WPF 응용 프로그램 및 XBAP 모두에 동일한 코드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개발자는 XBAP에서 사용할 수 없는 모든 기능을 ifdef에 래핑하여 조건부 컴파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XBAP 버전에서는 문서 표시,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 사용, 비디오와 오디오 재생 등 독립 실행형 응용 프로그램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BAP가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의 그래픽 하드웨어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Internet Explorer에는 XBAP뿐만 아니라 순수 XAML 페이지도 직접 표시할 수 있습니다. 'XAML 사용 완화'라고 하는 이러한 페이지는 브라우저에 정적 페이지를 표시할 때 유용합니다. 그러나 이벤트를 처리하려면 코드를 사용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XBAP를 만들어야 합니다.

개발자는 XBAP를 사용하여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에서 WPF 기능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XBAP를 사용하면 독립 실행형 응용 프로그램과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에 코드가 거의 유사한 공통적인 프로그래밍 모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클라이언트가 최신 Windows 플랫폼에서 실행되도록 디자인된 웹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XBAP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XPS 문서

XPS 문서는 WPF 환경에 사용되는 고정된 형식의 문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WPF는 DocumentViewer 컨트롤을 사용하여 XPS 문서를 표시합니다. 이 컨트롤을 WPF에 포함해야 하는 이유는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XPS 자체를 WPF의 일부로 간주해야 하는 이유는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XPS 사양에는 고정된 형식의 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상당히 구체적인 방법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 WPF의 다른 모든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할 때 사용 범위가 더 넓은 XPS를 WPF라는 틀 안에 포함하는 것에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XPS를 WPF의 일부로 보는 한 가지 중요한 이유는 XPS 문서가 XAML을 사용하여 정의된다는 점입니다. 레이아웃을 지정하는 Canvas 요소, 텍스트를 나타내는 Glyphs 요소, 2차원 그래픽을 만드는 Path 요소 등을 포함하여 XAML의 일부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지만 사실상 모든 XPS 문서는 XAML 문서입니다. 이 점을 고려하면 XPS를 WPF의 일부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화면 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XPS가 제공하는 핵심적인 기능과는 여전히 거리가 멉니다. Windows Vista부터는 XPS가 Windows의 기본 인쇄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XPS는 페이지 설명 언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XPS를 지원하는 프린터에서 XPS 문서를 직접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면 작업에서 프린터 작업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XAML이라는 단일 설명 형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XPS는 Windows에서 사용하던 기존의 GDI 기반 인쇄 방식을 향상시키므로 투명도 및 그라데이션과 같은 고급 그래픽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습니다.

XPS 문서에는 XAML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식의 이미지(JPEG, PNG, TIFF 및 WMPhoto), 글꼴 데이터, 문서 구조에 대한 정보 등의 이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W3C XML 서명 정의 및 X.509 인증서를 사용하여 XPS 문서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XSP 문서는 어떤 정보를 포함하는지에 관계없이 OPC(Open Packaging Convention)에서 정의하는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OPC는 XPS나 XAML 문서뿐만 아니라 XML 문서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간의 관계 및 이들 요소가 표준 ZIP 형식으로 저장되는 방법 등을 지정합니다. Microsoft Office 2007에서는 XML 형식에도 OPC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형식의 문서 간에는 어느 정도의 공통점이 존재합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WPF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는 WPF DocumentViewer 컨트롤을 통해 XPS 문서를 볼 수 있습니다. Microsoft에서는 다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DocumentViewer 컨트롤을 기반으로 하는 XPS 뷰어 응용 프로그램도 제공합니다. 이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컨트롤과 마찬가지로 문서에서 한 페이지씩 이동하고, 텍스트를 검색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XPS 문서는 사용 범위가 Windows로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Microsoft에서는 Apple Macintosh 같은 다른 플랫폼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XPS 뷰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그림 8. XPS 뷰어를 사용하면 XPS 문서를 한 번에 한 페이지씩 읽을 수 있습니다.

WPF는 개발자가 XPS 문서를 만들고 로드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API 집합을 제공합니다.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OPC 수준의 문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된 방식으로 XPS 문서, Office 2007 문서 등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Windows Workflow Foundation을 사용하여 만든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이러한 API를 통해 XPS 문서를 사용하는 워크플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WPF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고정된 형식의 문서를 표시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를 WPF가 지향하는 일관된 환경에 통합합니다. Windows Vista에서는 이와 동일한 형식으로 문서를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과 인쇄된 용지에 표시되는 내용 간의 일관성이 향상됩니다. XSP 문서 형식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아닐 수도 있지만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XPS를 통해 WPF 기술이 얼마나 포괄적으로 사용되는지 그 범위를 단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도구

WPF는 개발자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무리 강력한 기술도 유용한 도구가 없다면 효용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Microsoft에서는 WPF를 사용하는 개발자와 디자이너에 각각 맞추어 최적화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이 두 가지 도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개발자용: Visual Studio

Visual Studio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Microsoft의 주력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WPF의 최초 릴리스에는 개발자가 WPF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Visual Studio 2005 확장 기능이 함께 제공될 예정입니다. Visual Studio의 다음 릴리스(코드 이름: "Orcas")에는 Visual Designer for WPF(코드 이름: "Cider") 등의 다른 기능도 추가될 것입니다. 개발자는 이 비주얼 도구를 사용하여 WPF 인터페이스를 그래픽 방식으로 만든 후 기본적인 XAML을 자동으로 생성시킬 수 있습니다. 공식 릴리스 날짜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Orcas는 2007년 중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디자이너용: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WPF의 기본적인 목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작업에 디자이너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목표는 XAML을 통해 실현할 수 있지만 새 작업 환경에서 디자이너가 작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Microsoft에서는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를 만들었습니다.

아래의 스크린 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가장 일반적인 디자인 도구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Designer는 WPF 응용 프로그램용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만 초점을 두어 설계되었습니다. 실제로 이 도구의 인터페이스도 WPF를 사용하여 만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표시되는 WPF 컨트롤 목록과 맨 아래의 그래픽 시간 표시 막대가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모든 특징은 이 문서의 앞부분에서 설명한 WPF 기능을 그대로 구현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애니메이션은 물론 변환, 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을 그래픽 방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의 작업 결과는 자동으로 생성되는 XAML 파일 형식으로 저장되어 나중에 Visual Studio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림 9. 디자이너는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에서 WPF 인터페이스(그림 8)를 만들 수 있습니다.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는 Microsoft Expression 제품군의 세 가지 제품 중 하나입니다. 나머지 두 제품은 표준 기반 웹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도구인 Expression Web Designer와 벡터 및/또는 비트맵 이미지를 만드는 도구인 Expression Graphic Designer입니다. 이 세 가지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 Expression Interactive Designer만 WPF 응용 프로그램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만 초점을 두어 설계되었습니다. Expression Graphic Designer에서 인터페이스의 GIF 이미지를 만드는 것처럼 나머지 두 제품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를 만들 수도 있지만 이 둘은 WPF 전용 도구가 아닙니다. 날짜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모든 Expression 도구는 WPF의 릴리스 이후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및 기타 Microsoft 기술

대부분의 Microsoft 신기술과 마찬가지로 WPF는 Windows 작업 환경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WPF 기술이 다른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전에 알아야 할 것은 시스템에 WPF를 설치해도 Windows Forms, MFC 등과 같이 기존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즉 .NET Framework 3.0을 지원하는 시스템용으로 작성하는 새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WPF를 사용하여 만들지만 이전 기술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계속 실행할 수 있습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Windows Forms

.NET Framework의 최초 릴리스 이후 Windows Forms는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WPF가 릴리스된 이후에도 일부 응용 프로그램에는 Windows Forms가 계속 사용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전 버전의 Windows와 같이 WPF를 사용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 실행해야 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Windows Forms를 사용하여 만들게 됩니다. Windows Forms가 제공하는 광범위한 컨트롤 집합을 사용하려는 경우와 같이 새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필요에 따라 WPF 대신 Windows Forms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WPF를 사용하여 만든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Windows Forms의 기능 중 일부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Forms는 WPF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컨트롤 집합을 제공합니다. .NET Framework 버전 2.0에 포함된 DataGridView 컨트롤의 경우 WPF에는 이 컨트롤을 대체할 수 있는 컨트롤이 없으며, 타사에서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 만든 Windows Forms 컨트롤도 상당히 많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WPF 응용 프로그램에 이러한 기존 컨트롤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WPF에도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 Windows Forms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많은 기능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기존의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에 WPF의 기능을 통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상호 보완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즉,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dows Forms 컨트롤을 호스팅하고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에서 WPF 컨트롤을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WPF 대화 상자 및 Windows Forms 대화 상자를 별다른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WPF의 WindowsFormsHost 컨트롤을 사용하여 Windows Forms 컨트롤을 호스팅합니다. 컨트롤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컨트롤은 Windows Forms 컨트롤을 호스팅하여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dows Forms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 컨트롤은 ActiveX 컨트롤도 호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전 기술을 사용하여 만든 기존의 대규모 라이브러리를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WPF 컨트롤, 패널 및 기타 요소를 호스팅할 수 있는 Windows Forms 컨트롤인 ElementHost 컨트롤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각각의 기술을 구현하는 도구에서도 Windows Forms와 WPF용으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WPF용 Visual Designer를 사용하여 Windows Forms 컨트롤을 배치하고, 마찬가지로 Windows Forms 디자이너를 사용하여 WPF 컨트롤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PF와 Windows Forms를 함께 사용할 경우 몇 가지 제한 사항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WPF 컨트롤을 Windows Forms 컨트롤 위에 배치할 수는 없습니다. Windows Forms 컨트롤은 항상 최상위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WPF의 투명 효과나 변환 기능은 Windows Forms 컨트롤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WindowsFormsHostElementHost 컨트롤을 사용하려면 완전한 신뢰 수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컨트롤을 사용하는 WPF 응용 프로그램을 XBAP로 실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WPF와 Windows Forms를 함께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Win32/MFC

2002년 .NET Framework가 출시되기 전에는 일반적으로 Windows 개발자가 Win32 API를 직접 호출하거나, 이 API를 래핑할 수 있는 C++ 래퍼를 제공하는 MFC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으로 만든 인터페이스의 코드는 지금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WPF 환경에서는 이 코드가 어떻게 사용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Windows Forms의 경우와 유사합니다. 즉, 기존 Win32/MFC 코드에서 WPF 컨트롤을 호스팅하는 것이 가능하고, WPF에서 기존 Win32/MFC 컨트롤을 호스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실제로 WPF와 Windows Forms 간의 상호 운용에 사용되는 기능은 Win32/MFC 상호 운용성 서비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WPF에서는 WPF 환경에서 Win32/MFC 컨트롤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HwndHost 클래스와 Win32/MFC 응용 프로그램에서 WPF 컨트롤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HwndSource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각 클래스는 필요에 따라 두 기술을 매핑합니다. 예를 들어 HwndHost는 Win32/MFC 컨트롤을 참조하는 데 사용되는 hWnd를 WPF 컨트롤인 것처럼 표시하고, 반대로 HwndSource는 WPF 컨트롤을 hWnd인 것처럼 표시합니다.

그러나 Windows Forms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두 환경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몇 가지 제약이 따릅니다. 실제로 Windows Forms 상호 운용성은 HwndHostHwndSource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레이어 및 투명 효과에 대한 제약 등과 같이 앞에서 Windows Forms 컨트롤에 대해 설명한 모든 제한 사항이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또한 Windows Forms와는 달리 WPF와 Win32/MFC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WPF의 관리 코드 환경과 Win32의 비관리 코드 환경 간의 상호 운용으로 인한 문제도 발생합니다. 이와 같은 모든 이유 때문에 Win32/MFC 코드를 사용하는 WPF 응용 프로그램은 XBAP로 실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Windows 응용 프로그램에서 WPF와 Win32/MFC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즉, WPF를 사용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의 기존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모두 버릴 필요는 없습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Direct3D

Direct3D는 Microsoft DirectX API 제품군의 일부로, 3차원 그래픽을 만드는 Windows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WPF가 출시된 이후에도 독자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입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제로 WPF는 Direct3D를 통해 모든 렌더링 작업을 수행합니다. WPF의 출시 이후에 달라지는 것은 이제는 WPF에서도 3D 그래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3D 개발자들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비교적 쉽게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고도의 과학적 시각화가 요구되는 3D 중심의 기술적인 응용 프로그램, 게임 등과 같이 3D를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하는 경우에는 Direct3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PF는 이러한 유형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디자인된 플랫폼이 아니므로 적어도 WPF의 초기 릴리스는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신 WPF를 사용하면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도 비교적 쉽게 3D 그래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WPF 환경에서는 XBAP를 통해 웹에서 3D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과 문서를 비롯하여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여러 요소에 3D 그래픽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HwndHost 클래스를 통해 WPF 응용 프로그램에서 Direct3D 코드를 호스팅할 수도 있습니다. WPF와 Direct3D는 각자 독자적인 가치를 제공하며 앞으로도 Windows 플랫폼에서 중심적인 기능을 할 것입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AJAX/"Atlas"

개발자는 AJAX를 사용하여 응답 성능이 뛰어난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AJAX를 사용하면 요청이 있을 때마다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데이터 교환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AJAX는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XMLHttpRequest 개체를 사용하여 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1990년대 후반 Internet Explorer 5.0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더 많은 브라우저에서 XMLHttpRequest를 지원하게 되었고 AJAX가 보편화되었습니다.

그러나 AJAX 클라이언트를 만드는 작업은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Microsoft는 이 작업을 위해 "Atlas"라는 코드 이름의 기술 집합을 만들었습니다. Atlas는 AJAX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컨트롤 및 기타 요소의 집합으로, Internet Explorer뿐 아니라 다른 여러 브라우저에 사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및 서버 쪽에서 사용할 수 있는 ASP.NET 확장 기능으로 구성됩니다. Atlas는 AJAX 클라이언트가 포함된 웹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간단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AJAX는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개발자들이 관심을 갖는 기술입니다. AJAX를 사용하면 보다 뛰어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지원되는 콘텐츠 형식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AJAX만으로는 그래픽, 비디오, 애니메이션 및 기타 최신 상호 작용 방식을 지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클라이언트에서 WPF를 지원하도록 해야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AJAX 대신 XBAP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과 "WPF/E"

XBAP를 사용하면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WPF 기능의 대부분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WPF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범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WPF를 지원하지 않는 Macintosh나 기타 시스템에서도 액세스할 수 있고 최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코드 이름 "WPF/E"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곧 제공될 기술입니다. WPF/E("E"는 Everywhere를 나타냄)는 Macintosh와 같은 다양한 클라이언트 플랫폼, 소형 장치 등을 비롯하여 Internet Explorer, FireFox, Netscape 등의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 WPF의 기능 중 일부를 제공할 예정으로, 여기에는 2차원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 메모 및 텍스트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XBAP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 3차원 그래픽, 문서, 하드웨어 가속 등의 일부 기능은 WPF/E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개발자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WPF/E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C# 및 Visual Basic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WPF/E에는 .NET Framework의 플랫폼 간 호환 기능 중 일부도 포함될 것입니다. WPF/E는 .NET Framework 3.0의 일부가 아니며 2007년 중에 릴리스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WPF/E가 릴리스되면 웹 응용 프로그램 작성자는 광범위한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또 다른 기술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들면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조직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WPF의 기본적인 목표는 개발자가 이러한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에 WPF는 Windows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자나 일반 사용자 모두가 기대할 만한 기술입니다.

WPF는 최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작업에 디자이너가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 주며, 독립 실행형 응용 프로그램과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공통적인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Windows 사용자 환경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WPF는 지난 20년 동안 Windows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반이 되어 온 기술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여 향후 20년 동안 사용할 기반 기술로서의 역할을 할 것입니다


|

Windows Workflow Foundation 및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통합

 

Jeremy Boyd
Intergen

2007년 1월

적용 대상: Windows Workflow Foundation,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요약: 이 기사에서는 Windows WF(Workflow Foundation)를 사용하여 작성한 워크플로가 WCF(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를 사용하여 만든 서비스 내에서 어떻게 호스팅되는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또한 WCF에서 제공되는 광범위한 기능 중 일부를 활용하여 이중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이벤트 콜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참고: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은 Vistadev@microsoft.com으로 전자 메일을 보내 주십시오.

목차


"Windows Workflow Foundation Sample Integrating WF and WCF"를 다운로드하려면 여기 (영문)를 클릭하십시오.


소개

Microsoft는 Windows WF(Workflow Foundation) 출시에 맞춰 .NET 개발자 플랫폼에 워크플로 기능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이 기능을 사용하여 간단한 순차 워크플로부터 정교한 사용자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복잡한 상태 컴퓨터 기반 워크플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시나리오를 충족하는 워크플로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캡슐화된 서비스 끝점을 통해 비즈니스 기능을 제공하여 비즈니스 기능과 프로세스의 재사용 및 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WCF(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는 일관성 있는 개발자 API, 강력한 호스팅 런타임, 그리고 배포 작업을 돕는 유연한 구성 기반 솔루션을 통해 개발자가 손쉽게 연결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문서의 마지막에는 WF 및 WCF에 대해 더 배우고자 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추가 리소스 목록이 있습니다.


비용 보고 샘플

이 기사의 코드 샘플은 직원의 비용 청구를 제출 및 승인하는 표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모델링하는 비용 보고 워크플로 샘플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원본 샘플은 WCF 및 .NET 3.0 Framework를 활용하여 이 시나리오를 더욱 효과적으로 호스팅하는 방법을 보여 주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비용 보고 샘플의 첫 릴리스에서는 워크플로 런타임 인스턴스가 포함된 호스트 응용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NET Remoting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비용 보고 구현을 리팩터링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간 통신에 WCF를 사용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또한 솔루션 내의 다양한 고려 사항을 분류하기 위해 논리적인 솔루션 구조를 사용했습니다.

그림 1. 리팩터링된 솔루션의 구조

설계에 메시지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메시지가 비즈니스 프로세스 컨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용 보고의 수명 주기에는 여러 개의 상호 작용 지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 작용 지점을 간단히 검토해 보겠습니다.

  • 프로세스에는 '클라이언트', '관리자'및 비용 보고 '호스트' 시스템이라는 세 가지 관계 요소가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가 새 비용 청구를 제출하면 프로세스가 시작됩니다.
  • 규칙의 '정책'을 사용하여 비용 청구를 자동으로 승인할 수 있는지 판단합니다.
  • 비용 청구가 자동으로 승인되지 않은 경우 요청을 승인할 '관리자'가 필요합니다. 관리자는 승인해야 하는 새로운 보고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알림을 받아야 합니다.
  • 관리자가 '대기' 시간(조정 가능) 동안 승인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청구가 거부됩니다.
  • 청구를 검토한 후 '클라이언트'와 '관리자'는 검토 결과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WF를 사용하면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표준 작업을 사용하여 이러한 프로세스를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DelayActivity를 사용하면 일정 기간이 지난 뒤의 이벤트 트리거를 관리할 수 있고, 규칙 엔진 및 PolicyActivity를 사용하면 결과에 대한 질문을 받는 융통성 있는 규칙 집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사용자 지향 프로세스이므로 개발자는 최종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고 이러한 상호 작용이 발생하도록 워크플로를 구성해야 합니다. WF는 로컬 서비스인 HandleExternalEventActivityCallExternalMethodActivity를 통해 호스트 및 워크플로 간 통신을 허용하는 포괄적인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 부분은 대화형 워크플로를 구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므로 WF 설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WF에서 상호 작용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여러 이벤트와 메서드를 제공하는 계약을 설계해야 합니다. 이 계약은 워크플로 및 호스트 프로세스 양쪽에서 모두 인식됩니다. 구축하려는 계약/인터페이스는 워크플로-데이터 교환을 위해 설계되었음을 식별하는 [ExternalDataExchange()] 특성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샘플에서는 워크플로에 IExpenseLocalService 인터페이스를 사용합니다.

그런 다음 워크플로 런타임으로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로컬 서비스라고 함)를 등록합니다. 워크플로 작업은 이벤트에 등록하거나, 인터페이스 유형에 대해 정의된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등록한 로컬 서비스로 연결됩니다. 여기에서는 로컬 서비스의 기반 형식과 워크플로 간의 밀결합을 제거하는 제어 반전(Inversion of Control)이라고 하는 패턴을 사용합니다. 샘플에서는 ExpenseLocalService 클래스가 IExpenseLocalService 계약을 구현합니다.

워크플로는 처음 실행될 때 작업할 초기 데이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워크플로가 외부 상호 작용이 필요한 지점에 이르면 워크플로 내에서 HandleExternalEventActivity에 바인딩할 수 있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인터페이스 유형과 이벤트를 인수로 취하며, 이벤트가 발생하여 실행을 계속하도록 허용하면 워크플로가 가동을 시작합니다.

워크플로에서 로컬 서비스를 콜백해야 하는 경우 CallExternalMethodActivity를 사용하고 인터페이스 및 메서드 이름을 인수로 제공하면 됩니다.

이러한 작업을 사용하여 실행 중인 워크플로가 있는 호스트 프로세스 내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WF 내에서 제어 반전 패턴을 사용하여 워크플로와 로컬 서비스 간의 밀결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호스트 프로세스보다 범위를 넓혀 다른 시스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 작용을 허용해야 합니다. 다른 서비스나 사용자 기반 응용 프로그램에서 호출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에 대화식 작업을 분산하면 이러한 수준의 상호 작용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WCF는 이러한 메시징 기능을 유연하게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번 시나리오에서 WCF와의 통합이 주는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비스 구현을 메시징 내부 작업 코드에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연결을 위한 코드 및 복잡성이 훨씬 줄어듭니다.
  • 배포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호스트에서 클라이언트로 직접 콜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빠르고 오버헤드가 적은 방법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통합을 위한 검사 목록

WF와 WCF의 통합을 완료하려면 사용자가 워크플로를 시작하거나 실행 중인 워크플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여러 인터페이스 지점을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노출해야 합니다. 서비스는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외부 엔터티(예: 프로세스에 관련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모델링해야 합니다.

그림 2. 비용 보고 시나리오의 상호 작용 지점


이를 위해서는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 서비스 계약을 정의합니다.
  • 이벤트를 통해 새로운 워크플로를 만들거나 기존 워크플로와 상호 작용하는 서비스 작업을 구현합니다.
  • 서비스 호스트 내에서 워크플로 런타임 인스턴스를 호스팅합니다.

단순히 워크플로를 호스팅하는 것 이외에도 WCF 이중 채널을 활용하여 워크플로의 이벤트를 소비 클라이언트에서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비용 보고의 경우 솔루션이 정기적인 데이터 업데이트를 위해 서비스를 폴링하는 클라이언트에 의존하므로 이러한 기능이 도움이 됩니다.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방법 대신 서비스에서 직접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 콜백 계약을 정의합니다.
  • 이중 채널을 지원하는 바인딩을 사용합니다.

서비스 계약 정의

WCF(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는 서비스의 기능과 데이터 교환을 추상적으로 정의하는 공식 계약을 선언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계약은 코드에서 인터페이스 선언을 통해 정의합니다.

비즈니스 서비스를 설계할 때는 일반적으로 요청/응답 공동 작업 패턴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제공하려는 계약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을 준비해야 합니다.

  • 게시되는 작업. 서비스가 해당 소비자에게 게시하는 기능이며 인터페이스상의 메서드입니다.
  • 각 요청 및 응답에 대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메시지. 각 메서드에 대한 인수 및 반환 형식입니다. WCF 용어로는 대개 메시지 계약이지만 비교적 간단한 시나리오에서는 데이터 계약이 됩니다.
  • 서비스를 통해 교환할 수 있는 핵심 비즈니스 엔터티의 데이터 정의. 메시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소로, WCF 용어로는 데이터 계약이 됩니다.

서비스 계약은 작업을 노출하는 계약을 정의한 후 연결을 통해 게시되는 특정 작업을 정의하는 특성 기반 태그를 사용하여 정의됩니다.

각 서비스 계약은 [ServiceContract] 특성으로 명시적으로 표시됩니다. 이 특성은 다음과 같은 매개 변수와 함께 선언할 수 있습니다.

  • Name. WSDL <portType> 요소에 선언된 계약 이름을 제어합니다.
  • Namespace. WSDL <portType> 요소에 선언된 계약의 네임스페이스를 제어합니다.
  • SessionMode. 계약에 세션을 지원하는 바인딩이 필요한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 CallbackContract. 클라이언트 콜백에 사용될 계약을 지정합니다.
  • ProtectionLevel. 계약에 ProtectionLevel 속성을 지원하는 바인딩이 필요한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이 속성은 암호화 및 디지털 서명을 위한 요구 사항을 선언하는 데 사용됩니다.

작업 선언

이제 서비스는 여러 개의 게시된 작업으로 구성됩니다. 작업은 [OperationContract] 특성으로 표시되어 명시적으로 계약에 포함됩니다. ServiceContract와 마찬가지로 OperationContract에는 끝점에 바인딩되는 방식을 제어하는 다음과 같은 여러 매개 변수가 있습니다.

  • Action. 이 작업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이름을 제어합니다. 메시지가 끝점에 수신되면 발송자는 제어 및 작업을 사용하여 호출할 메서드를 결정합니다.
  • IsOneWay. 작업이 요청 메시지를 받지만 응답은 생성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순히 void 반환 형식을 반환하는 것(이 경우 결과 메시지가 생성됨)과는 다릅니다.
  • ProtectionLevel. 작업에 필요한 암호화 또는 서명 요구 사항을 지정합니다.

다음은 코드에서 서비스 계약 부분을 보여 주는 예제입니다.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ExpenseService
{
        [OperationContract]
        GetExpenseReportsResponse GetExpenseReports();

        [OperationContract]
        GetExpenseReportResponse GetExpenseReport(GetExpenseReportRequest 
getExpenseReportRequest);
}

메시지 및 데이터 엔터티 선언

메시지는 전송할 각 메시지에 대한 페이로드 또는 본문을 정의하는 클래스로 모델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ASP.NET을 사용하여 웹 서비스를 구축할 때 WSCF(WS Contract First)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모델링하는 방식과 비슷합니다.

WCF는 기본적으로 DataContractSerializer라는 serialization 엔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serialize(데이터를 XML로 변환) 및 deserialize(XML을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DataContractSerializer를 사용하기 위해 System.Runtime.Serialization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참조를 추가한 후 클래스에 [DataContract] 특성을 표시하고 게시할 멤버를 [DataMember]로 표시합니다.

[DataContract]
    public class GetExpenseReportsResponse
    {
        private List<ExpenseReport> reports;

        [DataMember]
        public List<ExpenseReport> Reports
        {
            get { return reports; }
            set { reports = value; }
        }
    }

메시지 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엔터티는 비즈니스 영역 내의 엔터티를 나타냅니다. 메시지 계약과 마찬가지로 DataContractSerializer 및 특성을 사용하여 배포되는 멤버를 명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는 데이터 모델링만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공용 필드 방식을 사용하고 클래스를 serialize 가능한 것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샘플에서는 메시징 태그 처리를 위해 데이터 계약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복잡한 스키마, 스키마에서의 속성 사용, 그리고 SOAP 헤더 사용 요구 사항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WCF는 이러한 극한의 상황을 위해 본문만이 아닌 전체 SOAP Envelope를 기술하는 [MessageContract] 특성으로 표시되는 클래스를 정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계약과 메시지 계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기사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추가 정보에서 각 해당 MSDN Library 기사를 참조하십시오.


워크플로 런타임 호스팅

서비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형식의 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세션 수명 주기 동안 유지 관리되는 동시 동작을 허용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워크플로를 사용하려면 호출별로 실행하는 대신 워크플로 런타임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서비스-호스트 인스턴스의 수명 동안 이를 유지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권장되는 방식은 호스트 서비스 생성 시에 활성화되는 확장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확장은 워크플로 런타임의 전역 인스턴스를 만들고 유지 관리하며, 각 독립 서비스 인스턴스에서 이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ServiceHost에 확장을 구현하려면 IExtension<ServiceHostBase>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만듭니다. 솔루션에서는 WcfExtensions 코드 프로젝트 아래에 있는 WfWcfExtension 클래스를 통해 이에 대한 예제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메서드, 즉 확장이 해당 부모 개체에 연결될 때 호출되는 Attach와 부모 개체가 언로드될 때 호출되는 Detach를 구현해야 합니다.

다음에서 볼 수 있듯이 Attach 메서드는 WorkflowRuntime의 새 인스턴스를 만들어 필요한 서비스로 인스턴스화합니다. 이 인스턴스는 workflowRuntime이라는 로컬 개인 필드에 저장합니다.

void IExtension<ServiceHostBase>.Attach(ServiceHostBase owner)
{
   workflowRuntime = new WorkflowRuntime(workflowServicesConfig);
   ExternalDataExchangeService exSvc = new ExternalDataExchangeService();
   workflowRuntime.AddService(exSvc);
   workflowRuntime.StartRuntime();
}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워크플로 런타임의 초기화에는 시작하기 전에 서비스 인스턴스를 런타임에 추가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솔루션을 구축할 때는 일반적으로 런타임을 시작하기 전에 모든 서비스를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결합이 문제시되는 경우에는 후기 바인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샘플에서는 WorkflowRuntime이 시작된 후에 ExpenseService 클래스에 있는 SetUpWorkflowEnvironment 메서드의 일부로 ExpenseLocalService 인스턴스를 ExternalDataExchangeService에 추가합니다.

다음에서 볼 수 있는 Detach 메서드는 StopRuntime을 호출하여 런타임을 종료합니다.

void IExtension<ServiceHostBase>.Detach(ServiceHostBase owner)
{
   workflowRuntime.StopRuntime();
}

WorkflowRuntime이 서비스-호스트 시작의 일부로 생성 및 초기화되므로 모든 기존 워크플로는 서비스 호출이 수행되기 전에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서비스 호스트가 종료되면 워크플로 런타임도 깔끔하게 종료됩니다.

참고   워크플로를 호스팅하고 장시간 실행되는 워크플로를 모델링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방법인 워크플로 지속성 서비스(예: SqlWorkflowPersistenceService)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가 다시 시작되더라도 상태 지속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서비스 작업 만들기

서비스 동작을 포함하는 클래스를 만들려면 서비스 계약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한 개 이상 구현해야 합니다.

public class ExpenseService :
        IExpenseService,
        IExpenseServiceClient,
        IExpenseServiceManager

워크플로와의 통합을 위해 서비스 메서드는 비즈니스 논리를 포함하지 않지만 대신 이벤트를 제어하거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캡슐화하는 실행 중인 워크플로에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코드를 포함합니다.

워크플로를 처리하는 작업에서는 새 워크플로를 시작하거나 이미 실행 중인 워크플로와 상호 작용하게 됩니다.

새 워크플로 인스턴스를 만들려면 WorkflowRuntime을 사용하여 원하는 워크플로 유형의 새 인스턴스를 인스턴스화해야 합니다. ServiceHost 확장 클래스에서 이미 이러한 인스턴스를 만들었습니다. 이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를 얻으려면 OperationContext를 사용하여 사용자 지정 확장을 찾아야 합니다.

WfWcfExtension extension = 
OperationContext.Current.Host.Extensions.Find<WfWcfExtension>();
workflowRuntime = extension.WorkflowRuntime;

OperationContext는 서비스 메서드의 실행 컨텍스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클래스입니다. 앞에 있는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클래스는 현재 서비스 메서드에 대한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Current라는 단일 항목을 제공합니다. Host 속성을 호출하여 실행 중인 ServiceHost로 인스턴스를 가져온 다음 그 유형을 기반으로 확장을 찾습니다.

확장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를 확보한 다음에는 공용 속성을 통해 WorkflowRuntime을 반환하고 이를 사용하여 SequentialWorkflow의 새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Guid workflowInstanceId = 
submitExpenseReportRequest.Report.ExpenseReportId;

Assembly asm = Assembly.Load("ExpenseWorkflows");
Type workflowType = asm.GetType("ExpenseWorkflows.SequentialWorkflow");

WorkflowInstance workflowInstance =
   workflowRuntime.CreateWorkflow(workflowType, null, workflowInstanceId);
workflowInstance.Start();

expenseLocalService.RaiseExpenseReportSubmittedEvent(
   workflowInstanceId, submitExpenseReportRequest.Report);

위의 코드에서는 미리 정의된 유형을 바탕으로 새 워크플로 인스턴스를 만듭니다. 이는 직접적인 유형 인스턴스화를 통해서도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엄격하게 형식이 지정된 바인딩 대신 런타임에 동적인 규칙을 바탕으로 워크플로를 만드는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 줍니다.

마지막 줄은 워크플로의 첫 번째 HandleExternalEventActivity에서 처리되는 이벤트를 발생시켜 워크플로의 시작을 알립니다. 이 이벤트는 ExpenseLocalService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통해 발생시킵니다. 샘플에서는 ExpenseLocalService를 사용하여 새 워크플로를 시작하거나 기존 워크플로에 이벤트를 발생시켜 워크플로와 상호 작용합니다. 이 클래스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캡슐화하는 메커니즘으로 사용되며 내부적으로는 WF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그림 3. 워크플로는 HandleExternalEventActivity로 시작됩니다.


처리해야 할 다른 유형의 상황은 기존 워크플로로 콜백하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워크플로 엔진으로 이벤트를 발생시켜 기존 워크플로가 이벤트를 받고 처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비용 보고 흐름 내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예로는 관리자 승인이 필요한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워크플로는 RequestManagerApproval에 대한 외부 메서드를 호출하고 이 메서드는 관리자에게 새 비용 보고서를 승인하거나 거부해야 한다는 알림을 생성합니다.

워크플로에는 가능한 이벤트 중 하나가 발생할 때까지 차단하는 ListenActivity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관리자가 보고서를 검토했거나 DelayActivity에 따라 시간이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하게 됩니다.

그림 4. ManagerApproval 사용자 지정 작업 흐름


Guid workflowInstanceId = 
submitReviewedExpenseReportRequest.Report.ExpenseReportId;

ExpenseReportReviewedEventArgs e =
   new ExpenseReportReviewedEventArgs(workflowInstanceId, report, review);

if (ExpenseReportReviewed != null)
{
   ExpenseReportReviewed(null, e);
}

관리자가 ManagerApplication을 사용하여 보고서를 검토하면 호스트로 서비스 호출이 다시 수행되어 ExpenseReportReviewed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SubmitReviewedExpenseReport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워크플로에서 HandleExternalEventActivity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이벤트를 라우팅할 수 있도록 현재 처리하고 있는 워크플로 인스턴스의 GUID를 알아야 합니다.

각 이벤트는 EventArgs와 함께 생성되는데, EventArgs를 사용하면 이벤트 모델을 통해 워크플로로 데이터를 다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예에서는 검토 작업의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데이터와 보고서의 현재 상태에 대한 세부 정보를 모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워크플로에서 이벤트는 HandleExternalEventActivity의 속성을 통해 자동으로 워크플로에 연결됩니다.

그림 5. HandleExternalEventActivity를 IExpenseLocalService 인터페이스에 연결합니다.


[ExternalDataExchange] 특성으로 표시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유형을 지정한 후 HandleExternalEventActivity에서 구독할 해당 인터페이스의 이벤트를 지정합니다.

이벤트 인수는 ExternalDataEventArgs 클래스에서 파생되어야 합니다. 이는 최소한 각 이벤트가 워크플로의 InstanceId와 같은 컨텍스트를 포함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워크플로 런타임은 올바른 워크플로 인스턴스로 이벤트를 라우팅하여 계속 진행되도록 합니다. 지속성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런타임은 실행 기간 동안 워크플로에 대한 실행 상태의 하이드레이션 및 리하이드레이션 작업도 관리하게 됩니다.


서비스 호스팅

WCF 서비스를 호스팅하려면 ServiceHost 컨테이너 내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WCF를 사용하여 호스팅하는 방법을 검토하기에 앞서 선택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표준 Windows 프로세스에서는 ServiceHost 인스턴스를 수동으로 만들고 열 수 있습니다.
  • Microsoft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6.0을 통해 웹 끝점(웹 서비스)을 호스팅하는 경우 System.ServiceModel 네임스페이스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지정 HttpHandler를 사용합니다.
  • IIS 7에서 호스팅하는 경우에는 WAS(Windows Activation Service)를 사용하여 끝점을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사용하여 호스팅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디먼 역할을 하는 단일 인스턴스 끝점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Windows 서비스를 사용하여 호스팅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예제에서는 Windows 콘솔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주 서비스 인스턴스를 호스팅하는데, 이는 Windows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방식과 비슷합니다.

서비스를 배포하려면 ServiceHost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만들고 게시하려는 각 서비스 유형에 대해 이 인스턴스의 끝점을 엽니다. ServiceHost는 생성자의 일부로 여러 인수를 취하지만 가장 중요한 인수는 Type 인수 또는 ServiceContract를 구현하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입니다.

  • PerCall 또는 PerSession 인스턴스를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Type을 사용합니다.
  • Single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인스턴스를 사용하십시오.

WCF 내의 인스턴스 및 동시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SDN Library의 Sessions, Instancing, and Concurrency (영문)를 참조하십시오.

호스트가 설정된 후에는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구문 분석하고(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배포 구성 섹션 참조) 이를 명시적으로 추가된 구성과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끝점을 확인한 다음 게시를 위해 이 끝점을 엽니다. 클라이언트에서 호출을 수신하면 요청은 새로운 백그라운드 작업자 스레드에서 처리되며, 메시지의 SOAP 계약 이름 및 작업에서 지정된 대로 적절한 서비스 작업으로 라우팅됩니다.

using (ServiceHost serviceHost = new ServiceHost(new ExpenseService()))
{
   WfWcfExtension wfWcfExtension =
      new WfWcfExtension("WorkflowRuntimeConfig");
   serviceHost.Extensions.Add(wfWcfExtension);
   serviceHost.Open();

   // 이 시점에서 프로세스를 차단합니다(예:Console.ReadLine();).

   serviceHost.Close();
}

ServiceHost 구성은 연결에 대한 끝점을 열기 전에 수행해야 합니다. 앞에서 보았듯이 이를 위해서는 .Open()을 호출하기 전에 호스트 개체와 상호 작용합니다. using 범위를 사용하여 ServiceHost를 사용하기 전에 삭제되도록 하고, 이 범위 끝에 명시적으로 Close()를 호출하여 모든 활성 연결 및 끝점을 깔끔하게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포 구성

WCF는 XML 구성을 통해 끝점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에서 배포 문제를 분리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로써 관리자는 코드를 다시 개발하지 않고도 서비스 정책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각 서비스는 한 개 이상의 끝점에 배포됩니다. 간단히 말해 끝점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주소 지정이 가능한 연결 지점입니다. WCF에서 각 끝점은 WCF의 기초로 잘 알려진 세 가지 특성으로 선언됩니다.

이 세 특성은 Address, BindingContract입니다.

Address: 주소 지정이 가능한 이 끝점의 고유한 위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가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의 절대 주소를 가리키는 URI입니다(예: http://myhost/myservice 또는 net.tcp://myhost:400/myservice).

Binding: 서비스와 소비자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정책입니다. Binding은 사용되는 전송 유형, 메시지 인코딩 방법 및 데이터를 serialize하는 방법과 같은 측면을 지정합니다. WCF에는 대부분의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지원하는 즉시 사용 가능한 바인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Contract: 코드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의한 대로 게시되는 작업 및 데이터입니다.

서비스를 구성하려면 서비스를 선언하는 구성을 선언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끝점을 모두 구성해야 합니다. 서비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계약의 수에는 제한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게시해야 하는 끝점의 수도 여기에 맞춰 결정됩니다.

다음은 구성 예제입니다.

<services>
   <service name="ExpenseServices.ExpenseService">
      <endpoint
         address="http://localhost:8081/ExpenseService/Manager"
         binding="wsHttpBinding"
         contract="ExpenseContracts.IExpenseServiceManager" />
<endpoint
         address="http://localhost:8081/ExpenseService/Client"
         binding="wsDualHttpBinding"
         contract="ExpenseContracts.IExpenseServiceClient" />
   </service>
</services>

이 구성 예제에서는 ExpenseServices.ExpenseService 유형의 서비스에 대해 구성을 선언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 유형을 기반으로 새 ServiceHost를 인스턴스화할 때 런타임에서 구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바인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SDN Library의 WCF Bindings (영문)를 참조하십시오.


서비스 사용

WCF를 통한 서비스 사용은 ChannelFactory 클래스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ChannelFactory는 구성에 지정된 끝점에 연결하는 서비스 계약의 프록시 인스턴스를 제공하기 위해 팩토리 패턴을 사용합니다.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보안 자격 증명 및 인증서와 같은 런타임 정보를 사용하거나 동적으로 끝점 정보를 확인하도록 팩토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ivate IExpenseServiceManager CreateChannelExpenseServiceManager()
{
   ChannelFactory<IExpenseServiceManager> factory = new
ChannelFactory<IExpenseServiceManager>("ExpenseServiceManager");
   IExpenseServiceManager proxy = factory.CreateChannel();

   return proxy;
}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처음에 팩토리의 인스턴스를 만듭니다. 이 인스턴스는 서비스 계약에 대한 제네릭 인수를 사용하므로 원하는 계약의 인스턴스만 반환하는 더 정확한 팩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끝점에 사용될 구성을 결정하는 인수도 지정합니다. 이 경우에는 응용 프로그램 구성 파일에 있는 구성을 참조하는 ExpenseServiceManager라는 이름의 끝점 구성을 사용합니다.

<system.serviceModel>
   <client>
         <endpoint name="ExpenseServiceManager"
            address="http://localhost:8081/ExpenseService/Manager"
            binding="wsHttpBinding"
            contract="ExpenseContracts.IExpenseServiceManager" />
   </client>
</system.serviceModel>

끝점 정의가 호스트의 구성에 선언된 정의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성이 다른 유일한 경우는 네트워크 구성이나 사용자 지정 동작이 구현되고 있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주소가 다를 때입니다.

Windows SDK를 설치했다면 프록시 클래스 및 끝점 구성 생성을 자동화하며 사용자의 솔루션으로 통합 가능한 도구(svcutil)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를 활용하려면 대상 서비스가 WSDL 또는 WS-MetadataExchange를 통해 메타데이터 설명을 게시해야 합니다.


이중 채널 구성

지금까지는 통신 흐름이 소비자가 메시지를 보내고 서비스가 이에 응답하는 요청 응답 공동 작업 패턴을 사용한다고 가정했습니다. WCF는 이외에도 단방향(전송한 후 더 이상 추적하지 않음) 또는 양방향 이중 통신과 같은 여러 가지 다른 메시지 흐름을 지원합니다. 어느 쪽에서든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메시지 흐름을 다루는 경우에는 이중 또는 양방향 채널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중 채널은 어느 쪽에서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강력하게 연결된 시스템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채널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예는 이벤트에서 콜백을 제공하는 경우입니다.


클라이언트 콜백 구현

WCF에서 클라이언트 콜백은 CallbackContracts라고 하는 개념을 통해 구현됩니다. 여기서 게시하는 계약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게시할 작업을 정의하는 두 번째 계약을 지명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에서 실행되는 코드를 사용하여 콜백할 수 있습니다.

CallbackContract를 선언하려면 인터페이스 유형을 콜백하려는 서비스 계약의 일부로 지정합니다.

[ServiceContract(CallbackContract = 
typeof(IExpenseServiceClientCallback))]

또한 netTcpBinding 또는 wsDualHttpBinding과 같이 이중 채널을 지원하는 바인딩을 사용해야 합니다. TCP를 통한 이중 통신은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설정 및 유지되는 양방향 연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HTTP를 통한 통신은 클라이언트 수신기에 대한 콜백에 의해 수행됩니다. 클라이언트가 반환 경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사용자가 구성을 통해 이를 엄격하게 정의하려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자 지정 바인딩 구성을 사용하여 대체 clientBaseAddress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endpoint binding="wsDualHttpBinding" 
bindingConfiguration="AlternativeClientCallback"/>
<bindings>
   <wsDualHttpBinding>
      <binding name="AlternativeClientCallback" 
clientBaseAddress="http://localhost:8082/ExpenseService/ClientCallback"/>
   </wsDualHttpBinding>
</bindings>

클라이언트에서 콜백 구현

콜백 계약 구현은 서비스 계약 구현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정의한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제공해야 합니다.

class CallbackHandler : IExpenseServiceClientCallback
{
   public void ExpenseReportReviewed(
ExpenseReportReviewedRequest expenseReportReviewedRequest)
        {
            // 여기에서 콜백에 응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논리를 구현합니다.
        }
}

호스트가 콜백할 CallbackHandler 클래스 인스턴스를 갖도록 하려면 연결의 이중 특성을 인식하도록 클라이언트 채널을 설정해야 합니다.

우선 앞서 설명한 대로 이중 채널을 지원하는 바인딩을 사용합니다. 다음으로, 서비스 끝점에 대한 연결을 초기화할 때 서비스에 대한 이중 연결을 만드는 DuplexChannelFactory라는 ChannelFactory의 하위 클래스 버전을 사용합니다.

private IExpenseServiceClient CreateChannelExpenseServiceClient()
{
   InstanceContext context = new InstanceContext(new CallbackHandler());

   DuplexChannelFactory<IExpenseServiceClient> factory =
new DuplexChannelFactory<IExpenseServiceClient>(context, 
"ExpenseServiceClient");
   IExpenseServiceClient proxy = factory.CreateChannel();

   return proxy;
}

DuplexChannelFactory를 사용할 때 중요한 차이점은 CallbackHandle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초기화하고 이를 팩토리의 생성자에 전달하여 콜백에 사용될 컨텍스트를 초기화한다는 것입니다.


호스트에서 콜백 구현

호스트의 관점에서는 IExpenseServiceClient 계약에 정의된 콜백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로의 콜백에 대한 참조를 얻을 수 있습니다.

[ServiceContract(CallbackContract = 
typeof(IExpenseServiceClientCallback))]
public interface IExpenseServiceClient : IExpenseService

CallbackContract 특성은 호스트에서 이루어지는 콜백에 대한 계약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선언합니다.

콜백을 수행하려면 다음과 같이 OperationContext.Current.GetCallbackChannel을 호출하여 콜백 계약에 대한 참조를 가져옵니다.

IExpenseServiceClientCallback callback =
                   OperationContext.Current.GetCallbackChannel
<IExpenseServiceClientCallback>();
callback.ExpenseReportReviewed(new 
ExpenseReportReviewedRequest(e.Report));

콜백 채널에 대한 참조를 가져온 다음에는 정상적으로 이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결론

Windows Workflow Foundation은 워크플로 정의를 위한 범용 프레임워크와 실행 중인 워크플로를 호스팅하고 이 워크플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강력한 런타임 엔진을 제공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연결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범용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통신 방법을 정의하기 위한 일관성 있는 API와 광범위한 기능 집합을 개발자에게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 프레임워크를 함께 사용하면 현재 환경 내에서 분산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축 및 배포하기 위한 유연하고 포괄적인 응용 프로그램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WF는 비즈니스 논리 및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고 캡슐화할 수 있도록 하며 WCF는 시스템 분산의 매개체가 되는 메시징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다음은 서비스를 설계할 때 기억해야 할 몇 가지 지침입니다.

  • 장시간 실행되는 워크플로는 지속성 서비스를 사용하여 제공해야 합니다.
  • 서비스 작업은 이벤트 발생을 통해 실행 중인 워크플로에서 상호 작용이 가능합니다. 워크플로는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할 때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외부(예: 외부 서비스 또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때 이벤트에 응답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 워크플로는 서비스 호출과 비동기적으로 실행되므로 어느 시점에 서비스 데이터를 반환해야 하고 해당 시점에서의 데이터 상태는 어떠한지 고려하여 이에 맞게 적절히 설계해야 합니다. 동기적 방식을 원하는 경우에는 ManualWorkflowSchedulerService 클래스를 사용하여 워크플로 실행을 수동으로 예약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1. Sessions, Instancing, and Concurrency (영문)
  2. WCF Bindings (영문)
  3. Using Data Contracts (영문)
  4. Using Message Contracts (영문)
  5. .NET Framework 3.0 커뮤니티 사이트 (영문)
  6. Windows Workflow Foundation 포럼 (영문)

감사의 글

다음의 기고가 및 검토자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Christian Weyer, thinktecture
  • Paul Andrew, Microsoft Corporation
  • Khalid Aggag, Microsoft Corporation
  • Patrice Manac'h, Microsoft Corporation

저자 소개

Jeremy Boyd는 뉴질랜드 소재의 솔루션 공급업체이자 Microsoft Gold Certified Partner인 Intergen에서 선임 기술 컨설턴트로 근무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커뮤니티의 MSDN 지역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Jeremy는 지난 12개월 동안 고객과 함께 WF 및 WCF 기반 솔루션을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이러한 기술의 장점을 배우려는 다른 개발자들을 자신의 블로그 (영문)를 통해 돕고 있습니다.


|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과의 관계로 보는 ASP.NET 웹 서비스의 미래

Craig McMurtry
기술 전도사(Technical Evangelist)
Microsoft Corporation

업데이트한 날짜: 2006년 7월

적용 대상:
Microsoft ASP.NET 2.0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웹 서비스 사양

목차

의사 결정권자를 위한 조언
기술 비교: 목적
기술 비교: 표준
기술 비교: 개발
내부 아키텍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을 위한 사전 준비: 향후 통합 간소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을 위한 사전 준비: 향후 마이그레이션 간소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
요약

요약:이 기사에서는 ASP.NET 웹 서비스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비교하며,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발표를 앞둔 시점에서 이미 사용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ASP.NET 웹 서비스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ASP.NET은 웹 서비스를 빌드하기 위한 .NET Framework 클래스 라이브러리와 도구뿐만 아니라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내에서 이러한 웹 서비스를 호스트하기 위한 기능도 제공합니다. Indigo라는 코드명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소프트웨어 엔터티가 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포함한 모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NET 클래스 라이브러리, 도구 및 호스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웹 서비스 빌드를 위한 더욱 새롭고 포괄적인 기술이 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ASP.NET 웹 서비스에 대한 전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두 가지 기술을 비교하고, ASP.NET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ASP.NET 웹 서비스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한 준비 방법과 실제로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ASP.NET에서 웹 서비스를 빌드하기 위해 제공하는 기능과 Microsoft .NET용 Web Services Enhancements(WSE)를 별개로 취급합니다. WSE를 사용하여 개발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전망은 다른 곳에서 살펴볼 것입니다.

의사 결정권자를 위한 조언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2006년 하반기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는 이전 기술인 ASP.NET 웹 서비스와 비교하여 중요한 몇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ASP .NET 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조직에서는 이러한 이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ASP.NET 웹 서비스 도구는 단지 웹 서비스를 빌드하기 위한 것이지만,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소프트웨어 엔터티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설정되어야 하는 모든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다양한 소프트웨어 통신 시나리오를 적용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기술의 가짓수를 줄여 주며,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 리소스 비용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줄여 줍니다.

웹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의 경우에도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ASP.NET 웹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웹 서비스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신뢰할 수 있는 세션과 트랜잭션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장점을 수반하는, 더욱 정교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ASP.NET 웹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ASP.NET 웹 서비스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한 메시지 전송만 지원합니다. 그러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HTTP뿐만 아니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명명된 파이프 및 MSMQ(Microsoft Message Queuing)를 통한 메시지 전송도 지원합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추가되는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즉시 확장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여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다른 소프트웨어와 함께 작동하도록 손쉽게 확장할 수 있어 잠재적 투자 수익을 높여 줍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ASP.NET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훨씬 더 풍부한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ASP.NET에도 있는 구성 시스템 외에도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구성 편집기, 원하는 수의 중간 단계를 통한 송수신자 간 활동 추적, 추적 뷰어, 메시지 로깅, 많은 수의 성능 카운터 및 WMI(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풍부한 관리 도구를 사용하면 운영 비용, 실패 위험 및 실제 가동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ASP.NET 웹 서비스에 대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이러한 잠재적 이점을 고려할 때, ASP.NET 웹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할 예정인 조직에서는 다음과 같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 ASP.NET 웹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고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제공하는 이점은 무시합니다. Microsoft의 현재 지원 주기 정책 하에서 ASP.NET 웹 서비스에 대한 기본 지원은 2011년까지, 확장 지원은 2016년까지 제공됩니다. 따라서 ASP.NET 웹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더라도 큰 위험은 없습니다.
  • 미래의 어느 시점에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할 의향을 갖고 ASP.NET 웹 서비스를 계속 사용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새로운 ASP.NET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미래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더 쉽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새 ASP.NET 웹 서비스를 빌드하는 방법도 설명합니다. 그러나 서비스 보안이 중요하거나 신뢰성 또는 트랜잭션 보증이 필요하거나 사용자 지정 관리 기능을 구성해야 한다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을 연기하는 것은 잘못된 결정입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정확히 이러한 시나리오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기술에 대한 생산 라이선스는 이미 제공되고 있습니다.
  • 기존 ASP.NET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계속 유지하면서 새로운 개발에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것이 최적의 선택입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이점을 누리면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비용은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새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과 기존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공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에서 기존 ASP.NET 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ASP.NET 호환 모드를 통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여 기존 ASP.NET 응용 프로그램에 새 작업 기능을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습니다.
  •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하고 기존 ASP.NET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조직에서는 개발자들이 ASP.NET 웹 서비스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이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신 기술 외의 다른 기술에 대한 지원을 배제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따라서 이 옵션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 기존 응용 프로그램이 향상되거나, 기존 ASP.NET 웹 서비스의 기능을 더욱 강력한 새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시 만드는 경우에만 마이그레이션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기술 비교: 목적

ASP.NET 웹 서비스 기술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over HTTP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빌드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메시지의 구조는 XML 스키마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NET 개체와 주고 받는 메시지를 용이하게 serialize할 수 있는 도구가 제공됩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웹 서비스를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로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WSDL에서 웹 서비스용 클라이언트를 생성하는 보조 도구가 제공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른 소프트웨어 엔터티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SOAP가 사용되지만 메시지는 모든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든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메시지의 구조는 XML 스키마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NET 개체와 주고 받는 메시지를 serialize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제공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빌드되는 웹 서비스를 WSDL로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WSDL에서 그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클라이언트를 생성하는 도구도 제공합니다.

기술 비교: 표준

ASP.NET 웹 서비스에서 지원되는 표준 목록은 XML Web Services Created Using ASP.NET (영문)을 참조하십시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지원되는 표준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Web Services Protocols Supported in WCF (영문)를 참조하십시오.

기술 비교: 개발

ASP.NET 호환 모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는 특정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을 ASP.NET 웹 서비스처럼 프로그래밍하고 구성하며 동작을 모방할 수 있는 ASP.NET 호환 모드 옵션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ASP.NET 호환 모드를 채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이러한 옵션이 정확히 어떤 효과를 내는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표현

ASP.NET으로 웹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서비스에서 사용할 복합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ASP.NET에서는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사용하여 .NET 개체로 표현된 데이터를 서비스와 주고 받을 XML로 변환하고 XML로 수신된 데이터를 .NET 개체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ASP.NET 서비스에서 사용할 복합 데이터 형식을 정의할 경우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통해 XML로 또는 XML에서 serialize할 수 있는 .NET 클래스에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물론 이러한 클래스를 수동으로 작성하거나 명령줄 XML 스키마/데이터 형식 지원 유틸리티인 xsd.exe를 사용하여 XML 스키마의 형식 정의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통해 XML로, 또는 XML에서 serialize할 수 있는 .NET 클래스의 정의에 대해 알아야 하는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NET 개체의 공용 필드와 속성만 XML로 변환됩니다.
  • 클래스에서 IEnumerable 또는 I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경우에만 컬렉션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serialize할 수 있습니다.
  • 그 결과 System.Collections.Hashtable과 같은 System.Collections.IDictiona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는 XML로 serialize할 수 없습니다.
  •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XML로 표현되는 방식을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 System.Xml.Serialization 네임스페이스의 많은 특성 형식을 .NET 클래스 및 그 구성원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 개발 역시 대개 복합 형식을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ASP.NET 웹 서비스와 같은 .NET 형식을 사용하도록 만들 수 있지만 더 나은 다른 방법이 제공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System.Runtime.Serialization 어셈블리의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을 .NET 형식에 추가하여 해당 형식의 인스턴스가 XML로 serialize된다는 점을 표시하고 이 형식에서 serialize되는 특정 필드 또는 속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세 가지 예제는 모두 유효합니다.

//예제 1: 
[DataContract]
public class LineItem
{
    [DataMember]
    public string ItemNumber;
    [DataMember]
    public decimal Quantity;
    [DataMember]
    public decimal UnitPrice;
}

//예제 2: 
public class LineItem
{
    [DataMember]
    private string itemNumber;
    [DataMember]
    private decimal quantity;
    [DataMember]
    private decimal unitPrice;

    public string ItemNumber
    {
        get
        {
            return this.itemNumber;
        }

        set
        {
            this.itemNumber = value;
        }
    }

    public decimal Quantity
    {
        get
        {
            return this.quantity;
        }

        set
        {
            this.quantity = value;
        }
    }

    public decimal UnitPrice
    {
        get
        {
            return this.unitPrice;
        }

        set
        {
            this.unitPrice = value;
        }
    }
}

//예제 3: 
public class LineItem
{
    private string itemNumber;
    private decimal quantity;
    private decimal unitPrice;

    [DataMember]
    public string ItemNumber
    {
        get
        {
            return this.itemNumber;
        }

        set
        {
            this.itemNumber = value;
        }
    }

    [DataMember]
    public decimal Quantity
    {
        get
        {
            return this.quantity;
        }

        set
        {
            this.quantity = value;
        }
    }

    [DataMember]
    public decimal UnitPrice
    {
        get
        {
            return this.unitPrice;
        }

        set
        {
            this.unitPrice = value;
        }
    }
}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 특성은 형식의 필드 또는 속성을 0개 이상 serialize한다고 표시하지만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은 특정 필드 또는 속성을 serialize한다고 표시합니다.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 특성은 클래스 또는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은 필드 또는 속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특성이 적용되는 필드 및 속성은 공개 필드 및 속성이거나 개인 필드 및 속성일 수 있습니다.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 특성을 가진 형식의 인스턴스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용어로 데이터 계약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인스턴스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를 사용하여 XML로 serialize됩니다.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은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와, 그리고 System.Xml.Serialization 네임스페이스의 다양한 특성과 어떻게 다를까요? 중요한 차이점이 많이 있습니다.

  1.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와 System.Xml.Serialization 네임스페이스의 특성은 XML 스키마에 정의된 유효 형식에 .NET 형식을 매핑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으므로 .NET 형식의 XML 표현 방식을 매우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은 .NET 형식의 XML 표현 방식에 대한 제어를 극히 제한적으로 제공합니다. 형식 및 해당 필드 또는 속성을 XML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네임스페이스와 이름, 그리고 필드와 속성이 XML로 나타나는 순서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DataContract(
    Namespace="urn:Woodgrove:2006:January:29",
    Name="LineItem")]
    public class LineItem
    {
        [DataMember(Name="ItemNumber",IsRequired=true,Order=0)]
        public string itemNumber;
        [DataMember(Name="Quantity",IsRequired=false,Order = 1)]
        public decimal quantity;
        [DataMember(Name="Price",IsRequired=false,Order = 2)]
        public decimal unitPrice;
    }

    .NET 형식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XML 구조에 관한 다른 모든 요소는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로 결정됩니다.

  2. .NET 형식을 XML로 표현하는 방식에 대해 많은 제어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 대해 serialize 프로세스의 예측이 매우 쉽고, 따라서 최적화가 더 용이합니다. 결과적으로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 디자인의 실질적 이점은 약 10% 정도의 성능 향상에 있습니다.
  3. 다음의 두 형식을 비교해 보십시오. 아래의 첫 번째 형식에는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에 의한 serialize 특성이 있습니다.
    [Serializable]
    [XmlRoot(Namespace="urn:Woodgrove:2006:January:29")]
    public class LineItem
    {
        public string ItemNumber;
        public decimal Quantity;
        public decimal UnitPrice;
    } 

    아래의 두 번째 형식에는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서 사용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DataContract(Namespace="urn:Woodgrove:2006:January:29")]
    public class LineItem
    {
        [DataMember]
        public string ItemNumber;
        [DataMember]
        public decimal Quantity;
        [DataMember]
        public decimal UnitPrice;
    }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에서 사용하는 특성은 XML로 serialize될 형식의 필드 또는 속성을 표시하지 않지만,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서 사용하는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은 serialize될 필드 또는 속성을 명시적으로 보여 줍니다. 따라서 데이터 계약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송수신할 데이터의 구조에 관한 명시적 계약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4.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는 .NET 개체의 공개 구성원만 XML로 변환할 수 있지만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는 .NET 개체의 구성원에 대한 액세스 한정자와 관계없이 이러한 구성원을 XML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5. 형식의 비공개 구성원을 XML로 serialize할 수 있기 때문에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는 XML로 serialize할 수 있는 .NET 형식의 다양성에 대한 제한이 더 적습니다. 특히 Systems.Collections.IDictiona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System.Collections.Hashtable과 같은 XML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는 형식의 정의를 수정하거나 형식을 위한 래퍼를 개발하지 않고도 기존 .NET 형식의 인스턴스를 serialize할 수 있는 가능성이 훨씬 더 높습니다.
  6. 그러나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가 형식의 비공개 구성원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 또 다른 결과는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와 달리 완전 신뢰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7.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는 버전 관리를 위한 일부 지원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에는 IsRequired 속성이 있습니다. 이 속성에는 새 버전의 데이터 계약에 추가된, 이전 버전에는 없었던 구성원에 대해 false 값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새 버전의 데이터 계약이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전 버전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계약에서 간단한 System.Runtime.Serialization.IExtensibleDataObjec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가 새 버전의 데이터 계약에 정의된 구성원을 이전 버전의 데이터 계약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에서 기본적으로 형식을 serialize하는 XML은 해당 XML에 대한 네임스페이스가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서 형식을 serialize하는 XML과 의미상 동일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두 serializer에서 사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클래스는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와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서 의미상 동일한 XML로 변환됩니다.

[Serializable]
[XmlRoot(Namespace="urn:Woodgrove:2006:January:29")]
[DataContract(Namespace="urn:Woodgrove:2006:January:29")]
public class LineItem
{
    [DataMember]
    public string ItemNumber;
    [DataMember]
    public decimal Quantity;
    [DataMember]
    public decimal UnitPrice;
}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에는 서비스 모델 메타데이터 도구라고 하는 svcutil.exe 명령줄 도구가 있습니다. svcutil.exe는 ASP.NET 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xsd.exe 도구와 마찬가지로 XML 스키마에서 .NET 데이터 형식의 정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서 XML 스키마에 의해 정의된 형식의 XML을 내보낼 수 있으면 이러한 .NET 데이터 형식은 데이터 계약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형식은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통해 seriallize됩니다. 또한 svcutil.exe 도구와 /dataContractOnly 스위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계약에서 XML 스키마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ASP.NET 웹 서비스에서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사용하고,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ASP.NET 호환 모드를 통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에서 ASP.NET 웹 서비스의 동작을 모방하는 경우에도 ASP.NET 호환 옵션에서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사용하도록 제한되지는 않습니다. ASP.NET 호환 모드에서 실행하는 서비스에서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개발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ASP.NET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단순히 클래스에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을, 서비스의 작업이 되는 해당 클래스의 메서드에 System.Web.Services.WebMethod 특성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WebService]
public class Service : System.Web.Services.WebService
{
    [WebMethod]
    public string Echo(string input) 
    {
        return input;
    }
}

ASP.NET 2.0에서는 다음과 같이 클래스가 아니라 인터페이스에 System.Web.Services.WebServiceSystem.Web.Services.WebMethod 특성을 추가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작성하는 옵션이 새로 제공됩니다.

[WebService]
public interface IEcho
{
    [WebMethod]
    string Echo(string input);
}

public class Service : IEcho
{

    public string Echo(string input)
    {
        return input;
    }
}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을 가진 인터페이스는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에 대한 계약을 설정하며, 같은 계약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다양한 클래스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끝점을 하나 이상 정의함으로써 제공됩니다. 끝점은 주소, 바인딩 및 서비스 계약으로 정의됩니다. 주소는 서비스가 있는 위치를 정의합니다. 바인딩은 서비스와 통신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서비스 계약은 서비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계약은 다음과 같이 .NET 인터페이스에 System.ServiceModel.ServiceContract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ract 특성을 추가함으로써 처음으로 정의됩니다.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Echo
{
    [OperationContract]
    string Echo(string input);
}

System.ServiceModel.ServiceContract 특성은 인터페이스에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 계약을 정의하도록 지정하고, 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ract 특성은 서비스 계약의 작업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있는 경우 해당 메서드를 나타냅니다.

서비스 계약은 일단 정의되면 다음과 같이 클래스가 서비스 계약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클래스에서 구현됩니다.

public class Service : IEcho
{
    
    public string Echo(string input)
    {
        return input;
    }
}

서비스 계약을 구현하는 클래스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용어로 서비스 형식이라고 합니다.

다음 단계는 주소와 바인딩을 서비스 형식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 작업은 일반적으로 파일을 직접 편집하거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구성 편집기를 사용하여 구성 파일에서 수행됩니다. 다음은 구성 파일 예제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ystem.serviceModel>
      <services>
         <service name="Service ">
            <endpoint 
               address="EchoService"
               binding="basicHttpBinding"
               contract="IEchoService "/>
         </service>
      </services>
   </system.serviceModel>
</configuration>

바인딩은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집합을 지정합니다. 다음과 같이 일반 옵션을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여러 가지 바인딩이 있습니다.

이름 목적
BasicHttpBinding WS-Basic Profile 1.1과 Basic Security Profile 1.0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 및 클라이언트와의 상호 운용성
WSHttpBinding HTTP를 통한 WS-*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 및 클라이언트와의 상호 운용성
WSDualHttpBinding 이중 HTTP 통신(초기 메시지의 수신자가 초기 송신자에게 직접 응답하지 않고, 일정 기간에 걸쳐 WS-* 프로토콜을 따르는 HTTP를 통해 원하는 수의 응답을 전송할 수 있음)
WSFederationBinding HTTP 통신(명시적으로 식별된 자격 증명 제공자가 발행한 자격 증명에 따라 서비스의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음)
NetTcpBinding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소프트웨어 엔터티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고성능 통신
NetNamedPipeBinding 같은 컴퓨터에 있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소프트웨어 엔터티 간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고성능 통신
NetMsmqBinding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소프트웨어 엔터티 간의 MSMQ를 통한 통신
MsmqIntegrationBinding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소프트웨어 엔터티와 다른 소프트웨어 엔터티 간의 MSMQ를 통한 통신
NetPeerTcpBinding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소프트웨어 엔터티 간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통한 통신

미리 정의된 바인딩인 System.ServiceModel.BasicHttpBinding은 ASP.NET 웹 서비스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 집합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용 사용자 지정 바인딩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개별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데 사용하는 바인딩 요소 클래스들의 컬렉션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습니다. 새 바인딩 요소를 작성하여 추가 프로토콜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서비스 형식의 내부 동작은 behaviors라는 클래스 모음의 속성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에서는 System.ServiceModel.ServiceBehavior 클래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형식이 멀티스레드 형식이 되도록 지정합니다.

[ServiceBehavior(ConcurrencyMode=ConcurrencyMode.Multiple]
public class DerivativesCalculatorServiceType: IDerivativesCalculator

System.ServiceModel.ServiceBehavior와 같이 프로그래머가 설정할 수 있는 속성이 있는 일부 동작은 특성입니다.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는 속성이 있는 다른 동작은 응용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형식 프로그래밍에서는 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ext 클래스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 클래스의 정적 Current 속성은 작업이 실행되고 있는 컨텍스트에 대한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ext는 System.Web.HttpContext 및 System.EnterpriseServices.ContextUtil 클래스 모두와 비슷합니다.

호스팅

ASP.NET 웹 서비스는 클래스 라이브러리 어셈블리로 컴파일됩니다. 확장명이 .asmx인 서비스 파일이라는 파일이 제공됩니다. 이 파일에는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 및 이 클래스가 있는 어셈블리를 식별하는 @ WebService 지시문이 있습니다.

<%@ WebService Language="C#" Class="Service,ServiceAssembly" %>

서비스 파일은 IIS의 ASP.NET 응용 프로그램 루트에 복사되며, 어셈블리는 이 응용 프로그램 루트의 \bin 하위 디렉터리에 복사됩니다. 그런 다음 응용 프로그램 루트에 있는 서비스 파일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이 응용 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Aaron Skonnard는 자신의 칼럼 (영문)에서 .NET Framework 2.0에서 제공되는 HttpListener 클래스를 사용하여 어떤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든 IIS 외부에서 ASP.NET 웹 서비스를 호스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Skonnard는 이를 위한 작업은 '간단하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영문)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는 IIS 5.1이나 6.0, IIS 7의 일부로 제공될 WAS(Windows Activation Service), 그리고 모든 .NET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즉시 호스트가 가능합니다. IIS 5.1 또는 6.0에서 서비스를 호스트하려면 이 서비스가 HTTP를 통신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해야 합니다.

IIS 5.1, IIS 6.0 또는 WAS에서 서비스를 호스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1. 서비스 형식을 클래스 라이브러리 어셈블리로 컴파일합니다.
  2. 다음과 같은 서비스 형식을 식별하는 @ ServiceHost 지시문을 포함하는 서비스 파일을 확장명 .svc로 만듭니다.
    <%@ServiceHost language="c#" Service="MyService" %>
    
  3. 서비스 파일을 가상 디렉터리에 복사하고 어셈블리를 이 가상 디렉터리의 \bin 하위 디렉터리에 복사합니다.
  4. 구성 파일을 가상 디렉터리에 복사하고 파일 이름을 Web.config로 지정합니다.

그러면 응용 프로그램 루트에 있는 서비스 파일의 URL을 통해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를 호스트하려면 서비스 형식을 이 응용 프로그램에서 참조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 어셈블리로 컴파일하고,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System.ServiceModel.ServiceHost 클래스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호스트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합니다. 다음은 필요한 간단한 프로그래밍 예제입니다.

string httpBaseAddress = "http://www.woodgrove.com:8000/";
string tcpBaseAddress = "net.tcp://www.woodgrove.com:8080/";

Uri httpBaseAddressUri = new Uri(httpBaseAddress);
Uri tcpBaseAddressUri = new Uri(tcpBaseAddress);

Uri[] baseAdresses = new Uri[] { 
    httpBaseAddressUri,
    tcpBaseAddressUri};

using(ServiceHost host = new ServiceHost(
typeof(Service), //"Service" is the name of the service type    baseAdresses))
{
    host.Open();

    [...] //Wait to receive messages
    host.Close();
}

이 예제에서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System.ServiceModel.ServiceHost 생성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주소가 지정되는 방식을 보여 줍니다. 이러한 주소를 기준 주소라고 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의 끝점에 제공되는 주소는 끝점의 호스트에 대한 기준 주소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주소입니다. 호스트에는 통신 전송 프로토콜당 하나의 기준 주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끝점의 주소는 호스트의 기준 주소 중 끝점의 통신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기준 주소의 상대 주소입니다. 위에 있는 구성 파일의 예제에서 끝점으로 선택된 System.ServiceModel.BasicHttpBinding은 HTTP를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하므로 EchoService 끝점의 주소는 호스트의 HTTP 기준 주소의 상대 주소입니다. 위 예제에서 호스트의 경우 HTTP 기준 주소는 http://www.woodgrove.com:8000/입니다. IIS 또는 WAS에서 호스트되는 서비스의 기준 주소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파일의 URL입니다.

IIS 또는 WAS에서 호스트되고 전송 프로토콜로 HTTP만 사용하도록 구성된 서비스만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ASP.NET 호환 모드 옵션을 사용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려면 다음의 두 단계가 필요합니다.

  1. 프로그래머는 다음과 같이 System.ServiceModel.AspNetCompatbilityRequirements 특성을 서비스 형식에 추가하여 ASP.NET 호환 모드가 허용되는지 또는 필수인지 지정해야 합니다.
    [System.ServiceModel.AspNetCompatibilityRequirements(
            RequirementsMode=AspNetCompatbilityRequirementsMode.Require)]
    public class DerivativesCalculatorServiceType: IDerivativesCalculator
  2. 관리자는 다음과 같이 ASP.NET 호환 모드를 사용하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합니다.
    <configuration>
       <system.serviceModel>
          <services>
             [...]
          </services>
    <serviceHostingEnvironment aspNetCompatibilityEnabled="true"/>
       </system.serviceModel>
    </configuration>

또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은 서비스 파일의 확장명을 .svc가 아닌 .asmx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system.web>
   <compilation>
      <compilation debug="true">
         <buildProviders>
            <remove extension=".asmx"/>
            <add extension=".asmx" 
               type="System.ServiceModel.ServiceBuildProvider, 
               Systemm.ServiceModel, 
               Version=3.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
         </buildProviders>
      </compilation>
   </compilation>
</system.web>

이 옵션을 사용하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도록 서비스를 수정할 때 .asmx 서비스 파일의 URL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클라이언트를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클라이언트 개발

ASP.NET 웹 서비스용 클라이언트는 .asmx 파일의 URL을 입력으로 제공하는 wsdl.exe 명령줄 도구를 사용하여 생성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이와 유사한 도구는 svcutil.exe입니다. 이 도구는 서비스 계약과 프록시 클래스에 대한 정의를 포함한 코드 모듈을 생성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주소와 바인딩을 포함한 구성 파일도 생성합니다.

원격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할 때 일반적으로 비동기 패턴에 따라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좋습니다. wsdl.exe 도구로 생성되는 코드는 기본적으로 항상 동기 패턴과 비동기 패턴을 모두 제공합니다. svcutil.exe 도구로 생성되는 코드는 둘 중 한 패턴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기본적으로 동기 패턴을 제공합니다. 이 도구를 /async 스위치와 함께 실행하면 생성된 코드에서 비동기 패턴을 제공합니다.

ASP.NET의 wsdl.exe 도구로 생성되는 프록시 클래스의 이름이 기본적으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svcutil.exe 도구로 생성되는 프록시 클래스의 이름과 일치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특히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사용하여 serialize되어야 하는 클래스의 속성 이름에는 기본적으로 svcutil.exe 도구로 생성되는 코드에서 Property 접미사가 제공되지만 wsdl.exe 도구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메시지 표현

ASP.NET 웹 서비스에서 송수신되는 SOAP 메시지 헤더는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System.Web.Services.Protocols에서 클래스가 파생되어 헤더의 구조가 정의된 다음 System.Web.Services.SoapHeader 특성이 헤더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ublic class SomeProtocol : SoapHeader
{
    public long CurrentValue;
    public long Total;
}

[WebService]
public interface IEcho
{
    SomeProtocol ProtocolHeader
    {
       get;
   set;
    }

    [WebMethod]
    [SoapHeader("ProtocolHeader")]
    string PlaceOrders(PurchaseOrderType order);
}

public class Service: WebService, IEcho
{
    private SomeProtocol protocolHeader;
    
    public SomeProtocol ProtocolHeader
    {
      get
      {
        return this.protocolHeader;
      }
      
      set
      {
        this.protocolHeader = value;
      }
    }
    
    string PlaceOrders(PurchaseOrderType order)
    {
      long currentValue = this.protocolHeader.CurrentValue;
    }
}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다음과 같이 System.ServiceModel.MessageContract, System.ServiceModel.MessageHeader, System.ServiceModel.MessageBody 특성을 제공하여 서비스에서 송수신되는 SOAP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합니다.

[DataContract]
public class SomeProtocol
{
    [DataMember]
    public long CurrentValue;
    [DataMember]
    public long Total;
}

[DataContract]
public class Item
{
    [DataMember]
    public string ItemNumber;
    [DataMember]
    public decimal Quantity;
    [DataMember]
    public decimal UnitPrice;
}

[MessageContract]
public class ItemMesage
{
    [MessageHeader]
    public SomeProtocol ProtocolHeader;
    [MessageBody]
    public Item Content;
}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ItemService
{
    [OperationContract]
    public void DeliverItem(ItemMessage itemMessage);
}

이 구문은 메시지 구조의 명시적인 표현을 나타내지만 메시지의 구조는 ASP.NET 웹 서비스 코드로 암시될 뿐입니다. 또한 ASP.NET 구문에서는 메시지 헤더가 위 예제의 ProtocolHeader 속성과 같은 서비스 속성으로 나타나지만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구문에서는 메시지 속성으로 더욱 정확하게 나타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끝점 구성에 메시지 헤더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service name="Service ">
   <endpoint 
      address="EchoService"
      binding="basicHttpBinding"
      contract="IEchoService ">
      <headers>
         <dsig:X509Certificate 
            xmlns:dsig="http://www.w3.org/2000/09/xmldsig#">
               ...
         </dsig:X509Certificate>
      </headers>
   </endpoint>
</service>

이 옵션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또는 서비스에 대한 코드에서 기반 프로토콜 헤더를 참조할 필요가 없습니다. 끝점 구성 방식에 의해 헤더가 메시지에 간단히 추가됩니다.

서비스 설명

wsdl 쿼리를 사용하여 ASP.NET 웹 서비스의 .asmx 파일에 대해 HTTP GET 요청을 발행하면 ASP.NET에서 해당 서비스를 설명하는 WSDL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WSDL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반환됩니다.

ASP.NET 2.0을 통해 서비스가 WS-I(Web Services-Interoperability Organization) Basic Profile 1.1과 호환되는지 확인하고 서비스가 WSDL과 호환된다는 문구를 넣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WebServiceBinding 특성의 ConformsTo와 EmitConformanceClaims 매개 변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WebService(Namespace = "http://tempuri.org/")]
[WebServiceBinding(
    ConformsTo = WsiProfiles.BasicProfile1_1,
    EmitConformanceClaims=true)]
public interface IEcho

ASP.NET에서 서비스에 대해 생성하는 WSDL은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System.Web.Services.Description.ServiceDescriptionFormatExtension의 하위 클래스를 만들어 WSDL에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IIS 5.1, 6.0 또는 WAS에서 호스트되는 HTTP 끝점이 있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의 .svc 파일에 대해 wsdl 쿼리를 사용하여 HTTP GET 요청을 발행하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해당 서비스를 설명하는 WSDL로 응답하게 됩니다.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호스트되는 서비스의 HTTP 기준 주소에 대해 wsdl 쿼리를 사용하여 HTTP GET 요청을 발행해도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WS-MetadataExchange 요청에 대해서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생성하는 WSDL로 응답합니다. ASP.NET 웹 서비스는 WS-MetadataExchange 요청에 대한 지원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생성하는 WSDL은 광범위하게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System.ServiceModel.ServiceMetadataBehavior 클래스는 WSDL을 사용자 지정하기 위한 몇 가지 기능을 제공하며 System.ServiceModel.Design.IWsdlExporter 구현을 개발하여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이 WSDL을 생성하지 않고 지정된 URL에서 정적 WSDL 파일을 사용하도록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behaviors>
   <serviceBehaviors>
      <behavior name="DescriptionBehavior">
        <metadataPublishing 
        enableMetadataExchange="true" 
        enableGetWsdl="true" 
        enableHelpPage="true" 
        metadataLocation=
        "http://localhost/DerivativesCalculatorService/Service.wsdl"/>
      </behavior>
   </serviceBehaviors>
</behaviors>

예외 처리

ASP.NET 웹 서비스에서는 처리되지 않는 예외는 클라이언트에 SOAP 오류로 반환됩니다. 또한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Exception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명시적으로 발생시켜 클라이언트에 전송되는 SOAP 오류의 내용에 대한 제어 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에서는 중요한 정보가 예외를 통해 우발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되지 않은 예외가 클라이언트에 SOAP 오류로 반환되지 않습니다. 디버깅을 위해 처리되지 않은 예외가 클라이언트에 반환되도록 하는 구성 설정이 제공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프로그래머는 의도적으로 클라이언트에 SOAP 오류를 반환하기 위해 generic 형식의 System.ServiceModel.FaultException<T> 인스턴스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서 T는 데이터 계약이어야 합니다. 또한 프로그래머는 다음과 같이 System.ServiceModel.FaultContract 특성을 작업에 추가하여 작업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오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DataContract]
public class MathFault
{    
    [DataMember]
    public string operation;
    [DataMember]
    public string problemType;
}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Calculator
{
    [OperationContract]
    [FaultContract(typeof(MathFault))]
    int Divide(int n1, int n2);
}

이렇게 하면 가능한 오류가 서비스에 대한 WSDL에 알려지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가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정확히 예상하고 다음과 같이 적절한 catch 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try
{
    result = proxy.Divide(value1, value2);
}
catch (FaultException<MathFault> e)
{
    Console.WriteLine("FaultException<MathFault>: Math fault while doing " 
      + e.Detail.operation 
      + ". Problem: " 
      + e.Detail.problemType);
}

상태 관리

ASP.NET 웹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WebService에서 파생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Service : WebService, IEcho
{

    public string Echo(string input)
    {
        return input;
    }
}

이러한 경우 System.Web.Services.WebService 기본 클래스의 Context 속성을 사용하여 System.Web.HttpContext 개체에 액세스하도록 클래스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System.Web.HttpContext 개체를 사용하여 Application 속성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상태 정보를, Session 속성을 통해 세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ASP.NET에서는 System.Web.HttpContext의 Session 속성을 통해 액세스되는 세션 상태 정보가 실제로 저장되는 위치를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세션 상태 정보는 쿠키, 데이터베이스, 현재 서버의 메모리 또는 지정된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저장 위치는 서비스의 구성 파일에서 선택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상태 관리를 위한 확장 가능한 개체를 제공합니다. 확장 가능한 개체는 System.ServiceModel.IExtensibleObject<T>를 구현하는 개체입니다. 가장 중요한 확장 가능한 개체는 System.ServiceModel.ServiceHostBaseSystem.ServiceModel.InstanceContext입니다. 전자를 사용하면 같은 호스트에 있는 모든 서비스 형식의 모든 인스턴스에서 액세스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후자를 사용하면 서비스 형식의 같은 인스턴스 내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액세스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TradingSystem 서비스 형식에는 같은 프록시 인스턴스의 모든 호출이 서비스 형식의 같은 인스턴스로 라우팅되도록 지정하는 System.ServiceModel.ServiceBehavior 특성이 있습니다.

[ServiceBehavior(InstanceContextMode = InstanceContextMode.PerSession)]
public class TradingSystem: ITradingService

DealData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 형식의 같은 인스턴스 내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액세스할 수 있는 상태를 정의합니다.

internal class DealData: IExtension<InstanceContext>
{
    public string DealIdentifier = null;
    public Trade[] Trades = null;
}

서비스 계약의 작업 중 하나를 구현하는 서비스 형식의 코드에서 DealData 상태 개체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 형식의 현재 인스턴스에 대한 상태에 추가됩니다.

string ITradingService.BeginDeal()
{
    string dealIdentifier = Guid.NewGuid().ToString();
    DealData state = new DealData(dealIdentifier);
    OperationContext.Current.InstanceContext.Extensions.Add(state);
    return dealIdentifier;
}

그런 다음 이 상태 개체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 계약의 작업 중 다른 하나를 구현하는 코드로 검색 및 수정이 가능하게 됩니다.

void ITradingService.AddTrade(Trade trade)
{
    DealData dealData =      OperationContext.Current.InstanceContext.Extensions.Find<DealData>();
    dealData.AddTrade(trade);
}

ASP.NET에서 System.Web.HttpContext 클래스의 상태 정보가 실제로 저장되는 위치를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적어도 초기 버전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확장 가능한 개체가 저장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를 위해 ASP.NET 호환 모드를 선택하는 가장 정당한 이유가 됩니다. 구성 가능한 상태 관리가 필수적인 경우 ASP.NET 호환 모드를 채택함으로써 System.Web.HttpContext 클래스의 기능을 ASP.NET에서와 똑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System.Web.HttpContext 클래스를 통해 관리되는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보안

ASP.NET 웹 서비스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옵션은 대개 IIS 응용 프로그램의 보안을 유지하는 옵션과 같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은 IIS뿐만 아니라 .NET 실행 파일 내에서도 호스트될 수 있기 때문에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옵션은 IIS의 기능에 독립적으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ASP.NET 웹 서비스에 제공되는 기능은 ASP.NET 호환 모드에서 실행되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 인증

IIS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이 기능을 통해 익명 액세스 또는 Windows 인증, 다이제스트 인증, 기본 인증, .NET Passport 인증 등 다양한 모드의 인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인증 옵션을 사용하면 ASP.NET 웹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이 IIS 내에서 호스트되는 경우에는 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익명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IIS를 구성하여 다양한 다른 옵션과 함께 Windows 인증을 지원하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자체에서 인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기본 제공되는 다른 옵션에는 사용자 이름 토큰, X.509 인증서, SAML 토큰 및 InfoCard가 있으며 사용자 지정 인증 메커니즘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ASP.NET 2.0의 System.Web.HttpContext 클래스에는 특정 종류의 저장소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읽는 방법을 아는 System.Web.Profile.Provider 클래스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는 Profile 속성이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동작에서 System.Web.Profile.Provider 클래스를 사용하여 프로필 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이러한 ASP.NET 2.0 메커니즘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ASP.NET 호환 모드인 경우를 제외하면 지원되지 않습니다.

보안: 가장

ASP.NET에서는 ASP.NET 웹 서비스가 특정 사용자로, 또는 현재 요청에서 제공된 사용자의 자격 증명으로 가장할 수 있도록 하는 ID 요소를 제공합니다. 이 요소를 사용하면 ASP.NET 호환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에서 가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구성 시스템은 가장할 특정 사용자를 지정하기 위한 자체 ID 요소를 제공합니다. 또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클라이언트 및 서비스는 가장을 위해 별도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전송할 때 현재 사용자로 가장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습니다.

<behaviors>
   <endpointBehaviors>
      <behavior name="DerivativesCalculatorClientBehavior">
         <clientCredentials>
            <windows allowedImpersonationLevel="Impersonation"/>
         </clientCredentials>
      </behavior>
   </endpointBehaviors>
</behaviors>

서비스 작업은 현재 요청에서 제공된 사용자의 자격 증명으로 가장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습니다.

[OperationBehavior(Impersonation = ImpersonationOption.Required)]
public void Receive(Message input)

보안: ACL을 사용한 인증

ACL(액세스 제어 목록)을 사용하면 .asmx 파일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svc 파일에 대한 ACL은 ASP.NET 호환 모드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시됩니다.

보안: 역할 기반 인증

IIS Windows 인증 옵션을 ASP.NET 구성 언어로 제공되는 인증 요소와 함께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지정된 Windows 그룹 기반의 ASP.NET 웹 서비스에 대한 역할 기반 인증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ASP.NET 2.0에는 더 포괄적인 역할 기반 인증 메커니즘인 역할 공급자가 도입되었습니다.

모든 역할 공급자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역할을 쿼리하기 위한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이지만, 각 역할 공급자는 서로 다른 출처에서 해당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ASP.NET 2.0은 Microsoft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에서 역할 지정을 검색할 수 있는 역할 공급자와 Windows Server 2003 권한 부여 관리자에서 역할 지정을 검색할 수 있는 역할 공급자를 제공합니다.

실제로 역할 공급자 메커니즘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ASP.NET과 별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System.ServiceModel.ServiceAuthorization 동작을 통해 ASP.NET 역할 공급자를 사용하는 옵션이 선택되는 방식을 보여 주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의 샘플 구성입니다.

<system.serviceModel>
  <services>
    <service name="Service.ResourceAccessServiceType" 
     behaviorConfiguration="ServiceBehavior">
     <endpoint 
       address="ResourceAccessService" 
      binding="wsHttpBinding" 
      contract="Service.IResourceAccessContract"/>
    </service>
  </services>
  <behaviors>
   <serviceBehaviors>
        <behavior name="ServiceBehavior">
          <serviceAuthorization principalPermissionMode="UseAspNetRoles"/>
        </behavior>
      </serviceBehaviors>
   </behaviors>
</system.serviceModel>

보안: 클래임 기반 인증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가장 중요한 기술 혁신 중 하나는 클래임에 기반하여 보호되는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인증을 완벽하게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클래임은 형식, 권한 및 값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운전 면허증을 생각해 보십시오. 운전 면허증은 소지인에 대한 클래임 집합으로 구성되는데, 그 중 하나는 소지인의 생년월일입니다. 이 클래임의 형식은 생년월일이며, 값은 운전자의 생년월일입니다. 클래임이 소지인에게 부여하는 권한은 소지인이 클래임 값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지정합니다. 운전자의 생년월일에 대한 클래임의 경우 권한은 단순한 소유입니다. 운전자는 해당 생년월일을 소유하고 있지만 변경하는 등의 작업은 할 수 없습니다. 역할은 단순히 클래임의 한 형식이기 때문에 클래임 기반 인증은 역할 기반 인증을 포함합니다.

클래임 기반 인증은 클래임 집합을 작업의 액세스 요구 사항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작업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거나 거부함으로써 수행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다음과 같이 System.ServiceModel.Description.ServiceAuthorizationBehaviorServiceAuthorizationManager 속성에 값을 다시 한 번 지정함으로써 클래임 기반 인증을 실행하는 데 사용할 클래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behaviors>
  <serviceBehaviors>
    <behavior name='ServiceBehavior'>
   <serviceAuthorization 
        serviceAuthorizationManagerType='Service.AccessChecker, Service' />
    </behavior>
  </serviceBehaviors>
</behaviors>

클래임 기반 인증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클래스는 System.ServiceModel.ServiceAuthorizationManager에서 파생되어야 하며, 여기에서 다시 정의할 유일한 메서드는 AccessCheck() 메서드입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서비스의 작업이 호출될 때마다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ext 개체를 제공하며, 이 개체의 ServiceSecurityContext.AuthorizationContext 속성에는 사용자에 대한 클래임이 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제공한 보안 토큰이 어떤 것이든 이 토큰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클래임을 조합하는 작업을 이미 완료한 상태이며, 이러한 클래임이 요청한 작업에 충분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간단한 작업만 남게 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이 어떤 종류의 보안 토큰으로든 자동으로 클래임을 조합한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혁신입니다. 클래임 기반 인증을 위한 코드를 인증 메커니즘과는 완전히 별개로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반면 ASP.NET에서 ACL 또는 역할을 사용하는 인증은 Windows 인증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보안: 기밀성

ASP.NET 웹 서비스와 교환되는 메시지의 기밀성은 IIS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HTTPS(Secure 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송 수준에서 보장할 수 있습니다. IIS에서 호스트되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편 IIS의 외부에서 호스트되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도 보안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메시지가 WS-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기 전에 메시지의 보안을 유지하도록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WS-Security를 사용하여 메시지 본문의 보안만 유지하면 메시지가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중간 단계를 거쳐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세계화

ASP.NET 구성 언어를 사용하면 개별 서비스의 culture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ASP.NET 호환 모드인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구성 설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ASP.NET 호환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를 지역화하려면 서비스 형식을 culture별 어셈블리로 컴파일하고 각 culture별 어셈블리가 별도의 culture별 끝점을 갖도록 합니다.

내부 아키텍처

ASP.NET 웹 서비스

최신 ASP.NET 구현에서 HTTP 요청은 http.sys라는 Windows 커널의 HTTP 구현에서 System.Web.HttpWorkerRequest 개체 형식으로 수신됩니다. System.Web.HttpWorkerRequest 개체는 System.Web.HttpRuntime 개체에 수신되며, 이 개체는 System.Web.HttpWorkerRequest의 데이터로 System.Web.HttpContext 개체를 채웁니다. 요청은 System.Web.HttpRequest 개체인 Request 속성으로 System.Web.HttpContext 개체에 통합됩니다.

.asmx 파일로 배달된 HTTP POST 요청을 나타내는 System.Web.HttpRequest 개체는 기본적으로 System.Web.IHttpHandl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개체에 전달됩니다(Skonnard 2003, 2004). 이 개체는 System.Web.Services.Protocols.WebServiceHandlerFactory 클래스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라고도 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ASP.NET 호환 모드로 구성되면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의 동작을 모방하는 System.Web.IHttpHandler의 구현을 제공합니다.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는 적어도 4가지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첫째, HTTP 요청에 통합된 SOAP 메시지를 개발자가 제공하는 SOAP E\extensions의 인스턴스에 전달해야 합니다(Meier, Vasireddy, Babbar 및 Mackman 2004). 둘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asmx 파일에 참조된 클래스의 메서드 중 호출할 메서드를 결정해야 합니다. 셋째, 메서드에서 매개 변수로 예상하는 형식의 인스턴스로 요청이 deserialize되도록 해야 합니다. 넷째, 실제로 메서드를 호출하여 요청으로부터 deserialize한 매개 변수를 이 메서드에 전달해야 합니다.

SOAP 확장은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Extension에서 파생된 형식입니다. 이 확장은 SOAP 메시지가 처리를 위해 .asmx 파일에서 참조되는 클래스의 메서드로 전달되기 전에 요청에 있는 SOAP 메시지를 액세스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이 확장은 응답 메시지를 액세스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서버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에도 배포될 수 있습니다. SOAP 확장의 일반적 용도는 메시지 로깅 및 암호화입니다. SOAP 확장은 컴퓨터에 배포된 모든 서비스 또는 개별 서비스에 적용되거나, 사용자 지정 System.Web.Services.SoapExtension 특성을 사용하여 서비스의 특정 작업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는 기본적으로 SOAPAction 헤더를 사용하여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호출할 클래스의 메서드를 결정합니다. 기본적으로 요청 처리기는 서비스의 네임스페이스와 작업의 이름 순서로 구성된 SOAPAction HTTP 헤더를 예상합니다. 서비스의 기본 네임스페이스는 http://tempuri.org/이며, 작업의 기본 이름은 해당 작업을 정의하는 메서드의 이름입니다. 다음은 HTTP 요청을 처리하는 예제입니다.

POST /asmxservice/service.asmx HTTP/1.1
User-Agent: Mozilla/4.0 
Content-Type: text/xml; charset=utf-8
SOAPAction: "http://tempuri.org/Echo"
Host: localhost
Content-Length: 314
Expect: 100-continue
Connection: Keep-Alive

<?xml version="1.0" encoding="UTF-8" ?> 
<soap:Envelope xmlns:soap="http://schemas.xmlsoap.org/soap/envelop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xsd="http://www.w3.org/2001/XMLSchema">
<soap:Body>
<Echo xmlns="http://tempuri.org/">
<input>Hello, World
</input> 
</Echo>
</soap:Body>
</soap:Envelope>

예제에서 HTTP 요청을 처리할 때 요청 처리기는 http://localhost/asmxservice/service.asmx에 있는 파일의 @_WebService 지시문에서 참조되는 클래스가 작업 이름이 Echo인 기본 네임스페이스를 가진 서비스를 정의한다고 예상합니다. 또한 이 요청 처리기는 기본적으로 해당 작업이 Echo라는 클래스의 메서드로 구현된다고 예상하며, 해당 메서드를 호출하여 요청을 처리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모든 동작은 다음과 같이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요청 처리기에서 SOAPAction HTT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SOAP 메시지 본문 요소의 정규화된 요소 이름을 사용하여 호출할 메서드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앞의 HTTP 요청 예제에서 본문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Echo xmlns="http://tempuri.org/">
[...]
</soap:Body>

정규화된 요소 이름은 http://tempuri.org/Echo입니다. 이 요소 이름은 SOAPAction HTTP 헤더와 같기 때문에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에서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이 이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는 명백합니다. 요청 처리기에서 SOAPAction HTTP 헤더가 아닌 SOAP 메시지 본문 요소의 정규화된 이름을 사용하도록 하려면 서비스를 구현하는 클래스에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Service 특성을 적용하고 RequestElement를 라우팅 스타일로 지정합니다. 즉 다음과 같습니다.

[SoapDocumentService(RoutingStyle = SoapServiceRoutingStyle.RequestElement)]
public class Service : WebService, IEcho

또한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 특성의 RequestElementName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메서드 이름과는 다른 SOAP 메시지 본문 요소의 로컬 이름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WebMethod]
[SoapDocumentMethod(RequestElementName="OtherName")]
string Echo(string input);

그러면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에서 SOAP 메시지 본문 요소의 로컬 이름을 메서드 이름에 직접 일치시키지 않고 해당 메서드에 적용된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 특성의 RequestElementName 매개 변수 값에 일치시킵니다.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의 Namespace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ASP.NET 웹 서비스의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기본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WebService(Namespace = "http://www.woodgrove.com/2006/01/29/")]
public interface IEcho

여기서는 이 매개 변수의 값이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에 대해 수정된 것으로 보이지만, 유감스럽게도 버그로 인해 실제로 매개 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클래스가 아닌 인터페이스에 이 특성이 적용될 때는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작업 이름은 해당 작업을 구현하는 메서드의 이름과 다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WebMethod 특성의 MessageName 매개 변수 값을 지정하면 됩니다.

[WebMethod(MessageName="OtherName")]
string Echo(string input);

이 기능은 다음과 같이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의 다형적 메서드를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bMethod(MessageName="OtherName")]
string Echo(string input);
[WebMethod]
string[] Echo(string[] inputs);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 특성을 메서드에 추가하여 이 특성의 Action 매개 변수에 대한 값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WebMethod]
[SoapDocumentMethod(Action="urn:echoing:echo")]
string Echo(string input);

이러한 모든 메서드에 대해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는 SOAPAction HTTP 헤더를 서비스의 네임스페이스와 작업 이름으로 분해하여 대상 메서드를 식별하려고 시도하지 않고, 단지 SoapDocumentMethod 특성의 Action 매개 변수에 대해 지정된 값과 일치시킵니다.

일단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에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asmx 파일에서 참조된 클래스의 메서드 중 호출할 메서드를 식별하면 해당 요청은 이 메서드에서 매개 변수로 예상하는 형식의 인스턴스로 deserialize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가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요청 처리기는 요청에 통합된 SOAP 메시지가 WSDL 1.1 사양의 문서 스타일과 일치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스타일의 메시지에는 임의의 스키마에 따라 구조화된 본문 요소가 있으며, 요청 처리기는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사용하여 해당 본문 요소를 .NET 형식으로 deserialize합니다. 다음은 작업 예제입니다.

[WebMethod]
PurchaseOrderConfirmationType PlaceOrders(PurchaseOrderType order); 

위 작업에서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는 다음과 같은 문서 스타일의 SOAP 메시지를 예상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oap:Envelope xmlns:s1="urn:Woodgrove:2006:January:29" xmlns:soap="http://schemas.xmlsoap.org/soap/envelope/" 
xmlns:tns="http://tempuri.org/" 
xmlns:xs="http://www.w3.org/2001/XMLSchema">
   <soap:Body>
      <tns:PlaceOrders>
         <s1:PurchaseOrder>
            <s1:Date>2006-01-31</s1:Date>
            <s1:LineItems>
               <s1:LineItem>
                  <s1:ItemNumber>1</s1:ItemNumber>
                  <s1:Quantity>1</s1:Quantity>
                  <s1:UnitPrice>50.00</s1:UnitPrice>
               </s1:LineItem>
            </s1:LineItems>
            <s1:Total>50.00</s1:Total>
         </s1:PurchaseOrder>
      </tns:PlaceOrders>
   </soap:Body>
</soap:Envelope>

여기서 요소 이름은 deserialize될 형식의 이름을 식별합니다. 이 메커니즘도 다음과 같이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1. 형식의 이름이 SOAP 메시지의 구성 요소에 매핑되는 방식은 System.Xml.XmlElementSystem.Xml.XmlAttribute 특성을 메서드의 매개 변수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System.Xml.XmlElement 특성은 다음과 같이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에서 형식을 deserialize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XML 요소의 이름을 제어합니다.
    [WebMethod]
    PurchaseOrderType PlaceOrders
    (
        [XmlElement("OrderParameter")]
        PurchaseOrderType order
    );

    System.Xml.XmlAttribute 특성이 매개 변수에 추가된 경우 요청 처리기는 해당 매개 변수를 XML 요소가 아닌 XML 특성에서 deserialize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2. 요청에 통합된 SOAP 메시지가 문서 스타일과 일치할 것이라는 ASP.NET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의 기본 예상을 변경하여 해당 SOAP 메시지가 WSDL 1.1 사양의 RPC 스타일과 일치할 것이라고 예상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전체 서비스에 대해 SoapRpcService 특성을 사용하거나, 개별 메서드에 대해 SoapRpcMethod 특성을 사용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PC 스타일 사용은 WS-I Basic Profile 1.1에 포함되지 않고, 따라서 상호 운용성을 낮추기 때문에 이 옵션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클라이언트에 사용되는 서비스의 프록시 클래스는 이 클래스의 메서드로 전달되는 매개 변수를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 개체로 serialize합니다. 그러면 해당 개체는 선택한 바인딩으로 수 및 성격이 결정되는 일련의 채널을 통해 전달됩니다. 이 채널은 일반적으로 해당 채널에서 구현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 개체의 Headers 컬렉션에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Header 개체를 추가합니다. 일련의 채널에서 마지막 채널은 항상 전송 채널입니다. 전송 채널은 바인딩으로도 성격이 결정되는 인코더를 사용하여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 개체를 전송 채널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바이트 스트림으로 serialize합니다. 서버의 수신기는 바이트 스트림을 받은 다음 인코더를 사용하여 바이트 스트림을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 개체로 deserialize합니다. 그 다음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채널과 일치하는 일련의 채널을 통해 해당 개체가 전달됩니다. 그런 다음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 개체가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 개체로 전달됩니다.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 개체는 호출될 서비스 형식의 메서드를 결정하고 System.ServiceModel.Channels.Message 개체의 데이터를 해당 메서드에서 매개 변수로 예상하는 형식의 인스턴스로 deserialize하고 해당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데이터 전송을 전달하게 되는 채널의 선택과 작업을 서비스 바인딩을 통해 사용자 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지정 채널도 손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록시 및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 작업도 이러한 동작을 통해 조정하거나 전체적으로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즉, ASP.NET에서는 웹 서비스 요청 처리기를 제어하기 위해 많은 특성을 제공하는 반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이와 비슷한 특성 집합뿐만 아니라 프록시 및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지정 코드 형식의 스와핑 옵션도 제공합니다.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호출되는 서비스 형식의 메서드를 결정할 때 SOAPAction 헤더를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작업에 대한 SOAPAction 헤더는 서비스의 네임스페이스, 서비스 계약 이름, 작업 이름 순서로 구성됩니다. 서비스 계약의 기본 네임스페이스는 http://tempuri.org/입니다. 서비스 계약의 기본 이름은 해당 서비스 계약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클래스의 이름이며, 작업의 기본 이름은 해당 작업을 구현하는 메서드의 이름입니다. 다음은 작업 예제입니다.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DerivativesCalculator
{
    [OperationContract]
    decimal CalculateDerivative(
        string[] symbols,
        decimal[] parameters,
        string[] functions);

}

위 작업의 경우 SOAPAction 헤더는 http://tempuri.org/IDerivativesCalculator/CalculateDerivative가 됩니다. 다음과 같이 네임스페이스와 서비스 계약의 이름은 System.ServiceModel.ServiceContract 특성의 Namespace 및 Name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기본 이름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작업 이름은 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ract 특성의 Name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기본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ServiceContract(Namespace="OtherNamespace",Name="OtherContractName"]
public interface IDerivativesCalculator
{
    [OperationContract(Name="OtherOperationName")]
    decimal CalculateDerivative(
        string[] symbols,
        decimal[] parameters,
        string[] functions);
}

System.ServiceModel.Message 개체의 데이터를 deserialize할 때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은 기본적으로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를 사용합니다. XML 요소의 이름을 deserialize되는 클래스와 일치시키기 위한 System.ServiceModel.DataContractSystem.ServiceModel.DataMember 특성의 Namespace 및 Name 매개 변수의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System.ServiceModel.XmlSerializerFormat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System.ServiceModel.Dispatcher.DispatchRuntime에서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를 사용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ServiceContract, XmlSerializerFormat]
public interface IEcho

이 특성은 서비스의 개별 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deserialization에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System.ServiceModel.DataContractFormat 특성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문서 스타일 과 RPC 스타일 중 어느 것으로 예상되는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특성은 다음과 같이 서비스 계약 전체 또는 서비스 계약의 개별 작업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ServiceContract]
public interface IItemService
{
    [OperationContract]
    [DataContractFormat(Style=OperationFormatStyle.Rpc)]
    public void DeliverItem(ItemMessage itemMessage);
}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을 위한 사전 준비: 향후 통합 간소화

현재 ASP.NET을 사용 중이고 앞으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할 예정이라면 새 ASP.NET 웹 서비스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과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지침을 따릅니다.

일반 권장 사항

새로운 모든 서비스에 대해 ASP.NET 2.0을 채택합니다. ASP.NET 2.0을 채택하면 물론 새 버전의 개선된 기능과 향상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ASP.NET 2.0 구성 요소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구성 요소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프로토콜

WS-I Basic Profile 1.1에 대한 부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ASP.NET 2.0의 새로운 기능을 사용합니다.

[WebService(Namespace = "http://tempuri.org/")]
[WebServiceBinding(
    ConformsTo = WsiProfiles.BasicProfile1_1,
    EmitConformanceClaims=true)]
public interface IEcho

이 프로필을 따르는 ASP.NET 웹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상호 운용성이 더 높고, 미리 정의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바인딩인 System.ServiceModel.BasicHttpBinding을 통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클라이언트와 상호 운용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개발

메시지를 SOAPAction HTTP 헤더가 아닌 SOAP 메시지 본문 요소의 정규화된 이름을 기반으로 발송하려면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Service 특성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SOAPAction HTTP 헤더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메서드로 발송합니다.

데이터 표현

System.Xml.Serialization.XmlSerializer에서 기본적으로 형식을 serialize하는 XML은 해당 XML의 네임스페이스가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Formatter에서 형식을 serialize하는 XML과 의미상 동일하다는 점을 상기하십시오. 따라서 앞으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할 예정이면서 현재 ASP.NET 웹 서비스에 사용할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는 경우에는 다음을 수행하십시오.

  1. XML 스키마가 아닌 .NET 클래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형식을 정의합니다.
  2. System.Serializable 특성 및 System.Xml.Serialization.XmlRoot 특성만 클래스에 추가하고, 후자를 사용하여 형식에 대한 네임스페이스를 명시적으로 정의합니다. .NET 클래스가 XML로 변환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System.Xml.Serialization 네임스페이스의 다른 특성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채택하면 .NET 클래스가 전송을 위해 serialize되는 XML을 많은 부분 변경하지 않고도 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ContractSystem.Runtime.Serialization.DataMember 특성을 추가하여 나중에 .NET 클래스를 데이터 계약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ASP.NET 웹 서비스에서 메시지에 사용되는 동일한 형식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계약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이점과 함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향상이라는 이점을 제공합니다.

보안

IIS의 인증 옵션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클라이언트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더욱 풍부한 옵션을 제공하므로 서비스를 보안해야 하는 경우 즉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해야 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을 위한 사전 준비: 향후 마이그레이션 간소화

앞으로 새로운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더 쉽게 마이그레이션하려면 앞서 설명한 권장 사항과 다음 권장 사항을 모두 따르십시오.

프로토콜

SOAP 1.2에 대한 ASP.NET 2.0 지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configuration>
    <system.web>
        <webServices >
            <protocols>
                <remove name="HttpSoap12"/>
            </protocols>      
        </webServices>
    </system.web>   
</configuration>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SOAP 1.1, SOAP 1.2와 같은 별개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메시지가 각각 별개의 끝점을 거치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SOAP 1.2에 대한 ASP.NET 2.0 지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ASP.NET 2.0 웹 서비스가 기본 구성대로 SOAP 1.1과 SOAP 1.2를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되면 ASP.NET 웹 서비스의 기존 클라이언트 모두와 호환되는 원래 주소의 단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끝점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없습니다.

서비스 개발

  •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 또는 클래스에 System.ServiceModel.ServiceContract 특성을 적용하여 서비스 계약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특성을 인터페이스에 적용하면 원하는 수의 클래스에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계약 정의가 생성되므로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에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SP.NET 2.0은 클래스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에도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을 적용하는 옵션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앞서 설명했듯이 ASP.NET 2.0에는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이 클래스가 아닌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때는 이 특성의 Namespace 매개 변수가 아무런 효과도 없다는 결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의 Namespace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기본값(http://tempuri.org)을 수정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또는 클래스에 System.ServiceModel.ServiceContract 특성을 적용하여 ASP.NET 웹 서비스를 계속 정의해야 합니다.
  •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메서드에 최소한의 코드만 사용합니다. 메서드의 작업을 다른 클래스에 위임하도록 합니다. 그러면 새로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 형식에서도 상당한 작업을 해당 클래스로 간단하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 System.Web.Services.WebMethod 특성의 MessageName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서비스 작업에 명시적 이름을 제공합니다.
    [WebMethod(MessageName="ExplicitName")]
    string Echo(string input);

    ASP.NET에서 작업의 기본 이름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제공하는 기본 이름과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시적 이름을 제공함으로써 기본 이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다형적 메서드로 ASP.NET 웹 서비스 작업을 구현하지 마십시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는 다형적 메서드로 작업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 특성을 사용하여 HTTP 요청을 메서드로 라우팅할 SOAPAction HTTP 헤더에 명시적 값을 제공합니다.
    [WebMethod]
    [SoapDocumentMethod(RequestElementName="ExplicitAction")]
    string Echo(string input);
    
  • 이 접근 방식을 취할 경우 ASP.NET에서 사용되는 기본 SOAPAction 값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 SOAP 확장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SOAP 확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려하고 있는 SOAP 확장의 목적이 이미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기능인지 확인하십시오. 이 경우 당장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재고하십시오.

상태 관리

서비스의 상태를 유지하지 마십시오.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응용 프로그램의 확장성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에서 ASP.NET 호환 모드를 통해 ASP.NET 메커니즘을 지원하지만 ASP.NET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상태 관리 메커니즘은 매우 다릅니다.

예외 처리

서비스에서 송수신할 데이터 형식의 구조를 디자인할 때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려는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예외를 표시하기 위한 구조도 디자인합니다.

[Serializable]
[XmlRoot(
    Namespace="ExplicitNamespace", IsNullable=true)]
public partial class AnticipatedException {
    
    private string anticipatedExceptionInformationField;
    
    public string AnticipatedExceptionInformation {
        get {
            return this.anticipatedExceptionInformationField;
        }
        set {
            this.anticipatedExceptionInformationField = value;
        }
    }

}

다음과 같이 해당 클래스에 자신을 XML로 serialize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합니다.

public XmlNode ToXML()
{
    XmlSerializer serializer = new XmlSerializer(
        typeof(AnticipatedException));
    MemoryStream memoryStream = new MemoryStream();
    XmlTextWriter writer = new XmlTextWriter(
        memoryStream, UnicodeEncoding.UTF8);
    serializer.Serialize(writer, this);
    XmlDocument document = new XmlDocument();
    document.LoadXml(new string(
        UnicodeEncoding.UTF8.GetChars(
memoryStream.GetBuffer())).Trim());
    return document.DocumentElement;
}

그러면 해당 클래스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발생된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Exception 인스턴스에 자세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AnctipatedException exception = new AnticipatedException();
exception.AnticipatedExceptionInformation = "...";
throw new SoapException(
   "Fault occurred",
   SoapException.ClientFaultCode,
   Context.Request.Url.AbsoluteUri,
   exception.ToXML());

이러한 예외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System.ServiceModel.FaultContract<T>에서 즉시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row new FaultException<AnticipatedException>(anticipatedException);

보안

  • ASP.NET 2.0 프로필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ACL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ASP.NET 2.0 역할 공급자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인증하는 방법을 고려합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채택

ASP.NET 웹 서비스와의 공존

ASP.NET으로 개발된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계속 유지하면서 새로운 개발에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NET 응용 프로그램과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최적의 선택이 되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ASP.NET으로는 수행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통신 문제를 해결하는 표준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은 기존 ASP.NET 웹 서비스와 동일한 컴퓨터에 배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ASP.NET 웹 서비스에서 버전 2.0 이전의 .NET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ASP.NET IIS 등록 도구를 사용하여 새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을 호스트할 IIS 응용 프로그램에 .NET Framework 2.0을 선택적으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ASP.NET IIS Registration Tool (Aspnet_regiis.exe) (영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도구에는 IIS 6 관리 콘솔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사용하여 ASP.NET 호환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를 IIS의 기존 ASP.NET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에 추가함으로써 기존 ASP.NET 웹 서비스에 새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ASP.NET 호환 모드 덕분에 새로운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의 코드는 System.Web.HttpContext 클래스를 통해 기존 ASP.NET 코드와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 상태 정보를 액세스 및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동일한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ASP.NET 웹 서비스와 클라이언트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마이그레이션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클라이언트는 ASP.NET 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ystem.ServiceModel.BasicHttpBinding으로 구성되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는 ASP.NET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P.NET 웹 서비스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과 공존할 수 있으며,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여 기존 ASP.NET 웹 서비스에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과 ASP.NET 웹 서비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이러한 모든 방식을 고려해 보면 ASP.NET 웹 서비스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하는 필연적인 이유는 거의 없습니다.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일부 경우에서도, 단순히 한 기술에서 다른 기술로 코드를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대부분 올바른 접근 방식이 아니라는 점을 신중하게 고려하십시오.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는 이유는 이전 기술로는 따라갈 수 없는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 새로 확장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새로운 솔루션을 디자인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새 디자인은 기존 시스템에서의 경험과 해당 시스템이 디자인된 이후 축적된 지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 디자인은 단순히 새 플랫폼에서 이전 디자인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새 기술의 완전한 기능을 충분히 고려할 것입니다. 새 디자인의 주요 요소를 프로토타이핑하면 대개 새 시스템에서 기존 시스템의 코드를 다시 사용하는 방법을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ASP.NET 웹 서비스에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이식하는 것이 올바른 솔루션으로 생각되는 일부 경우에 대한 몇 가지 진행 방법 지침이 있습니다. 서비스를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과 클라이언트를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에 대한 권장 사항이 있습니다.

ASP.NET 웹 서비스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마이그레이션

  1. 서비스에 대한 포괄적인 테스트 집합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서비스에 대한 WSDL을 생성하고 해당 서비스의 .asmx 파일과 같은 폴더에 복사본을 저장합니다.
  3. .NET 2.0을 사용하도록 ASP.NET 웹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합니다. 먼저 .NET Framework 2.0을 IIS의 응용 프로그램에 배포한 다음 Visual Studio 2005를 사용하여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library/en-us/dnaspp/html/webprojectsVS05.asp?frame=true(영문) 문서의 설명에 따라 코드 변환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업그레이드를 수행합니다.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4. System.Web.Services.WebService 특성의 Namespace 및 Name 매개 변수의 값이 아직 제공되지 않았으면 이 매개 변수들에 명시적 값을 제공합니다. System.Web.Services.WebMethod 특성의 MessageName 매개 변수에도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또한 요청을 메서드로 라우팅하는 SOAPAction HTTP 헤더에 명시적 값이 아직 제공되지 않았으면 다음과 같이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 특성으로 Action 매개 변수의 기본값을 명시적으로 지정합니다.
    [WebService(Namespace = "http://tempuri.org/", Name = "Adder")]
    public class Adder
    {
        [WebMethod(MessageName = "Add")]
        [SoapDocumentMethod(Action = "http://tempuri.org/Add")]
        public double Add(SumInput input)
        {
            double sum = 0.00;
            foreach (double inputValue in input.Input)
            {
                sum += inputValue;
            }
            return sum;
        }
    }
  5.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6. 클래스의 메서드 본문에 있는 코드를 원래 클래스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별개의 클래스로 옮깁니다.
    [WebService(Namespace = "http://tempuri.org/", Name = "Adder")]
    public class Adder
    {
        [WebMethod(MessageName = "Add")]
        [SoapDocumentMethod(Action = "http://tempuri.org/Add")]
        public double Add(SumInput input)
        {
            return new ActualAdder().Add(input);
        }
    }
    
    internal class ActualAdder
    {
        internal double Add(SumInput input)
        {
            double sum = 0.00;
            foreach (double inputValue in input.Input)
            {
                sum += inputValue;
            }
            return sum;
        }
    }
  7.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8.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어셈블리인 System.ServiceModelSystem.Runtime.Serialization에 대한 참조를 ASP.NET 웹 서비스 프로젝트에 추가합니다.
  9.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svcutil.exe 도구를 실행하여 WSDL에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프록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클래스 모듈을 솔루션에 추가합니다.
  10. 앞 단계에서 생성된 클래스 모듈에는 인터페이스 정의가 포함됩니다.
    [System.ServiceModel.ServiceContractAttribute()]
    public interface AdderSoap
    {
        [System.ServiceModel.OperationContractAttribute(
          Action="http://tempuri.org/Add", 
          ReplyAction="http://tempuri.org/Add")]
        AddResponse Add(AddRequest request);
    }
    Modify the definition of the ASP.NET Web service class so that the class is defined as implementing that interface: 
    [WebService(Namespace = "http://tempuri.org/", Name = "Adder")]
    public class Adder: AdderSoap
    {
        [WebMethod(MessageName = "Add")]
        [SoapDocumentMethod(Action = "http://tempuri.org/Add")]
        public double Add(SumInput input)
        {
            return new ActualAdder().Add(input);
        }
    
        
        public AddResponse Add(AddRequest request)
        {
            return new AddResponse(
    new AddResponseBody(
    this.Add(request.Body.input)));
        }
    }
  11. 프로젝트를 컴파일합니다. 9단계에서 생성된 코드 때문에 일부 형식 정의가 중복되는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형식에 대한 기존 정의를 삭제하여 이러한 오류를 수정합니다.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12. System.Web.Services.WebService, System.Web.Services.WebMethod,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 특성 등 ASP.NET 고유의 특성을 제거합니다.
    public class Adder: AdderSoap
    {
        public double Add(SumInput input)
        {
            return new ActualAdder().Add(input);
        }
    
        
        public AddResponse Add(AddRequest request)
        {
            return new AddResponse(
    new AddResponseBody(
    this.Add(request.Body.input)));
        }
    }
  13.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 형식이 될 클래스를 구성하여 ASP.NET 웹 서비스가 다음 항목을 사용하는 경우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ASP.NET 호환 모드를 요구하도록 합니다.
    • System.Web.Services.HttpContext 클래스
    • ASP.NET 프로필
    • .asmx 파일의 ACL
    • IIS 인증 옵션
    • ASP.NET 가장 옵션
    • ASP.NET 전역화
    [System.ServiceModel.AspNetCompatibilityRequirements(
           RequirementsMode=AspNetCompatbilityRequirementsMode.Require)]
    public class Adder: AdderSoap
  14. 원래의 .asmx 파일 이름을 .asmx.old로 바꿉니다.
  15. 서비스에 대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서비스 파일을 만들고, 이 파일의 확장명을 .asmx로 지정한 다음 IIS의 응용 프로그램 루트에 저장합니다.
    <%@Service Class="MyOrganization.Adder" %>
    <%@Assembly Name="MyServiceAssembly" %>  
  16. 서비스에 대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구성을 Web.config 파일에 추가합니다. BasicHttpBinding을 사용하고, 앞 단계에서 만든 .asmx 확장명의 서비스 파일을 사용하고, 자체적으로 WSDL을 생성하지 않고 2단계에서 생성된 WSDL을 사용하도록 서비스를 구성합니다. 또한 위 10단계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ASP.NET 호환 모드를 사용하도록 서비스를 구성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system.web>
          <compilation>
             <buildProviders>
    <remove extension=".asmx" />
                <add extension=".asmx" 
                   type=
    "System.ServiceModel.ServiceBuildProvider,             System.ServiceModel,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
             </buildProviders>
          </compilation>
       </system.web>
       <system.serviceModel>
          <services>
             <service name="MyOrganization.Adder "
                      behaviorConfiguration="AdderBehavior">
    <endpoint 
    address=""
    binding="basicHttpBinding"
    contract="AdderSoap "/>
             </service>
          </services>
          <behaviors>
               <serviceBehaviors>
             <behavior name="AdderBehavior">
                <metadataPublishing 
                   enableMetadataExchange="true" 
                   enableGetWsdl="true" 
                   enableHelpPage="true" 
    metadataLocation=
    "http://MyHost.com/AdderService/Service.wsdl"/>
             </behavior>
            </serviceBehaviors>
          </behaviors>
          <serviceHostingEnvironment 
    aspNetCompatibilityEnabled ="true"/>
       </system.serviceModel>
    </configuration>
    
  17. 구성을 저장합니다.
  18. 프로젝트를 컴파일합니다.
  19.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ASP.NET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으로 마이그레이션

  1. 클라이언트에 대한 포괄적인 테스트 집합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Visual Studio 2005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NET 2.0으로 업그레이드합니다.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3. 클라이언트 프로젝트에서 ASP.NET 프록시 코드를 제거합니다. 이 코드는 대개 wsdl.exe 도구를 사용하여 생성된 모듈에 있습니다.
  4. svcutil.exe 도구를 사용하여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프록시 코드를 생성합니다. 이 코드를 클라이언트 프로젝트에 추가하고 구성 출력을 클라이언트의 기존 구성 파일에 병합합니다.
  5. 응용 프로그램을 컴파일합니다. 기존 ASP.NET 프록시 형식에 대한 참조를 새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프록시 형식에 대한 참조로 바꾸어 컴파일 오류를 수정합니다.
  6. 테스트 집합을 실행합니다.
요약

ASP.NET 웹 서비스 도구는 단지 웹 서비스를 빌드하기 위한 것이지만,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소프트웨어 엔터티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설정되어야 하는 모든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웹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에서도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은 ASP.NET 웹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것보다 더 많은 웹 서비스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신뢰할 수 있는 세션과 트랜잭션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장점을 수반하는, 더욱 정교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권장되는 작업 과정은 기존 ASP.NET 웹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을 계속 유지하면서 새로운 개발에는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업 과정은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이점을 누리면서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마이그레이션해야 하는 비용을 절약해 줍니다. 새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응용 프로그램은 기존 ASP.NET 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ASP.NET 응용 프로그램과 공존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의 ASP.NET 호환 모드 덕분에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을 사용하여 기존 ASP.NET 응용 프로그램에 새로운 작업 기능을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습니다


|

웹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당황스러운 것 중 하나가 바로 HTML 스크립트일 것입니다. 기껏 ASP.NET으로 구조화된 프로그래밍을 해 왔는데, 그것만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한다는 것이 어림 반푼어치도 없는 일임은 아는 사람들은 다 알지요... 항상 브라우저 측의 UI를 개선하기 위해 HTML 스크립트,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번 포스트에서는 자바 스크립트를 다룰 때 유용하지만 많은 개발자가 잘 모르는 기법 하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의 비장의 꽁수인데... 한 동안 포스트를 올리지 못한 죄책감에 몇 마디 적어 봅니다.

Java Script Tip : Interception

지랄 같은 자바 스크립트는 자바와 비슷하게 생겨먹었지만 자바와는 그 근본부터가 다른 이상한(?) 녀석이기 때문에 닷넷스러운 접근을 했다가는 우스운 꼴 당하기 십상이다. 자바 스크립트를 배우려고 할 때 또 한가지 당황스러운 점은 이 녀석에 대한 책을 찾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대부분 자바 스크립트를 3류 프로그래밍으로 여기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책을 저술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을 잘 뒤져 보면 스크립트에 대한 강좌를 찾을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잘 정리된 것이 아니라 간략한 팁들이 주종을 이룬다.

그렇다고 쑛도 모르는 필자가 자바 스크립트 강좌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대다수의 개발자가 잘 모르지만 알아두면 아주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팁을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Inside Java Script Function

인터셉션, 우리나라 말로 하자면 가로채기 정도 되겠다. 가끔씩 내가 작성한 코드가 아닌 ASP.NET 런타임에 의해 생성된 자바 스크립트 함수의 행동을 바꾸고 싶은 경우가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커스텀 Validation 컨트롤을 작성할 때 ASP.NET 런타임이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측 유효성 확인 자바 스크립트 함수에 필자의 코드를 삽입 시키고 싶었던 적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큰 어려움 없이 이미 존재하는 자바 스크립트 함수의 행동을 바꾸어 버릴 수 있다.

아놔... 그냥 소스를 수정해 버리지 왜 가로채기 따위를 해야 하냐고? 소스를 수정한다는 얘기는 ASP.NET 런타임이 제공하는 .js 파일을 수정한다는 말이 되겠지? 만약에 패치나 기타 등등의 이유로 .js 가 덮어쓰기(overwrite) 된다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새로이 덮어 쓰여지는 파일에 내가 했던 그 수정을 다시 해주어야 하는 엿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 한가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는데 부담은 대개의 ASP.NET 런타임은 여러 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공유된다는 점이다. 서버에 내 웹 어플리케이션만 독야청청 한다면 밀려오는 귀차니즘에 .js를 쏠랑 바꿀 법도 하지만, 여러 웹 어플리케이션이 오순도순 살고 있는 서버라면 대략 뷁스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은 구구절절이 설명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스를 직접 수정하기 어려운 점은, ASP.NET 2.0에 포함된 웹 리소스(Web Resource)란 기능으로 DLL 내에 .js, .css, 이미지 파일들을 포함시켜놓고 WebResource.axd 를 이용하여 DLL 내의 리소스를 웹 컨텐트인양 사용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소스 수정이 곤란할 수도 있다.

그래서 내가 왔잖아 !

그래서 기존 자바 스크립트 함수의 행동을 바꾸는 방법을 필자가 소개하고자 한다. 정확히 말하면 기존 함수의 내용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기존 함수를 통채로 들어 내고 새로운 함수를 끼워 넣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HTML 내의 자바 스크립트가 갖는 사상을 이해해야 한다. 자바 스크립트에서 function 이란 키워드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자바 스크립트 함수는 그 차제로서 객체로 간주된다는 점이 핵심 포인트이다. 함수가 객체로 간주된다는 말은 new 키워드를 통해 새로운 함수를 만들 수도 있다는 말도 된다. 잘 이해가 안 간다면 다음 스크립트 코드를 째려봐 보자.

    1 <script type="text/javascript" language="javascript">

    2 function foo()

    3 {

    4     alert("foo");

    5 }

    6 

    7 var myfunction = foo;

    8 

    9 myfunction();

   10 </script>

리스트1. 간단한 자바 스크립트 함수 제어

리스트1에서 일단 간단한 함수 foo를 정의한다. 이것까지는 아~조~(매우) 평범하다. 그런데 100% (10%는 1할이라고 하죠. 100%는?)... 변수에다가 함수를 할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즉, var myfunction = foo 란 수식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이것을 이해 하려면 앞서 필자가 말한 자바 스크립트의 함수가 객체로 간주된다는 말을 기억해야 한다. foo 란 이름은 함수 객체에 대한 참조(reference)를 가지고 있는 변수일 뿐이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foo 란 이름은 window 객체의 속성으로 정의되어 있다. 즉, 다음 두 문장은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위 문장은 window 객체의 표현을 생략해 놓은 것이다. HTML 자바 스크립트에서 window 객체는 생략이 가능하지 않은가?

var myfunction = foo;           // 다음 두 라인은 같다.
var myfunction = window.foo;

HTML 자바 스크립트에서 글로벌 변수와 글로벌 함수는 모두 window 객체의 속성으로 정의됨을 기억해 두면 두고 두고 유용하다.

리스트1에서 9 번째 라인을 잘 째려 보자. 웬 변수에 괄호를 붙였을까? 자바 스크립트에서 괄호의 의미는 함수 호출이 되겠다. myfunction 이란 변수가 함수 객체를 참조(reference)하고 있다면 그 함수가 호출될 것이다. myfunction 변수에 foo 함수 참조를 할당해 놓았으므로 9 번째 라인은 foo 함수를 호출하게 되는 것이다. 재밌지 않은가?

결론적으로 리스트1 코드의 결과는 foo 라는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이다. 리스트1은 C/C++ 에서나 볼 수 있는 함수 포인터와 매우 유사한 개념으로 접근하면 매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C++을 모른다고? 쩝 그럼 할말은 없고... -_-;

동적으로 함수를 만들어 보장

자바 스크립트에서도 동적으로 함수를 만들 수 있다. 구구절절이 설명하면 귀찮으니 바로 코드를 보자.

    1 <script type="text/javascript" language="javascript">

    2 var dynamic_func = new Function("param1", "alert(param1)");

    3 dynamic_func("hello dynamic function");

    4 window.dynamic_func("again !!!");

    5 </script>

리스트2. 동적 함수 생성 및 테스트

리스트2의 2 번째 라인이 바로 동적으로 함수를 생성하는 코드이다. new 키워드와 더불어 Function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말했던 "자바 스크립트에서 함수는 객체로 간주된다"는 말이 구라가 아님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코드인 것이다. 생성된 함수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고 그 변수 뒤에 괄호를 붙여주면 함수 호출이 일어남은 이미 리스트1에서 보였다.

Function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자바 스크립트 문법은 다음과 같다.

functionName = new Function( [argname1, [... argnameN,]] body );

new 의 생성자(?) 매개변수 중 마지막 매개변수가 생성하고자 하는 함수의 바디(body)이며 그 앞에 붙는 것들은 모두 매개변수의 이름으로 간주됨에 유의하자. 구체적인 예제들은 다음과 같다.

var func1 = new Function("alert('this is body');");    // 매개변수 없음
var func2 = new Function("x", "y", "alert('this is body')");  // 매개변수 x, y 정의
var func3 = new Function("a", "b", "c", "alert('this is body')");  // 매개변수 a, b, c 정의

Intercepting Function

자바 스크립트 함수에 대한 참조를 얻어낼 수 있음을 리스트1에서 보였고, 동적으로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도 리스트2를 통해 배웠다. 이젠 이미 정의되어 있는 함수를 가로채어 나의 루틴이 수행되게 하는 것은 매우 쉬운 작업이 되어 버린다.

이젠 감 잡아쓰~

내가 소스에 대해 제어를 할 수 없는 .js 파일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자바 스크립트 함수 SomeFunc 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HTML 내에서 SomeFunc 함수를 여러 번 호출하는 상황에서 이 함수의 행동을 바꾸고자 한다면 앞서 설명한 내용을 충분히 응용할 수 있다.

      // somefile.js
    1
 function SomeFunc()         // 이 함수에 대한 생성을 내가 제어할 수 없다고 가정

    2 {

    3     alert("SomeFunc...");

    4 }

      // somehtml.htm

    1 <input id="Test" type="button" onclick="SomeFunc();" value="테스트" /> 

    2 

    3 <script type="text/javascript" language="javascript">

    4 var orgFunc = SomeFunc;

    5 SomeFunc = new Function("alert('가로채기 : 선처리'); orgFunc();");

    6 </script>

 

리스트3. 함수 가로 채기 예제

리스트3의 1 번째 라인의 <input> 태그에서 클릭 시 SomeFunc 함수를 호출함에 유의하자. 이런 상황에서 SomeFunc 수행 전에 어떤 작업을 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somefile.js를 내가 수정할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이 경우 바로 3-6 라인의 스크립트 코드가 해결책이 된다. 4 번째 라인에서 원본 함수의 참조를 기록해 놓고 5 번째 라인처럼 새로운 함수를 생성하여 SomeFunc 에 할당해 버린다. 물론 새로운 함수는 전처리(pre-processing)을 한 후에 기억해 둔 원본 함수를 호출해 주어야만 할 것이다.

자... 이제 감을 잡았는가? 이런 방식으로 자바 스크립트 함수를 가로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닭이 아니라면 응용해 보잣 !

응용이라 함은 별 것이 없고, 단순히 자바 스크립트 함수가 아닌 이벤트도 가로챌 수 있다는 것이다. HTML 태그에 기록하는 이벤트 핸들러는 소위 말하는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이므로 이 함수도 동일하게 가로챌 수 있다. 뭐 가로챈다는 표현을 쓰기에도 좀 뭐하지만... 다음과 같은 코드로 기존 이벤트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말이다.

    1 <input id="Test" type="button" onclick="SomeFunc();" value="테스트" />

    2 

    3 <script type="text/javascript" language="javascript">

    4 var orgHandler = document.all["Test"].onclick;

    5 document.all["Test"].onclick = new Function("alert('가로채기 : 전처리'); orgHandler();");

    6 </script>

리스트4. 이벤트 가로 채기

원리는 간단하다. 이벤트라는 것이 HTML 태그 요소(element) 객체의 속성처럼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리스트4의 4 번째 라인은 원본 이벤트 핸들러를 변수에 기록해 두는 것이고 5 번째 라인은 새로운 이벤트 핸들러 함수를 onclick 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벤트 역시 가로채기가 가능하게 된다.

Conclusion

그렇다면 이런 팁을 언제 써먹을 수 있을까? 이런 것까지 필자에게 기대하면 좀 곤란하다. 자바 스크립트 함수를 가로채야 할 경우는 종종 발생하곤 한다. 내가 작성하지 않은 자바 스크립트, 즉 내가 소스를 수정할 수 없는 자바 스크립트, 이벤트 핸들러의 기본 행동을 바꾸고자 할 때 유용한 방법이므로 기억해 두면 좋을 듯 해서 글을 써 봤다.

이 팁을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예제는 다음 기회에 글을 써 보겠다. 글이 너무 길어진 감이 있어서... 쩝...

경고 : 이 글을 무단으로 복제/스크랩하여 타 게시판, 블로그(개인 블로그 포함)에 게시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No7Do's Blog is powered by Daum & tistory